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불안,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유병률 및 위험요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Anxiety,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tical Care Survivor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3 no.3, 2020년, pp.62 - 74  

강지연 (동아대학교 간호학부) ,  안금주 (부산대학교병원 외상중환자실3)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 This was a secondary analysis study using data from a multicenter prospective cohort of post-ICU patients. We analyzed data of 31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중환자실 환자의 퇴원 시점부터 추적하여 퇴원 이후 정신 건강 문제의 유병률 및 위험요인을 분석한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기관 중환자실 퇴원환자 코호트 자료에 근거하여 이들의 불안, 우울, PTSD 유병률 및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여 향후 퇴원 중환자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을 위한 중재 개발에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불안, 우울, PTSD의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그들의 정신건강 현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퇴원 3개월 시점에서 경증 이상의 불안과 우울, 중등도 위험 이상의 PTSD 유병률은 각각 25.
  • 본 연구는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의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불안, 우울, PTSD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이차 분석연구이다. 일차 연구는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집중치료증후군 위험요인과 장기적 결과에 관한 다기관 코호트 연구(이하, 중환자실 퇴원 환자 코호트 연구)”로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건강상태를 퇴원 후 24개월 동안 추적 조사하는 연구이다(CRIS 등록번호: KCT0004045).
  • 본 연구에서는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 자료를 이용하여 중환자실 퇴원 환자의 정신건강 문제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퇴원 3개월 차 환자의 불안, 우울, PTSD 유병률은 각각 25.
  •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다기관 전향적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중환자실 퇴원환자의 정신건강 문제 유병률을 제시하고 위험요인을 고찰하였다는 데 있다. 정신건강 문제는 신체적 측면에 집중되어 있는 중환자 치료와 재활의 특성상 간과되기 쉬운 영역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astillo, M. I., Cooke, M. L., Macfarlane, B., & Aitken, L. M. (2016). In ICU state anxiety is not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ver six months after ICU discharge: A prospective study. Australian Critical Care, 29(3), 158-164. 

  2. Chahraoui, K., Laurent, A., Bioy, A., & Quenot, J. P. (2015). Psychological experience of patients 3 months after a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A descriptive and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ritical Care, 30(3), 599-605. 

  3. Cha, H. J., & Ahn, S. (2019). Impact of environmental stressors on the risk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quality of life in intensive care unit survivor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2(1), 22-35. 

  4. Foa, E. B., Cashman, L., Jaycox, L., & Perry, K. (1997).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9(4), 445-451. 

  5. Hatch, R., Young, D., Barber, V., Griffiths, J., Harrison, D. A., & Watkinson, P. (2018). Anxiety, depression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critical illness: A UK-wide prospective cohort study. Critical Care, 22(1), 310. 

  6.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6). 2016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 Book. Seoul, Korea: Author. 

  7. Hill, A. D., Fowler, R. A., Pinto, R., Herridge, M. S., Cuthbertson, B. H., & Scales, D. C. (2016). Longterm outcomes and healthcare utilization following critical illness-a population-based study. Critical Care, 20, 76. 

  8. Iwashyna, T. J. (2012). Trajectories of recovery and dysfunction after acute illness, with implications for clinical trial desig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6(4), 302-304. 

  9. Kang, J., & Jeong, Y. J. (2018). Embracing the new vulnerable self: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critical care survivors' post-intensive care syndrome. Intensive & Critical Care Nursing, 49, 44-50. 

  10. Kang, J., Yun, S., Cho, Y. S., & Jeong, Y. J. (2020). Post-intensive care unit depression among critical care survivor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17(2), e12299. 

  11. Katon, W. J. (2003). Clinical and health services relationships between major depression, depressive symptoms, and general medical illness. Biological Psychiatry, 54(3), 216-226. 

  12. Kiekkas, P., Theodorakopoulou, G., Spyratos, F., & Baltopoulos, G. I. (2010). Psychological distress and delusional memories after critical care: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7(3), 288-296. 

