$\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에 기반한 지역사회치위생학 실습 학습목표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learning goals of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um based on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0 no.2, 2020년, pp.139 - 153  

유상희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  배수명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  신보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  신선정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및 구강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and to develop competency-based learning goals applying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Methods: Based on 12 references, the concept of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역량을 갖춘 지역사회 치과위생사의 질적 양성을 위해 학습목표를 개발하여 사회치위생 영역의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국 치위생(학)과 지역사회 담당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학습목표 타당도 평가 및 의견수렴 과정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그러나 사회치위생 영역에서의 역량을 고려한 학습목표 개발에 대한 연구는 박 등[7]의 연구를 제외하고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사회치위생 실습을 중점으로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을 적용한 학습목표를 개발하고 전국 치위생(학)과 지역사회 교과목 담당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그러나 아직 국내· 외로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이라는 정의가 내려진 바 없고, 이를 기반으로한 학습목표 개발 사례는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지역사회 치위생관리 과정을 적용한 역량 중심의 학습목표를 개발하여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역량 기반 학습목표 개발을 위해 치위생학에서 표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이론적 틀인 치위생관리과정을 적용하여 학습목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치위생관리과정은 치과위생사가 대상자의 요구를 사정하여, 치위생 문제 진단을 통해 전반적인 치위생관리를 계획, 수행, 평가하는 일련의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으로[13], Beatty 등[14]은 치위생관리과정을 지역사회에 적용하여 설명하였으며, Peterson[15]은 지역사회 치과위생사의 활동 방안으로 치위생관리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 2018년 2월 22일부터 3월 1일까지 메일을 이용하여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 개념 2차 타당도 평가’, ‘기존 또는 수정된 학습주제, 학습목표에 대한 의견수렴(동의)’, ‘삭제 예정인 학습목표에 대한 타당도 평가’, ‘수정 또는 추가된 학습주제 및 학습목표 타당도 평가’, ‘각 항목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이유 작성’의 문항으로 학습목표 최종 의견수렴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 치위생(학)과 지역사회 교과목 담당 교수자 대상으로 조사한 1차 타당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 추가, 삭제의 과정을 거친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 개념과 15주차의 학습모듈이 적정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다.
  •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에 대한 정의는 Darby와 Walsh[13]가 정의한 치위생관리과정의 개념과 Beatty 등[14]과 Nathe[17]가 제시하는 지역사회에서 적용 가능한 치위생관리과정의 내용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이라는 용어로 명명하고, 용어 정의에 대한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여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DJ, Kim SY. Understanding and issues on core competency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Core Competency Education Research 2017;2(1):23-45. 

  2. Park BY. A study on the concept and the pedagogical meaning of the competencybased dental education: based on the competency profile of ADEA(American Dental Education Associat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8;11(1):215-35. 

  3. Bae SM, Shin SJ, Shin BM, Chung WG, Jang JH. Implementation of systematization in a competency-based dental hygiene science curriculum. Seoul: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2015: 25-6. 

  4. Kim S.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learning outcome. Korean J Med Educ 2012;24(2):89-92. https://doi.org/10.3946/kjme.2012.24.2.89 

  5. Song RY, Shin SJ, Suh YO, Shin SR, Park YH, Kang YH, et al. The future direction of learning objectives and national nurse's licensing examination in adult health nursing. Korean J Adult Nurs 2011;23(5):503-13. 

  6. Choi GY, Lee HS. Analysis of the education objectives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from core competencies-based perspective. J Korean Soc Dent Hyg 2012;12(5):1049-58. 

  7. Park SK, Lee GY, Jang YE, Yoo SH, Kim YJ, Lee SH, et al. Sugges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social dental hygiene: oral health administration area. J Dent Hyg Sci 2018;18(2):85-96. https://doi.org/10.17135/jdhs.2018.18.2.85 

  8. Lim MH, Yoo JS, Lee SM, Han JY, Won YS, Ahn SY.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developed on the basis of dental hygienist job description. J Kor Acad Dent Admin 2016;4(1):55-66. 

