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현장 아동학대에 대한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 개발 및 적용: 다학제간 협력적 연계 시스템을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Customized Evidence-based Counseling for Abused Preschool Children in Day Care Centers: Focusing on the Multidisciplinary Cooperative Link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1, 2020년, pp.1 - 20  

이경숙 (한신대학교 재활학과) ,  박진아 (경기대학교 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he multidisciplinary model, which is customized evidence-based counseling for abused preschool children done by a day care center teach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6 preschool children which were abused by a day care cent...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PTSD 진단 및 치료는 간단치 않으며, 외상 생존자의 경험을 전문적으로 다루지 못할 경우, 재외상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상담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최윤경, 2017), 미국심리학회(APA) 산하 아동청소년 임상심리분과(Society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국립아동외상네트워크(National Child Trauma Network, NCTN)에서는 아동 PTSD에 대한 근거기반 치료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최지영, 2018, 재인용)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보육교사 아동학대 대상자별 맞춤형 근거기반 ONE-STOP 상담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국가차원의 다학제간 전문가 컨소시엄(영유아발달상담심리전문가, 소아정신건강의학전문의, 아동학대 관련 정부기관 공무원, 지역사회 소아정신건강의학과, 보건소, 법률자문위원 변호인)을 토대로 한, 통합적 연계 시스템 구축 및 활용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유아 성폭력 경우, 이미 국가 산하기관인 해바라기센 터에서 다학제간 협력적 연계 시스템을 활용하여 ONE-STOP상담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있고, 미국심리학회 수련감독위원회에서는 임상 및 소아 관련 전문가에게 포괄적이고 협력적인 의료체계 제공과 평가능력, 전문직종 간 협력적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있으며, 소아청소년 심리학 분야는 다학제간 융합과 전문가 상호 협력에서 출발된 응용학문이므로 다학제간 전문가 의사소통 뿐 아니라 국가 차원의 행정지원 및 보건의료체계 행정공무원과의 소통과 연대도 중요할 뿐 아니라(박진희, 2017), 소아청소년 심리학자 임상수련 기본 영역 중 서비스 제공 체계에서 다양한 학문 전공 다학제간 교류 경험의 중요성이 강조된 점(Spirito et al.
  • 본 기관은 운영관리팀, 상담프로그램 연구개발팀, 교육연수팀, 사례관리팀 4개 하위부서 총 9명의 팀원을 배정하고 별도의 자문위원회 (정신의학전문의, 법률전문가, 영유아발달상담심리전문가, 경찰·관련 관공서 직원, 보육기관장급 전문가), 그리고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례 현장조사 및 사례판정, 보육교사, 영유아 및 부모 대상 심층적 심리평가와 대상자별 맞춤형 근거기반 ONE-STOP 상담서비스 실시 및 효과검증 관련 사안을 지도 감독하는 수퍼바이저 집단인 지도 감독자 위원회를 구성하도록 한다. 둘째, 아동학대를 관장하는 국가 기관인 아동보호전문기관과 어린이집 영유아 학대 전담 예정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영유아발달상담심리 지원 기관 간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보육교사 아동학대 관련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가 될 경우에는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을 활용하여 사례판정 및 상담서비스를 유기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육아종합 지원센터가 신고 전 단계에서 보육교사와 부모 간 아동학대 관련 조정(예; 부모의 오해로 인해 일반사례임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 사례로 신고 될 경우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하여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 적용 및 효과검증을 위하여, 인천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 실제 사례에 대한 PTSD 응급심리지원상담서비스 효과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육교사 아동학대 다학제간 전문가 컨소시엄을 활용하여 제공된 응급심리지원상담서비스의 실효성 유무를 확인한 후, 추후 정책적 활용성 및 보완점을 제안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다음의 보육현장 아동학대 예방 및 상담 관련 네 개 연구결과를 토대로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을 개발하였다. 