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질 연구 자료의 관리와 활용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암석, 광물의 분류와 3D 모델을 중심으로
Establishing A Database for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Geological Research Data: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Rocks and Minerals and 3D Model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2, 2020년, pp.137 - 146  

고보균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이창욱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박성재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스마트지역혁신학과) ,  이기영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는 독자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개인적으로 보관 중인 지질 연구 자료가 다량 존재하는데, 이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연구자들과의 공유가 용이하지 않다. 이런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총괄적으로 관리하여 이 자료를 필요로 하는 연구자들이 효과적으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국내에서 연구된 약 1000여개의 지질 시료(900여개의 암석과 화석 시료, 100여개의 박편 시료)를 수집하였고, 각 시료의 고화질 사진, 분류, 시료명, 보유기관, 산지, 좌표, 특징 등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암석과 화석 시료 100개에 대해 추가적으로 3D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유실되거나 방치되는 중요한 지질 자료에 대한 연구자들의 접근성이 높아지고 자료의 공유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반복적인 연구 자료 수집 작업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경쟁력을 갖춘 연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미 확보된 시료에 대한 무분별한 반복 채집으로 인해 중요한, 그리고 피해에 취약한 자료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향후 전국의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보관중인 다양한 암석과 박편 시료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추가로 구축하면 자료의 식별 및 진전된 연구가 가능하고, 더불어 전문적인 광물학 및 암석학의 기초 지식에 대한 비교와 분석을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reat number of geological research data have been produced by individually conducted researchers and then personally stor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hare data with other researchers owing to low and limited acces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시스템은 이런 자료들이 보관되어 있는 위치와 상태 그리고 수량을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수집·관리하며, 연구자들이 자료에 접근하여 내용을 구체적으로 검색하고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의 토대를 마련한다.
  •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 독자적으로 보관 중인 지질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데이터베이스 구축)하여 국내의 지질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학의 지질학 관련 학과에서 보유하고 있는 암석과 화석 및 박편 시료 1000여개를 수집하여 메타데이터를 구축하였다.
  • 이 연구의 목표는, 전국적으로 방치되어 있는 지질연구 자료의 확보 및 관리, 자료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 마련, 중요한 자료에 대한 상호 접근과 공유, 무한하지 않은 지질 연구 자료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구축, 그리고 자료를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의 인식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D.K., 2014, Geology and Tectonic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277 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Choi, D.K., Kim, D.H., and Sohn, J.W., 2001, Ordovician trilobite faunas and depositional histroy of the Taebaeksan Basin, Korea: implications for palaeogeography. Alcheringa, 25, 53-68. 

  3. Coe, A.L., Argles, T.W., Rothery, D.A., and Spicer, R.A., 2010, Geological Field Techniques. Wiley-Blackwell, The Open University, Milton Keynes, United Kingdom, 323 p. 

  4. GCMD, 2017, Global Change Master Directory-Discover Earth Science Data and Services. NASA. https://gcmd.nasa.gov/index.html (October 5th 2017) 

  5. Han, J.G., 2019, Experience on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and assignments. In: Joint Conference of Korea Special Library Association and National Association for Policy Information. http://www.ksla.info/sboard/frm_down.php?uid773 (June 27th 2019) 

  6. KIGAM, 2016,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for digital data repository system of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JP2015-005-2016(1), 133 p. (in Korean) 

  7. Kim, S., 2015, Change of research paradigm and dataintensive science. https://www.slideshare.net/suntaekim/ss-55398568 (November 23rd 2015) 

  8. Kobayashi, T., 1934,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and faunas of South Chosen. Palaeontology. Part I, Middle Ordovician faunas.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Imperial University of Tokyo, Section II, 3, 329-519. 

  9. Lee, K. and Lee, H.Y., 1990,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Upper Chseon Supergroup in Jangsung-Dongjeom area, Gangweon-Do.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6, 188-210. 

  10. Lee, Y.N. and Lee, H.Y., 1986, Conodont biostratifcation of the Jigunsan shale and Duwibong limestone in the Nokjeon-Sangdong area, Yeongweolgun Kangweondo, Kore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 114-136. 

  11. Levy, M., Rafferty, J., Hosch, W.L., Rogers, K., Curley, R., and Hayes, D., 2008, Rocks and Minerals. Britannica Illustrated Science Library, Chicago, USA, 101 p. 

  12. Ministry of Science and ICT, 2018,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sharing and utilizing research data. https://www.msit.go.kr/SYNAP/skin/doc.html?fn3901d44f04929002d390fd2a4a06180d&rs/SYNAP/sn3hcv/result/202002/ (January 18th 2018) 

  13. OSTP, 2013, Increasing access to the results of federally funded scientific research. Memorandom,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Washington, D.C., 6 p. https://obamawhitehouse.archives.gov/sites/default/files/microsites/ostp/ostp_public_access_memo_2013.pdf (February 22nd 2013) 

  14. Pellant, C., 2002, Smithsonian Handbooks: Rocks and Minerals. Dorling Kindersley, London, UK, 256 p. 

  15. Shin, E., 2018, Data management plan for national R&D program. http://www.stepi.re.kr/module/forumDownFile.jsp?cmsCdCM0037&ntNo27178&sbNo2&fileFlagspk (November 22nd 2018) 

  16. Whitney, D.L. and Evans, B.W., 2010, Abbreviations for names of rock-forming minerals. American Mineralogist, 95, 185-187. 

  17. Zoehfeld, K.W., 2012, Rocks and Minerals. Scholastic Inc., New York, USA, 32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