  9. Lee SY, Hwang SJ. 4-year course curriculum of dental hygiene in Korea. J Kor Dent Hyg Sci 2019;2(1):41-50. 

  10. Kim YJ, Han YK, Kim YK, Lim HJ, Kown YO, Kim HM, et al.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J Korean Soc Dent Hyg 2015;15(1):137-46.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1.137 

  11. Kwun HS, Jo GS. A study on the role of dental hygienist for revitalization of dental health class in community health center. J Korean Soc Dent Hyg 2006;6(4):263-82. 

  12. Korean Council for Dental Hygienist Education.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learning objectives. 5th ed. Seoul: Komoonsa Co; 2017: 79-90. 

  13. Darby ML, Walsh M. The dental hygiene profession. In: Dental hygiene: theory and practice. 3rd ed. Edited by Darby ML, Walsh M: Missouri: Elsevier; 2010: 1-5. 

  14. Beatty CF, Dickinson CB, Hinson-Enslin AM, Torre MA. Oral health programs in the community. In: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for the dental hygienist. 4th ed. Edited by Beatty CF: Missouri: Elsevier; 2017: 146-52. 

  15. Peterson S. Advocacy for dental care. In: Dental public health and research. 4th ed. Edited by Nathe CN: Boston: Pearson; 2017: 95-6. 

  16. Yoo SH.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um[Doctoral dissertation]. Gangneung: Univ. of Gangneung wonju, 2020. 

  17. Nathe CN. Program planning. In: Dental public health and research. 4th ed. Edited by Nathe CN: Boston: Pearson; 2017: 55-162. 

  18. Public oral health textbook development committee. Public oral health. 4th ed. Seoul: Komoonsa Co; 2017: 1-461. 

  19. Kwon HM, Kim KS, Kim RY, Kim MJ, Kim SA, Kim YS, et al. Community dental hygiene. 1st ed.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Inc; 2013: 3-354. 

  20. Kim NH, Han YK, Kim YK, Kown YO, Kim HM, Lim HJ. Development of practice goals on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Seoul: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2014: 1-55. 

  21. Bae SS. Health program planning. 3rd ed. Seoul: Gyechukmunwhasa Co; 2016: 3-404. 

  22.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7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academic conference. Seongnam: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2017: 60-6. 

  23. Bae KH, Bae SM, Kim NH. Guideline for planning of oral health program. Osong: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2015: 12-97. 

  24. Oh JS, Park JS, Kim ES, Shin SH, Kim SA, Lee MO, et al. Community oral health. 1st ed.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Inc; 2007: 9-182. 

  25. Kim KS, Hwang YS, Kim YK, Choi BG, Han GS, Yoo JS, et al. Community oral health. 1st ed. Seoul: Komoonsa Co; 2010: 1-339. 

  26. Kwun HS, Lee JH, Kim HY, Kang HK, Kim MY, Kim JY, et al.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management. 1st ed. Seoul: Koonja Publishing Inc; 2012: 1-168. 

  27. Lee YG, Park IW. A concept-mapping approach to identify the education experts' perception of good syllabi.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015;27(1):1-20. 

  28. Bae SM, Shin SJ, Jang JH, Chung WG.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in a competencybased dental hygiene science education. Seoul: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2014: 12-9. 

  29. Park JR, Kang KH, Kim SA, Lee KY, Lee SM, Jang JH, et al. A study on dental hygienist 2nd job analysis. Seoul: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12:116-71. 

  30. Cho SJ, Cho YH, Park IH, Ko JE, Choi HJ, An OH, et al. Community health nursing. 6th ed. Seoul: Hyunmoon Publishing Co; 2012: 7-131. 

  31. Martin KS, Norris J. The omaha system: a model for describing practice. Holistic Nursing Practice 1996;11(1):75-83. 

  32. Jang YE, Heo SS, Kim EK, Kim NH. A study on the needs of independent dental hygiene practices in the public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3):505-13.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3.505 

  33. McLeroy KR, Bibeau D, Steckler A, Glanz K.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ation Quarterly 1988;15(4):351-77. 

  34. World Health Organization. Health promotion action [Internet]. World Health Organization.[cited 2018 Dec 05]. Available from: http://www.who.int/healthpromotion/conferences/previous/ottawa/en/index1.html 

  35. Shin SJ, Jung MS.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n nursing education program outcome.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17;8(2):1053-74. https://doi.org/10.22143/HSS21.8.2.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