첫째,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모 대상 보육교사 아동학대 관련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이경숙 등, 2015b), 둘째, 보육교사 대상 보육교사 아동학대 경험, 인식 및 상담요구도 실태조사(이경숙 등, 2015), 셋째, 어린이집 원장 및 보육교사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연구(박진아, 이경숙, 2015), 넷째, 보육교사및 원장의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연루 경험 관련 질적 사례연구(이경숙, 박진아, 2015a) 결과들을 종합한 후, 다음의 세 단계에 걸쳐 모델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건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의 다학제간 협력 연계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근거기반 대상자별 맞춤형 ONE-STOP 상담서비스가 부재한 실정에서, 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에 대한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제 보육교사 아동학대 사례에 응급심리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 산하기관인 해바라기센터의 유아 성학대 관련 다학제간 통합적 연계 시스 템을 활용 실태, 미국심리학회(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수련감독위원회에서 임상및 소아 관련 전문가에게 포괄적이고 협력적인 의료체계 제공과 평가능력, 전문직종 간 협력적 의사소통 강조, 소아청소년 심리학 분야는 다학제간 융합과 전문가 상호 협력에서 출발된 응용 학문이므로 다학제간 전문가 의사소통 뿐 아니라 국가 차원의 행정지원 및 보건의료체계 행정공무원과의 소통과 연대도 중요하고(박진희, 2017), 소아청소년 심리학자 임상수련 기본 영역 중서비스 제공 체계에서 다양한 학문 전공 다학제간 교류 경험이 필요함(Spirito et al., 2003)을 고려하여 어린이집 아동학대 전문가 다학제간 컨소시엄을 활용한 협력적 연계 시스템 구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해바라기센터와 유사하게 국가적 차원에서 어린이집 관련 행정기관 및 지역사회 간 유기적 상호 협력, 아동학대 관련 전문가 집단의 소통과 연대에 중점을 두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어린이집 아동학대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 적용 및 효과검증을 위하여, 인천 소재 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 실제 사례에 대한 PTSD 응급심리지원상담서비스 효과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육교사 아동학대 다학제간 전문가 컨소시엄을 활용하여 제공된 응급심리지원상담서비스의 실효성 유무를 확인한 후, 추후 정책적 활용성 및 보완점을 제안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응급심리지원상담서비스는 우선, 영유아발달상담전문요원과 소아정신건강의학전문의가 PTSD 심리평가·진단을 실시한 후, 선진국에서는 아동중심놀이치료가 유아기 PTSD 근거기반 전문치료로 검증되었다는 점, 7세 이하 유아 PTSD 치료의 경우, 부모참여가 치료효과를 높이는 필수요소라는 점(최지영, 2018; Dorsey et al.
  • 따라서 이상을 종합해본다면, 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에 대한 효율적 상담 개입 및 예방을 위해서는 0-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보육교사 아동학대 발생 시, 유아기 발달적 특성에 전문가인 영유아 발달 상담전문 요원이 실시하는 심리평가 및 진단, 피해 영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대상자별 맞춤형 전문적인 상담 및 심리치료 제공이 시급하게 필요하며, 이러한 통합적 서비스는 국가적 차원에서 보육교사 아동학대 관련 전문가 컨소시엄을 통한 다학제간 협력 연계 시스 템을 활용하여 ONE-STOP 서비스로 제공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진은 보육교사 아동학대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개입을 위한 근거기반 맞춤형 개입 모델을 개발한 후, 이를 실제 보육교사 아동학대 현장 사례에 적용한 응급심리지원서비스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 첫째, 어린이집 현장과 관련된 사무 및 행정을 담당하고 있는 국가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인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영유아발달상담심리전문요원 지원 기관 신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모를 대상으로 보육교사 아동학대 관련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이경숙 등, 2015b),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 아동학대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이경숙 등, 2015), 어린이집 원장 및 보육교사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oup Interview: FGI)를 실시한 연구(박진아, 이경숙, 2015), 보육교사 및 원장의 어린이집 아동 학대 사건 연루 경험 질적 사례연구(이경숙, 박진아, 2015a)에서 모두 어린이집 업무 관련성과 접근 용이성과 편의성이 높은 기관인 육아종합지원센터 내 어린이집 아동학대 지원 업무 전담 기관이 신설되기를 요청하였던 점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 , 2003)을 고려하여 어린이집 아동학대 전문가 다학제간 컨소시엄을 활용한 협력적 연계 시스템 구축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해바라기센터와 유사하게 국가적 차원에서 어린이집 관련 행정기관 및 지역사회 간 유기적 상호 협력, 아동학대 관련 전문가 집단의 소통과 연대에 중점을 두어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영신 (2016. 8).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 학교 및 지역사회 기반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논문. 군산. 