  13. Kim, S., & Kang, J. (2016). Post-intensive care syndrome and quality of life in survivors of critical illnes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9(1), 1-14. 

  14. Lee, M., Kang, J., & Jeong, Y. (2020). Risk factors for post-intensive care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ustralian Critical Care, 33(3), 287-294. 

  15. Mikkelsen, M. E., Christie, J. D., Lanken, P. N., Biester, R. C., Thompson, B. T., Bellamy, S. L., . . . Angus, D. C. (2012).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cognitive outcomes study: Long-term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survivors of acute lung injur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85(12), 1307-1315. 

  16. Myhren, H., Ekeberg, O., Toien, K., Karlsson, S., & Stokland, O. (2010).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in patients during the first year post intensive care unit discharge. Critical Care, 14(1), R14. 

  17. Nam, B. R., Kwon, H. I., & Kwon, J. H. (2010). Psychometric quali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diagnosis scale (PDS-K).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1), 147-167. 

  18. Needham, D. M., Davidson, J., Cohen, H., Hopkins, R. O., Weinert, C., Wunsch, H., . . . Brady, S. L. (2012). Improving long-term outcomes after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unit: Report from a stakeholders' conference. Critical Care Medicine, 40(2), 502-509. 

  19. Nikayin, S., Rabiee, A., Hashem, M. D., Huang, M., Bienvenu, O. J., Turnbull, A. E., & Needham, D. M. (2016). Anxiety symptoms in survivors of critic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43, 23-29. 

  20. Oliveira, H. S. B., & Fumis, R. R. L. (2018). Sex and spouse conditions influence symptoms of anxiety,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oth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and their spouses. Revista Brasileira de terapia intensiva, 30(1), 35-41. 

  21. Park, J., Jeon, K., Chung, C. R., Yang, J. H., Cho, Y. H., Cho, J., . . . Suh, G. Y. (2018). A nationwide analysis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s, 2009-2014-The Korean ICU National Data (KIND) study. Journal of Critical Care, 44, 24-30. 

  22. Parker, A. M., Sricharoenchai, T., Raparla, S., Schneck, K. W., Bienvenu, O. J., & Needham, D. M. (2015).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tical illness survivors: A metanalysis. Critical Care Medicine, 43(5), 1121-1129. 

  23. Pereira, S., Cavaco, S., Fernandes, J., Moreira, I., Almeida, E., Seabra-Pereira, F., . . . Cardoso, T. (2018). Long-term psychological outcome after discharge from intensive care. Revista Brasileira de Terapia Intensiva, 30(1), 28-34. 

  24. Pisani, M. A., Devlin, J. W., & Skrobik, Y. (2019). Pain and delirium in critical illness: An exploration of key 2018 SCCM PADIS guideline evidence gaps. Seminars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40(5), 604-613. 

  25. Rabiee, A., Nikayin, S., Hashem, M. D., Huang, M., Dinglas, V. D., Bienvenu, O. J., . . . Needham, D. M. (2016). Depressive symptoms after critical illne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ritical care medicine, 44(9), 1744-1753. 

  26. Rattray, J., Johnston, M., & Wildsmith, J. A. (2004). The intensive care experience: Development of the ICE questionnai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7(1), 64-73. 

  27. Scragg, P., Jones, A., & Fauvel, N. (2001). Psychological problems following ICU treatment. Anaesthesia, 56(1), 9-14. 

  28. Wade, D., Hardy, R., Howell, D., & Mythen, M. (2013). Identifying clinical and acute psychological risk factors for PTSD after critical care: A systematic review. Minerva Anestesioogyl, 79(8), 944-963. 

  29. Wunsch, H., Christiansen, C. F., Johansen, M. B., Olsen, M., Ali, N., Angus, D. C., & Sorensen, H. T. (2014). Psychiatric diagnoses and psychoactive medication use among nonsurgical critically ill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1(11), 1133-1142. 

  30.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6), 361-37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