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트륨 기반 이차전지용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소재 연구 동향 원문보기

E<SUP>2</SUP>M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v.33 no.1, 2020년, pp.38 - 47  

이종성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부) ,  안수현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부) ,  이윤기 (경상대학교 나노.신소재공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기고에서는 나트륨 기반 이차전지용 고체전해질 소재를 소개하며, 특히 산화물계 나트륨 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 소재 중 하나인 베타알루미나(Na β/β”-Alumina)의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 이온 전지의 특징은? 이차전지는 경쟁 기술 대비 높은 에너지 효율과 낮은 설계적 제약으로 인하여,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로 각광받아왔다. 그 중 리튬 이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고출력 특성, 우수한 충방전 수명 특성으로 인해 소형 가전의 이동형 전원으로 시장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해왔으며, 최근 전기차량(electric vehicles;EV) 및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batteryenergy storage system; BESS) 등 고집적 에너지 분야로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1-3]. 이차전지가 차량의 에너지원으로 적용됨에 따라 기존 화석연료 기반 시스템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이 가능하며, ESS로 응용되어 전력의 효율적인 주파수 조정, 신재생에너지의 출력 안정화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동거리의 제약 및 한정된 에너지 저장 능력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용량 증대, 고집적화 및 출력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4].
리튬이온전지에 존재하는 안전성 이슈는 무엇인가?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의 주요 원료인 리튬염은 전 세계 매장량의 70% 이상이 남미에 편재되었으며,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인해 수급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저단가화 및 생산량 확대에 한계가 예상된다. 또한, EV의 주행거리 향상 또는 BESS 에너지 저장량 증대를 위해 제한된 공간 또는 중량 조건 하에 이차전지를 집적하는 경우, 대규모로 발생하는 줄열(Joule heat)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과도한 발열은 가연성인 유기액 체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이온전지의 안전성을 위협한다. 최근 발생한 EV 및 BESS 화재 사고들(그림 1)로 인해 소비자들은 이차전지의 안전성에 대해 우려하게 되었으며 [5,6], 2019년 6월 산업통상자원부는 ESS의 23개 사고 현장에 대한 조사를 통해 발표한 안전 강화 대책에서 화재위험성이 적고 효율이 높은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및 조기 상용화를 지원을 천명하였다 [7].
이차전지가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로 각광받고 있는 이유는? 이차전지는 경쟁 기술 대비 높은 에너지 효율과 낮은 설계적 제약으로 인하여,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로 각광받아왔다. 그 중 리튬 이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고출력 특성, 우수한 충방전 수명 특성으로 인해 소형 가전의 이동형 전원으로 시장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해왔으며, 최근 전기차량(electric vehicles;EV) 및 대용량 에너지 저장 시스템(batteryenergy storage system; BESS) 등 고집적 에너지 분야로 적용을 확대하고 있다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J. M. Tarascon and M. Armand, Nature, 414, 359 (2001). 

  2. M. Armand and J. M. Tarascon, Nature, 451, 652 (2008). 

  3. Z. Yang, J. Zhang, M.C.W. Kintner-meyer, X. Lu, D. Choi, and J. P. Lemmon, Chem. Rev., 111, 3577 (2011). 

  4. C. Zhou, S. Bag, and V. Thangadurai, ACS Energy Lett., 3, 2181 (2018). 

  5. K. Hyatt, Tesla Model X fatal crash and fire under investigation, https://www.cnet.com/roadshow/news/tesla-model-x-autopilot-crash-fire/%0A (2018). 

  6. 황건강, 최윤신, 모든 폭발.화재 위험에 대비하라?, https://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26391%0A (2019). 

  7. 산업통상자원부, ESS 사고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강화 대책 발표 (2019). 

  8. K.B. Hueso, M. Armand, and T. Rojo, Energy Environ. Sci., 6, 734 (2013). 

  9. W. Hou, X. Guo, X. Shen, K. Amine, H. Yu, and J. Lu, Nano Energy, 52, 279 (2018). 

  10. G. Li, X. Lu, J.Y. Kim, K.D. Meinhardt, H. J. Chang, N. L. Canfield, and V. L. Sprenkle, Nat. Commun,. 7, 1 (2016). 

  11. I. Kim, J. Y. Park, C. H. Kim, J. W. Park, J. P. Ahn, J. H. Ahn, K. W. Kim, and H. J. Ahn, J. Power Sources., 301, 332 (2016). 