  2.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이상규, 이민규 (2007). 한국판 아동용 외상 후 반응 척도(K-CRTE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3), 667-675. 

  3. 김세진, 김교헌 (2005). 아동의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분노 반응에 미치는 효과: 적대감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1), 47-65. 

  4. 김환, 한수미 (2015). 어릴 적 외상 경험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251-274. 

  5. 동아일보 (2015. 2). 어린이집 바늘 학대 피해아동 6명으로 늘어"착한 바늘로 불려왔다."https://sports.donga.com/article/all/20150206/69516822/1에서 2019년 12월 16일 인출 

  6. 박진아, 이경숙 (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요구도에 관한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5(3), 27-54. doi:10.18023/kjece.2015.35.3.002 

  7. 박진희 (2017).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에 기반한 소아와 청소년을 위한 건강심리학적 이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1), 15-38. doi:10.17315/kjhp.2017.22.1.002 

  8. 백은영 (2018).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정서적 학대 가해 예방 교육프로그램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2), 117-140. doi:10.22155/JFECE.25.2.117.140 

  9. 변은실, 이주영 (2016).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외현적 및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거부민감성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25-1149. 

  10. 보건복지부 (2013). 영유아 돌봄기관의 영유아 학대 근절 및 예방을 위한 상담 서비스 체계구축 보고서(11-1352000-001110-01). 세종시: 보건복지부. 

  11. 보건복지부 (2015). 보육교사 아동학대에 대한 응급심리지원 사업 보고서(11-1352000-001482-01). 세종시: 보건복지부. 

  12. 보건복지부 (2018). 2017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11-1352000-000025-10). 세종시: 보건복지부. 

  13. 보건복지부 (2019. 1).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문제 전담하는 '아동학대대응과'신설.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7376에서 2019년 12월 16일 인출 

  14. 보건복지부 (2019. 6). 국공립 직장어린이집 등 공공보육 이용 아동 증가 추세, 학부모 만족도도 공공보육 시설이 높아, 표준보육비용은 1,017천원-396천 원으로 계측.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9832에서 2019년 12월 16일 인출 

  15. 서영주, 김영근 (2019). 성인의 아동기 성학대가 정신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상경험 개방에 대한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2), 429-453. 

  16. 심두경, 백용매 (2019). 아동기의 복합외상경험이 성인기의 우울과 적대감에 미치는 영향: 내외통제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5(1), 17-37. doi:10.15842/cprp.2019.5.1.017 

  17.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17-231. 

  18. 오경자, 김영아 (2013). ASEBA 유아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서울: (주)휴노. 

  19. 우주영 (200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아동의 놀이치료 주제 특징. 정서행동장애연구, 21(3), 127-147. 

  20. 이경숙, 박진아 (2015a). 보육교사 및 원장의 어린이집 아동학대 사건 연루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8(1), 71-103. 

  21. 이경숙, 박진아 (2015b. 8). 영유아기 어린이집 아동학대 응급심리지원체계 활용 결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논문. 서울. 

  22. 이경숙, 박진아, 김명식 (2017). 보육교사 보육직무 스트레스 관리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79-101. 

  23. 이경숙, 박진아, 신의진 (2015a. 8). 어린이집 보육교사에 의한 아동학대 피해 유아의 외상 관련 증상 및 정신적 표상.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논문. 서울. 

  24. 이경숙, 박진아, 신의진 (2015b). 모의 어린이집 아동학대 관련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3), 301-327. doi:10.18205/kpa.2015.20.3.004 

  25. 이경숙, 박진아, 오은정 (2008). 피학대 아동의 가족에 대한 정신적 표상: 성, 연령 및 학대유형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3), 1-19. 

  26. 이경숙, 박진아, 최명희 (2015).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의 경험, 인식 및 상담 요구도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27-252. 

  27. 임민경, 이지혜, 이한나, 김태동, 최기홍 (2013). 근거기반실천과 심리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251-270. 

  28.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9. 장형윤 (2015. 8). 영유아기 성학대 응급심리지원체계 현황-해바라기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논문. 서울. 

  30. 조선일보 (2017. 7). 5살 원생 팔 비틀어 팔 부러뜨린 어린이집 교사 구속.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9/2017071903816.html에서 2019년 12월 16일 인출 

  31. 중앙일보 (2013. 5). '군대 같았어요-' 세종청사 어린이집 폭행 '폭로'. https://news.joins.com/article/11483936에서 2020년 1월 28일 인출 

  32. 최윤경 (2017).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근거기반 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6(4), 526-549. doi:10.15842/kjcp.2017.36.4.006 

  33. 최종옥 (2016. 8). 아동 학대 피해 아동의 정신건강 진단 및 평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발표초록집 논문. 군산. 

  34. 최지영 (2018). 외상 경험 아동에 대한 근거기반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7(4), 605-620. doi:10.15842/kjcp.2018.37.4.012 

  35. 한국개발연구원 (2019). KDI FOCUS-모든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내실화 방안 보고서. 

