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생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발생정도와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urvivors of Intensive Care Unit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1, 2020년, pp.97 - 106  

김소혜 (동아대학교병원) ,  주현옥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PTSD) in patients with intensive care units (ICU) admission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 Patient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환자들이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마치고 성공적으로 일상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중환자실 생존자가 경험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중환자실 내의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환자실 생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조기발견과 중재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PTSD)란 무엇인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PTSD)는 외상성 사건을 경험한 후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장애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을 말한다[3]. 초기의 연구 에서는 외상성 사건을 ‘보통의 인간 경험을 넘어서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고통을 주는 사건’이라고 정의하였고, 주로 외상성 사건 중 범죄 희생자, 성폭행, 자연재해, 전쟁과 같은 몇 개의 외상 사건들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4].
중환자실 재실기간 동안 환자들은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대부분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진단받고 생명 연장을 위하여 고통스럽거나 침습적인 치료와 시술을 받는다. 중환자실 재실기간 동안 환자들은 고립감, 조절감 상실, 죽음에 직면한 공포 등의 부정적인 정서들을 흔히 경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1]. 이러한 부정적인 정서의 경험은 환자들이 중환자실 치료를 마치고 일상생활로 복귀했을 때 중환자실에서의 기억을 스트레스로 인식하게 하고 나아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발전한다[2].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많은 경우에서 우울증이나 알코올 중독과 같은 다른 정신과적 문제를 야기하며, 심혈관계와 같은 신체적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또한 어떠한 문제를 야기하는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많은 경우에서 우울증이나 알코올 중독과 같은 다른 정신과적 문제를 야기하며, 심혈관계와 같은 신체적 기능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보고되었다[6,7].또한, 사회 부적응,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의 사회적 기능 및 직업적 기능에도 상당한 손상을 초래한다고 하며 만성화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장기적인 치료는 가족, 국가보건 서비스, 사회 전반에 걸쳐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지운다[8]. 이로 인해, 여러 연구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를 진단받은 중환자실 생존자들의 삶의 질은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untillo KA, Arai S, Cohen NH, Gropper MA, Neuhaus J, Paul SM, et al. Symptoms experienced by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t high risk of dying. Critical Care Medicine. 2010;38(11):2155-2160. https://doi.org/10.1097/ccm.0b013e3181f267ee 

  2. Wade DM, Howell DC, Weinman JA, Hardy RJ, Mythen MG, Brewin CR, et al. Investigating risk factors for psychological morbidity three months after intensive care: A prospective cohort study. Critical Care. 2012;16(5):R192. https://doi.org/10.1186/cc11677 

  3. Associatio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5(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4. Chae JH. Diagnosis and pathophysi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PTSD)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04;15(1):14-21. 

  5. Tedstone JE, Tarrier 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medical illness and treatment.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3;23(3):409-448 https://doi.org/10.1016/s0272-7358(03)00031-x 

  6. Van Minnen A, Zoellner LA, Harned MS, Mills K. Changes in comorbid conditions after prolonged exposure for PTSD: A literature review. Current Psychiatry Report. 2015;17:1-16. https://doi.org/10.1007/s11920-015-0549-1 

  7. Edmondson D, Kronish IM, Shaffer JA, Falzon L, Burg M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A meta-analytic review. American Heart Journal. 2013; 166(5):806-814. https://doi.org/10.1016/j.ahj.2013.07.031 

  8. Kessler R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burden to the individual and to society.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0;61(suppl 5):4-12. 

  9. Dowdy DW, Eid MP, Sedrakyan A, Mendez-Tellez PA, Pronovost PJ, Herridge MS, et al. Quality of life in adult survivors of critic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nsive Care Medicine. 2005;31(5):611-620. https://doi.org/10.1007/s00134-005-2592-6 

  10. Griffiths J, Fortune G, Barber V, Young JD. The prevalence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urvivors of ICU treatment: A systematic review. Intensive Care Medicine. 2007;33(9):1506-1518. https://doi.org/10.1007/s00134-007-0730-z 

  11. Schelling G, Briegel J, Roozendaal B, Stoll C, Rothenhausler HB, Kapfhammer HP. The effect of stress doses of hydrocortisone during septic shock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survivors. Biological Psychiatry. 2001;50(12):978-985. https://doi.org/10.1016/S0006-3223(01)01270-7 

