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산만과 낙동강 하구역 해양 퇴적토의 중금속 오염도 산정 연구
Estim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Level in Masan Bay and Nakdong Estuary Sediment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1 no.3, 2020년, pp.13 - 21  

이준호 (Ship Practical Training Cent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양찬근 (Ship Practical Training Center,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한경수 (Spatial Inform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태윤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마산만과 낙동강 하구 인근의 해양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여 기존 오염도 산정방법을 이용하여 6개 중금속에 대한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미국 환경청 기준에 따르면 Cu의 경우 B1지역은 심한오염으로 분류되었고 Ni과 Zn의 경우 일부지역에서 중간정도 오염으로 분류되었다. Igeo, EF, PERF의 분류에 따르면, A와 B 지역은 Cd에 의해 오염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1 지역의 경우 Igeo, EF, PERF 값이 전 지역을 통틀어 제일 높은 값을 나타내어 심각한 오염으로 평가되었다. 6개 중금속 모두의 영향을 고려한 mean PEL quotient 분류에 따르면 모든 지역에서 중금속으로 인해 독성이 발생할 확률은 21%로 파악되었다. B1 지역의 Cd 농도는 1.5mg/k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이는 기존의 연구와 비교해서도 가장 높은 값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마산만 인근의 퇴적토에 포함된 Cd의 오염이 심각하므로 이에 대한 원인을 밝히고 향후 처리방안에 대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the marine sediments near the Masan bay and the Nakdong estuary, and to investigate the pollution intensity levels of six heavy metals using the existing pollution intensity assessment method. According to the US environm...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과 낙동강 하구역 인근의 표층 퇴적토를 채취하여 중금속 함유 여부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금속 오염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의 오염도는 측정된 중금속이 인간활동(anthropogenic activities)으로 인해 발생된 중금속인지를 평가하는 Enrichment factor(Chester & Stoner, 1973), 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이 외부적 요인에 의해 유입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Geoaccumulation index (Muller, 1969), 시간변화에 따른 다양한 중금속 오염도가 주위 생태학적 위해성을 정량적으로 표시한 Potential ecological risk factor(Hakanson, 1980)를 이용하여 채취된 퇴적토 내 중금속의 오염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 마산만 인근과 낙동강 하구역 지역에서 총 13개의 퇴적토를 채취하였고 채취한 퇴적토에 대한 성분분석과 중금속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퇴적토 오염도 산정방법을 이용하여 퇴적토의 오염도와 위해성을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의 오염도는 측정된 중금속이 인간활동(anthropogenic activities)으로 인해 발생된 중금속인지를 평가하는 Enrichment factor(Chester & Stoner, 1973), 퇴적토에 포함된 중금속이 외부적 요인에 의해 유입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 Geoaccumulation index (Muller, 1969), 시간변화에 따른 다양한 중금속 오염도가 주위 생태학적 위해성을 정량적으로 표시한 Potential ecological risk factor(Hakanson, 1980)를 이용하여 채취된 퇴적토 내 중금속의 오염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계로 유출된 중금속은 수중에서 어떻게 되는가? 급격한 산업화 및 인간 활동의 증가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데, 그 중 중금속은 미량으로도 주위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모니터링의 대상이 되고 있다(Lee, 2019). 수계로 유출된 중금속은 수중에서 이온으로 존재하지 않고 입자성 물질과의 높은 친화성으로 인해 퇴적물 중에 포함된 유기물질에 강하게 흡착되는 특성을 보인다(Balkis & Cagatay, 2001). 퇴적물에 흡착된 유기물은 산화상태에서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하지만 혐기성 상태로 변하게 되면 수계로 유출이 되는 특성이 있다(Jung et al.
퇴적토 강열감량은 무엇인가? 퇴적토에 포함된 유기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인 퇴적토 강열감량(ignition loss)은 해양오염공정시험법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일정한 양의 퇴적토를 125mL 광구 플라스틱병에 넣고 냉동고에서 완전히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 넣어서 완전히 건조시켰다.
마산만에 대한 오염은 어떠한 상태인가? 이들 지역에 위치한 창원공업단지와 수출자유지역의 설립은 1970년대 초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마산만에 대한 오염이 진행되었었다. 비록 1990년대에 유입수에 대한 수질기준의 강화로 오염물질의 유입은 줄어들었으나 기존에 유입된 중금속에 대한 영향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Cho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lkis, N. and Cagatay, M. (2001), Factors controlling metal distrib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Erdek Bay, sea of Marmara, Turkey,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27, No. 1, pp. 1-13. 

  2. Chester, R. and Stoner, J. (1973), Pb in particulates from the lower atmopshere of the eastern Atlantic, Nature, Vol. 245, No. 1, pp. 27-28. 