  36. 한국일보 (2019. 8). '못 믿을 구립어린이집' 보육교사 아동학대.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8081816098484?didDA&dtype&dtypecode&prnewsid에서 2019년 12월 16일 인출 

  37. 한덕웅, 이창호, 탁진국 (1993. 6). Spielberger 상태-특성 불안 검사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논문. 서울. 

  3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39. 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Evidence-Based Practice. (2006).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61(4), 271-285. doi:10.1037/0003-066X.61.4.271 

  40. Dorsey, S., McLaughlin, K. A., Kerns, S. E. U., Harrison, J. P., Lambert, H. K., Briggs, E. C. et al. (2017). Evidence base update for psychosocial treatmen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xposed to traumatic event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46(3), 303-330. doi:10.1080/15374416.2016.1220309 

  41. Garrett, A. S., Carrion, V., Kletter, H., Karchemskiy, A., Weems, C. F., & Reiss, A. (2012). Brain activation to facial expressions in youth with PTSD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29(5), 445-459. doi:10.1002/da.21892 

  42. Harvey, S. T., & Taylor, J. E. (2010).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psychotherapy with sexually abused children and adolescent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5), 517-535. doi:10.1016/j.cpr.2010.03.006 

  43. Keeshin, B. R., Strawn, J. R., Out, D., Granger, D. A., & Putnam, F. W. (2014). Cortisol awakening response in adolescents with acute sexual abuse 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31(2), 107-114. doi:10.1002/da/22154 

  44. MK뉴스 (2019. 6). 성폭력 아동청소년 아픔 다독이며 달려온 서울해바라기센터. https://www.mk.co.kr/news/it/view/2019/06/443247/?a1에서 2019년 12월 16일 인출 

  45. Nanni, V., Uher, R., & Danese, A. (2012). Childhood maltreatment predicts unfavorable course of illness and treatment outcome in depression: A meta-analysi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9(2), 141-151. doi:10.1176/appi.ajp.2011.11020335 

  46. Rich-Edwards, J. W., Spiegelman, D., Lividoti Hibert, E. N., Jun, H. J., Todd, T. J., Kawachi, I. et al. (2010). Abus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s a predictor of type 2 diabetes in adult wome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9(6), 529-536. doi:10.1016/j.amepre.2010.09.007 

  47. Saperia, J., Lakhanpaul, M., Kemp, A., & Glaser, D. (2009). GUIDELINES: When to suspect child maltreatment: Summary of NICE guidance. BMJ, 339(7714), 230-232. doi:10.1136/bmj.b2689 

  48. SBS 뉴스 (2015. 1). 인천 어린이집, 원생 머리 강하게 내리쳐.. 'CCTV 영상' 화들짝. http://sbsfune.sbs.co.kr/news/news_content.jsp?article_idE10006170073에서 2019년 12월 16일 인출 

  49. Spirito, A., Brown, R. T., D'Angelo, E., Delamater, A., Rodrigue, J., & Siegel, L. (2003). Society of Pediatric Psychology Task Force Report: Recommendations for the training of pediatric psychologists.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8(2), 85-98. doi:10.1093/jpepsy/28.2.85 

  50. Stover, C. S., & Keeshin, B. (2018). Research domain criteria and the study of trauma in children: Implications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research. Clinical Psychology Review, 64, 77-86. doi:10.1016/j.cpr.2016.11.002 

  51. Strawn, J. R., & Geracioti, T. D. (2008). Noradrenergic dysfunction and the psychopharmac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pression and Anxiety, 25(3), 260-271. doi:10.1002/da.20292 

  52. Surtees, P. G., Wainwright, N. W., Pooley, K. A., Luben, R. N., Khaw, K. T., Easton, D. F., & Dunning, A. M. (2011). Life stress, emotional health, and mean telomere length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EPIC)-Norfolk population stud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66(11), 1152-1162. doi:10.1093/gerona/glr112 

  53. Teicher, M. H., & Samson, J. A. (2013). Childhood maltreatment and psychopathology: A case for ecophenotypic variants as clinically and neurobiologically distinct subtype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70(10), 1114-1133. doi:10.1176/appi.ajp.2013.12070957 

  54. Toth, S. L., Rogosch, F. A., Manly, J. T., & Cicchetti, D. (2006). The efficacy of toddler-parent psychotherapy to reorganize attachment in the young offspring of mother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 randomized preventive tria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6), 1006-1016. doi:10.1037/0022-006X.74.6.1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