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개저 이상을 동반한 재발성 세균성 뇌수막염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with a Skull Base Abnormality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7 no.1, 2020년, pp.69 - 76  

오정민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지연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  임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  조현혜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영상의학과) ,  김경효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8세부터 17세까지 4회의 세균성 뇌수막염을 경험하였던 21세 남자에서 세균성 뇌수막염이 재발하였고, 혈액과 뇌척수액에서 group B streptococcus (GBS)가 배양되었다. GBS에 의한 성인 뇌수막염의 사례는 흔하지 않으며, 본 증례 환자의 경우에도 과거 소아청소년시기에 재발했던 뇌수막염의 원인은 Streptococcus pneumoniae였다. 저자들은 세균성 뇌수막염이 재발하는 원인 중 환자의 면역 결핍 여부에 대해서는 검사를 통해 배제하였고, 기존의 여러 연구결과에 비추어보아 첫 발병 시부터 존재했던 두개저 해부학적 이상이 S. pneumoniae에 의한 뇌수막염 재발의 원인이라고 판단하였다. 나아가 성인이 되어 GBS 뇌수막염이 발병한 이유는 GBS 혈청형에 대한 옵소닌 포식항체의 혈청학적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에 비추어보아 증례 환자가 GBS Ib에 대한 항체가 음성인 경우라면, 해부학적 결함이 해결되지 않은 상태가 코인두 보균이 침습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경로가 되어 발병한 사례라고 생각하였다. 환자는 3주 간 항생제 치료 후 임상 경과가 호전되어 퇴원 후 다른 병원에서 수막종과 동반된 뇌기저부의 뇌척수액 누출을 확진 받고 수술을 받았다. 환자는 앞으로도 세균성 뇌수막염 재발 여부와 후유증으로 치료받고 있는 뇌전증에 대해 지속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is the reappearance of two or more episodes of meningitis caused by a different or same organism after an intervening period of full convalescence. Predisposing factors for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include immunodeficiency and developmental and traumatic anato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저자들은 다섯 차례에 걸쳐 세균성 뇌수막염을 진단받고 치료받은 환자 증례를 통해 재발성 세균성 뇌수막염의 임상적 특징 및 원인을 분석해보고 앞선 연구 결과들과 비교를 통해 이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Wang HS, Kuo MF, Huang SC. Diagnostic approach to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in children. Chang Gung Med J 2005;28:441-52. 

  2. Chang SH, Kim SJ, Kim JS.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secondary to cochlear aplasia, right and acquired cribriform plate defect due to trauma. Korean J Pediatr Infect Dis 1998;5:283-8. 

  3. Lee E, Lee EH, Yum MS, Ko TS.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in pediatric patients with anatomical defects. J Korean Child Neurol Soc 2011;19:102-8. 

  4. Carrol ED, Latif AH, Misbah SA, Flood TJ, Abinun M, Clark JE, et al. Lesson of the week: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the need for sensitive imaging. BMJ 2001;323:501-3. 

  5. Sukhal S, Gupta S. Drug-induced immune haemolytic anaemia caused by levofloxacin. Singapore Med J 2014;55:e136-8. 

  6. Tebruegge M, Curtis N. Epidemiology, etiology, pathogenesis, and diagnosis of recurrent bacterial meningitis. Clin Microbiol Rev 2008;21:519-37. 

  7. Vittorino R, Hui-Yuen J, Ratner AJ, Starr A, McCann T. Case report: group B streptococcus meningitis in an adolescent. F1000Res 2014;3:167. 

  8. Foster-Nyarko E, Kwambana B, Aderonke O, Ceesay F, Jarju S, Bojang A, et al. Associations between nasopharyngeal carriage of group B streptococcus and other respiratory pathogens during early infancy. BMC Microbiol 2016;16:97. 

  9. Domingo P, Barquet N, Alvarez M, Coll P, Nava J, Garau J. Group B streptococcal meningitis in adults: report of twelve cases and review. Clin Infect Dis 1997;25:1180-7. 

  10. Lee JH, Kim HW, Kim KH. Seroprevalence of opsonophagocytic antibodies against serotype Ia, Ib, II, III, and V group B streptococcus among Korean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8;33:e1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