  3. Cho, J., Hyun, S., Han, J., Kim, S. and Shin, D. (2015), Historical trend in heavy metal pollution in core sediments from the Masan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95, No. 1, pp. 427-432 (In Korean). 

  4. Choi, K., Kim, S. and Hong, G. (2012), Distributions of heavy metals in the sediments of south korean harbors, Environmental Geochemisty and Health, Vol. 34, No. 1, pp. 71-82 (In Korean). 

  5. Guo, B., Liu, Y., Zhang, F., Hou, J., Zhang, H. and Li, C. (2018), Heavy metal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lakes on the Tibetan Plateau, China,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Control, Vol. 25, No. 10, pp. 3695-3707. 

  6. Hakanson, L. (1980), An ecological risk index for aquatic pollution control, A dimentological approach, Water Research, Vol. 14, No. 10, pp. 975-1001. 

  7. Hyun, S., Lee, C., Lee, T. and Choi, J. (2007), Anthropogenic contributions to heavy metal distribution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Bay, Korea,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4, No. 6, pp. 1059-1068 (In Korean). 

  8. Jung, H., Lee, C., Cho, Y. and Kang, J. (1996), A mechanism for the enrichment of Cu and depletion of Mn in anoxi marine sediments, Banweol intertidal flat, Korea,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32, No. 12, pp. 782-787 (In Korean). 

  9. Kim, S., Ahn, J., Kang, S., Yun, S., Lee, J., Lee, J., Lim, J., Kim, D. and Lee, T. (2013), Estimation of Contaminated Level of Sediments at the Below of Busan Gwang-an Brid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5, No. 11, pp. 1-6 (In Korean). 

  10. Kim, S., Kim, J. and Lee, K. (2015), Distribution and pollution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from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 24, No. 8, pp. 969-980. 

  11. Lee, H., Lee, J., Yu, O. and Kim, C. (2005),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Macrobenthos community near the Nakdong river estuary,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7, No. 2, pp. 135-148. 

  12. Lee, J., Lim, J., Han, K., Hwang, I., Kang, S., Kim, S., Ahn, J. and Lee, T. (2014), Characterization of Marine Sediments Obtained Near Hansan Island of South S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31, No. 4, pp. 1-8 (In Korean). 

  13. Lee, J., Yang, C. and Lee, T. (2018),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near Gwangan Bridge,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 Society, Vol. 19, No. 11, pp. 15-22 (In Korean). 

  14. Lee, S., Han, K., Kim, D., Kim, S. and Lee, T. (2015), Characterization and Estim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of Yeosu Harbor Sedi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32, No. 2, pp. 153-160 (In Korean). 

  15. Lee, S., Kim, D. and Lee, T. (2015), Estimation of Contaminated Level of Sediments Obtained from the Outport of Jeju Harb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7, No. 3, pp. 191-196 (In Korean). 

  16. Lee, T. (2013), Evaluation of Contaminated Levels of Sediments Obtained from the Southern Busan Harb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30, No. 2, pp. 119-123 (In Korean). 

  17. Lee, T. (2019), Pollution intensity assessment of sediments obtained near Nakdong estuary using pollution index for heavy meta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41, No. 2, pp. 100-109 (In Korean). 

  18. Lim, D., Jung, H., Kim, K, Sin, H. and Jung, S. (2012), Contents and stable isotopic composition of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in the surface sediment of two coastal bays in Korea,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64, No. 7, pp. 2542-2548 (In Korean). 

  19. Long, E., MacDonald, D., Severn, C. and Hong, C. (2000), Classifying probabilities of acute toxicity in marine sediments with empirically derived sediment quality guideline,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y, Vol. 19, No. 7, pp. 2598-2601. 

  20. MacDonald, D., Scottcarr, R., Calder, F., Long, E. and Ingersoll, C. (199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ediment quality quidelines for Florida coastal water, Ecotoxicology, Vol. 5, No. 2, pp. 253-278. 

  21. Muller, G. (1969), Index of geoaccumulation in sediments for the Rhine River, Geoscience Journal, Vol. 2, No. 2, pp. 108-118. 

  22. We, S., Yoon, C. and Min, B. (2012), Horizontal distributions and their exotoxicological implications relating to PCBs, DDTs, HCHs, and HCB in sediments in the West Nakdong River, Journal of Life Science, Vol. 22, No. 3, pp. 332-339. 

  23. Woo, H., Lim, J., Lee, J., Lee, J. H., Han, K. and Lee, T. (2013), Characterization and Estimation of Heavy Metal Contents of Tongyong Marine Products Breeding Ground Sedi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30, No. 3, pp. 213-219 (In Korean). 

  24. Zaggia, L. and Zonta, R. (1997), Metal-sulphide formation in the contaminated anoxic sludge of the Venice canals, Applied Geochemisty, Vol. 12, No. 8, 527-53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