  12. T. Wu, Z. Wen, C. Sun, X. Wu, S. Zhang, and J. Yang, J. Mater. Chem. A., 6, 12623 (2018). 

  13. H. Yamauchi, J. Ikejiri, F. Sato, H. Oshita, T. Honma, and T. Komatsu, J. Am. Ceram. Soc., 102, 6658 (2019). 

  14. X. Lu, H. J. Chang, J. F. Bonnett, N. L. Canfield, K. Jung, V. L. Sprenkle, and G. Li, ACS Omega., 3, 15702 (2018). 

  15. J. S. Moreno, M. Armand, M. B. Berman, S. G. Greenbaum, B. Scrosati, and S. Panero, J. Power Sources., 248, 695 (2014). 

  16. L. Duchene, R. S. Kuhnel, D. Rentsch, A. Remhof, H. Hagemann, and C. Battaglia, Chem. Commun., 53, 4195 (2017). 

  17. W. S. Tang, K. Yoshida, A. V Soloninin, R. V Skoryunov, O. A. Babanova, A. V Skripov, M. Dimitrievska, V. Stavila, S. Orimo, and T. J. Udovic, ACS Energy Lett., 1, 659 (2016). 

  18. A. Hayashi, K. Noi, A. Sakuda, and M. Tatsumisago, Nat. Commun., 3, 856 (2012). 

  19. Y. P. Hong, Mater. Res. Bull., 11, 173 (1976). 

  20. J. B. Goodenough, H. Y. Hong, and J. A. Kafalas, Mater. Res. Bull., 11, 203 (1976). 

  21. Z. Jian, Y. S. Hu, and X. Ji, W. Chen, Adv. Mater., 29, 1601925 (2017). 

  22. W. Zhou, Y. Li, S. Xin, and J. B. Goodenough, ACS Cent. Sci., 3, 52 (2017). 

  23. J.V.L. Beckers, K. J. Van Der Bent, and S. W. De Leeuw, Solid State Ionics., 133, 217 (2000). 

  24. G. A. Rankin and H. E. Merwin, J. Am. Chem. Soc., 38, 568 (1916). 

  25. R. Ridgway, A. Klein, and W. O'Leary, Trans. Electrochem. Soc., 70, 71 (1936). 

  26. Y. Y. Yao and J. T. Kummer, J. Inorg. Nucl. Chem., 29, 2453 (1967). 

  27. J. L. Sudworth and A. R. Tilley, The Sodium-Sulfur Battery, Chapman and Hall, London(1985). 

  28. J. B. Bates, H. Engstrom, J. C. Wang, B. C. Larson, N. J. Dudney, and W. E. Brundage, Solid State Ionics., 5, 159 (1981). 

  29. H. Engstrom, J. B. Bates, W. E. Brundage, and J. C. Wang, Solid State Ionics., 2, 265 (1981). 

  30. P. Parthasarathy and A. V Virkar, J. Electrochem. Soc., 160, A2268 (2013). 

  31. A. V. Virkar, J. F. Jue, and K. Z. Fung, United States Patent US6537940B1, 2013. 

  32. K. Jung, H. Chang, F. Bonnett, N. L. Can, V. L. Sprenkle, and G. Li, J. Power Sources, 396, 297 (2018). 

  33. H. J. Chang, X. Lu, J. F. Bonnett, N. L. Canfield, K. Han, M. H. Engelhard, K. Jung, V. L. Sprenkle, and G. Li, J. Mater. Chem. A., 6, 19703 (2018). 

  34. D. Jin, S. Choi, W. Jang, A. Soon, J. Kim, H. Moon, W. Lee, Y. Lee, S. Son, Y. C. Park, H. Chang, G. Li, K. Jung, and W. Shim, ACS Appl. Mater. Interfaces., 11, 2917 (2019). 

  35. T. Wu, Z. Wen, C. Sun, X. Wu, S. Zhang, and J. Yang, J. Mater. Chem. A., 6, 12623 (201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