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부궤환 루프를 가지는 저잡음 위상고정루프
Low Noise Phase Locked Loop with Negative Feedback Loop including Frequency Variation Sensing Circuit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3 no.2, 2020년, pp.123 - 128  

최영식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 (FVSC : frequency variation sensing circuit)를 포함하는 부궤환 루프를 가지는 저잡음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위상 고정 상태에서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주파수가 변화할 때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는 루프 필터의 커패시터전하량을 조절하여 제안한 위상고정루프의 위상잡음지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위상고정루프의 출력 주파수가 증가하면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가 루프 필터 커패시터 전하를 감소시킨다. 이는 루프필터 출력 전압을 하강하게 하여 위상고정루프 출력 주파수가 하강하게 된다. 추가된 부궤환 루프는 제안한 위상고정루프의 위상잡음 특성을 더욱 더 좋게 한다.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에 사용된 커패시터 크기는 영점을 결정하는 루프 필터 커패시터 크기와 비교하여도 아주 작은 크기이어서 칩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안된 저잡음 위상고정루프는 1.8V 0.18㎛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273fs 지터와 1.5㎲ 위상고정시간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ow phase noise phase locked loop (PLL) with negative feedback loop including frequency variation sensing circuit (FVSC) has been proposed. The FVSC senses the frequency variation of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output signal and controls the volume of electric charge in loop filter capacitance. ...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를 포함 하는 또 하나의 부궤환 루프가 도입된 두개의 부궤환 루프로 잡음 특성을 개선한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상고정루프란? 위상고정루프는(PLL : Phase Locked Loop) 주파수 합성기와 클록 신호 생성기로 사용되므로 5G 통신 시스템과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칩에 하나 이상 포함되는 핵심부품이다. 5G 시대의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는 잡음 특성이 우수한 주파수 합성기가 필요하다.
디지털 방식으로 설계하여 특성을 개선했으나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디지털 방식으로 설계하여 특성을 개선한 구조도 발표 되었다 [6]. 그러나 정확하게 전압제어발진기 출력 신호에 기준 신호를 정확히 정렬하기가 쉽지 않다. 아날로그 회로로 구성된 루프와 디지털 화로로 구성된 루프를 결합하여 안정하게 동작하도록 설계하여 잡음 특성을 개선한 구조도 발표되었다 [7].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의 장점은?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 (FVSC : frequency variation sensing circuit)를 포함하는 부궤환 루프를 가지는 저잡음 위상고정루프를 제안하였다. 위상 고정 상태에서 전압제어발진기의 출력주파수가 변화할 때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는 루프 필터의 커패시터의 전하량을 조절하여 제안한 위상고정루프의 위상잡음과 지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위상고정루프의 출력 주파수가 증가하면 주파수 변화 감지 회로가 루프 필터 커패시터 전하를 감소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X. Gao, E. Klumperink, M. Bohsali, and B. Nauta, "A low-noise sub-sampling PLL in which divider noise is eliminated and PD/CP noise is not multiplied by N2 ," IEEE J. solid state circuits, vol. 44, no. 12, pp. 3253-3263, Dec. 2009. 

  2. Z. Zhang , G. Zhu and C. Patrick Yue, "A 0.65V 12-to-16GHz Sub-Sampling PLL with 56.5fs Integrated Jitter and -256.4dBm FoM," IEEE ISSSC, pp. 488-489. Feb. 2019. 

  3. Z. Yang, Y. Chen, S. Yang, P. Mak, R. Matins, "A 25.4-to-29.5 GHz 10.2mW isolated subsampling PLL achieving -252.9dB jitter-power FoM and -63dBc reference spur," IEEE ISSCC, pp. 270-271, Feb. 2019. 

  4. Sheng Ye, Lars Jansson and Ian Galton, "A Multiple-Crystal Interface PLL with VCO Realignment to Reduce Phase Noise," IEEE J. solid state circuits, vol. 37, no. 12, pp. 1795-1803, Dec. 2002. 

  5. Z. Zhang, L. Liu. P. Feng and N. Wu, "A 2.4-3.5-GHz Wideband Subharmonically Injection-Locked PLL With Adaptive Injection Timing Alignment Technique," IEEE Tran. VLSI Systems, vol. 25, no. 3, 929-941, Mar. 2017. 

  6. A. Musa, W. Deng, T. Siriburanon, K. Okada and A. Matsuzawa, "A compact low-power and low-jitter dual loop injection locked PLL using all-digital PVT calibration," IEEE J. solid state circuits, vol. 49, no. 1, pp. 50-60, Jan. 2014. 

  7. D. Kim, S. Cho, "A hybrid PLL using low-power GRO-TDC for reduced in-band phase noise," IEEE Tran. Circuit and Systems-II, vol. 66, no. 2, pp. 232-236, Feb.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