  12. Twigg E, Humphris G, Jones C, Bramwell R, Griffiths RD. Use of a screening questionnaire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n a sample of UK ICU patients. Acta Anaesthesilogica Scandinavia. 2008;52(2):202-208. https://doi.org/10.1111/j.1399-6576.2007.01531.x 

  13. Cuthbertson BH, Hull A, Strachan M, Scott J.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critical illness requiring general intensive care. Intensive Care Medicine. 2004;30(3):450-455. https://doi.org/10.1007/s00134-003-2004-8 

  14. Parker AM, Sricharoenchai T, Raparla S, Schneck KW, Bienvenu OJ, Needham DM.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tical illness survivors: a metaanalysis. Critical Care Medicine. 2015;43(5):1121-1129. https://doi.org/10.1097/ccm.0000000000000882 

  15. Needham DM, Davidson J, Cohen H, Hopkins RO, Weinert C, Wunsch H, et al. Improving long-term outcomes after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unit: Report from a stakeholders' conference. Critical Care Medicine. 2012;40(2):502-509. https://doi.org/10.1097/CCM.0b013e318232da75 

  16. Bienvenu OJ, Gellar J, Althouse BM, Colantuoni E, Sricharoenchai T, Mendez-Tellez PA, et 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fter acute lung injury: A 2-year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2013;43(12):2657-2671. https://doi.org/10.1017/s0033291713000214 

  17. Garrouste-Orgeas M, Coquet I, Perier A, Timsit JF, Pochard F, Lancrin F, et al. Impact of an intensive care unit diary on psychological distress in patients and relatives*. Critical Care Medicine. 2012;40(7):2033-2040. https://doi.org/10.1097/CCM.0b013e31824e1b43 

  18. Foa EB, Cashman L, Jaycox L, Perry K.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1997;9(4):445-451. https://doi.org/10.1037/1040-3590.9.4.445 

  19. Nam BR, Kwon HI, Kwon JH.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Diagnosis Scale(PDS-K).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0;29(1):147-167. https://doi.org/10.15842/kjcp.2010.29.1.009 

  20. Hardin JW, Hilbe JM. Generalized linear models and extensions. 2nd ed. Texas: Stata Press; 2007. p. 89-105. 

  21. Kapfhammer HP, Rothenhausler HB, Krauseneck T, Stoll C, Schelling 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long-term survivors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04;161(1): 45-52. https://doi.org/10.1176/appi.ajp.161.1.45 

  22. Jones C, Backman C, Capuzzo M, Flaatten H, Rylander C, Griffiths RD. Precipitant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llowing intensive care: A hypothesis generating study of diversity in care. Intensive Care Medicine. 2007;33(6):978-985. https://doi.org/10.1007/s00134-007-0600-8 

  23. Rattray JE, Johnston M, Wildsmith JA. Predictors of emotional outcomes of intensive care. Anaesthesia. 2005;60(11):1085-1092. https://doi.org/10.1111/j.1365-2044.2005.04336.x 

  24. Stoll C, Schelling G, Goetz AE, Kilger E, Bayer A, Kapfhammer HP,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atients after cardiac surgery and intensive care treatment. The Journal of Thoracic Cardiovascular Surgery. 2000;120(3):505-512. https://doi.org/10.1067/mtc.2000.108162 

  25. Hatchett C, Langley G, Schmollgruber S. Psychological sequelae following ICU admission at a level 1 academic South African hospital. Southern Af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0;26(2):52-58. 

  26. Kang JY, Lee EN, Park EY, Lee YO, Lee MM. Emotional reponse of ICU patients family toward physical restrai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2):148-156. https://doi.org/10.7475/kjan.2013.25.2.148 

  27. Choi EH, Song MS. Physical restraint use in a Korean ICU.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3;12(5):651-659. https://doi.org/10.1046/j.1365-2702.2003.00789.x 

  28. Lee MM, Kim KS. Comparison of physical injury, emotional response and unplanned self-removal of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2):296-306. https://doi.org/10.22650/JKCNR.2012.18.2.296 

  29. Naber D, Bullinger M. Psychiatric sequelae of cardiac arrest. Dialogues Clinical Neuroscience. 2018;20(1):73-77. 

  30. Wilder Schaaf KP, Artman LK, Peberdy MA, Walker WC, Ornato JP, Gossip MR, et al. Anxiety, depression, and PTSD following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Resuscitation. 2013;84(7):873-877.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2.11.0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