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함량에 따른 PEO 기반 복합전해질 전기화학 성능 연구
Study on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PEO-based Composite Electrolyte by Contents of Oxide Solid Electrolyte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21 no.4, 2018년, pp.80 - 87  

이명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융복합센서연구그룹) ,  김주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융복합센서연구그룹) ,  오지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융복합센서연구그룹) ,  김주미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융복합센서연구그룹) ,  김광만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융복합센서연구그룹) ,  이영기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융복합센서연구그룹) ,  신동옥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융복합센서연구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기자동차와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전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에 있어서 안전성은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연성의 유기 액체전해질이 불연성의 고체전해질로 대체된 전고체 전지를 제조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체전해질은 자체 이온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전극/전해질 계면에서 높은 저항이 발생하므로 실질적인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유무기 소재로 구성된 복합전해질은 고체전해질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O 전해질과 LLZO 고체전해질을 복합화하여 전해질을 제조하였고, LLZO 고체전해질 함량에 따라 결정성, 형상 및 전기화학 성능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로부터 PEO 전해질 내에 LLZO 고체전해질의 최적 함량 및 균일한 분포가 전체 복합전해질의 이온전도도 향상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fety issues in Li-ion battery system have been prime concerns, as demands for power supply device applicable to wearable device, electrical vehicles and energy storage system have increased. To solve safety problems, promising strategy is to replace organic liquid electrolyte with non-flammable s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전도성 LLZO 고체전해질을 합성한 후 이를 무기물 필러로 리튬염이 해리되어있는 PEO 전해질과 복합화하고 무기물 필러 함량에 따라 제조 조건, 형상 및 전기화학 성능 결과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높은 이온전도성능을 얻기 위한 LLZO 고체전해질 최적 함량을 탐색하였다. 특히, 무기물 필러로 LLZO고체전해질 함량을 10, 30, 50 wt%로 조절하였고 복합전해질 형상을 관찰하여 무기물 필러 분포 분석을 통해 이온전도도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LLZO 고체전해질이PEO 전해질 내에서 응집을 최소화하면서 균일하게 분산되었을 때, 저항이 최소화되고 높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러나 상온에서 결정영역과 비정질 영역이 공존하여 <10-6 S cm-1의 이온전도 특성을 보이므로 실질적인 활용에 제약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전도성 무기물 필러를 함께 복합화하여 PEO의 결정성을 떨어뜨려 고분자 사슬의 움직임을 촉진시켜 리튬이온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려는데 목적이 있다. 실제로 Fig.

가설 설정

  • 2) 리튬염이 해리된 고분자전해질에 리튬이온전도성 고체전해질을 복합화 시켰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복합전해질내의 리튬이온농도가 증가되었다. 3) LLZO 고체전해질 표면에서의 리튬이온과 PEO 고분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고체전해질 표면에서의 리튬공공이 생성되어 리튬이온전도에 유리한 표면이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 연구시스템에서는 정확한 리튬이온농도를 측정하기 어렵고 고체전해질 표면과 고분자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입자크기 조절 또는 리튬 염이 해리되어 있지 않은 고분자전해질의 적용이 요구되어 추가적으로 심도 있는 연구 수행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온전지에서 고체전해질을 활용하는 이유는? 고체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의 경우, 전지 디자인이3차원적으로 자유성을 가지며 내부에 활용되지 못한 공간이 최소화된다. 또한, 전해액의 분해반응과 충격에 의한 누액, 발화, 폭발 등의 위험성이 현저히 작고 구동전압 범위가 매우 넓어 고전압용 전극의 사용이 제한되지 않으며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자체적으로 분리막의 기능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음극소재로 상용화되고 있는 탄소 소재보다 10배 이상의 이론용량을 가지는 리튬금속, 리튬합금 등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리튬-공기 또는 리튬-황 전지 등의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여 질량 및 부피에 대한에너지 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3)
리튬의 특징은? 이러한 사회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이차전지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그 중 높은 에너지밀도 및 우수한 전지 성능으로 인해 리튬이온전지가 많이 활용 되어지고 있다. 특히, 리튬은 크기가 작고 가벼운 금속원소이고 산화, 환원성이 우수하여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전지는 중량 또는 부피당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게 된다. 전지 내부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은 전해질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해질 내에서 리튬이온의 이온전도도는 전지의 수명, 용량, 가역성 및 충방전 속도에 영향을 준다.
고체전해질이 실질적인 활용에 제약이 있는 이유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연성의 유기 액체전해질이 불연성의 고체전해질로 대체된 전고체 전지를 제조하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체전해질은 자체 이온전도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전극/전해질 계면에서 높은 저항이 발생하므로 실질적인 활용에 제약이 있었다. 이에 유무기 소재로 구성된 복합전해질은 고체전해질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P. G. Balakrishnan, R. Ramesh and T. Prem Kumar, 'Safety mechanisms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55, 401-414 (2006). 

  2. E.-H. Kil et al., 'Imprintable, bendable, and shapeconformable polymer electrolytes for versatile-shaped lithium-ion batteries' Adv. Mater., 25, 13-29 (2013). 

  3. P. G. Bruce, S. A. Freunberger, L. J. Hardwick and J.-M. Tarascon, ' $Li-O_2$ and Li-S batteries with high energy storage' Nat. Mater., 11, 20-29 (2011). 

  4. F. Mizuno, A. Hayashi, K. Tadanaga and M. Tatsumisago, 'New, highly ion-conductive crystals precipitated from $Li_2S-P_2S_5$ glasses' Adv. Mater., 17, 91-921 (2005). 

  5. A. Hayashi, S. Hama, T. Minami and M. Tatsumisago, 'Formation of superionic crystals from mechanically milled $Li_2S-P_2S_5$ glasses' Electrochem. Commun., 5, 111-114 (2003). 

  6. Y. Seino, T. Ota, K. Takada, A. Hayashi and M. Tatsumisago, 'A sulphide lithium super ion conductor is superior to liquid ion conductors for use in rechargeable batteries' Energy Environ. Sci., 7, 627-631 (2014). 

  7. A. Hayashi, K. Minami, S. Ujiie and M. Tatsumisago, 'Preparation and ionic conductivity of $Li_7P_3S_{11}-z$ glassceramic electrolytes' J. Non-Cryst. Solids, 356, 2670-2673 (2010). 

  8. R. Kanno and M. Murayama, 'Lithium ionic conductor thio-LISICON: The $Li_2S\,GeS_2\,P_2S_5$ system' J. Electrochem. Soc., 148, A742-A746 (2001). 

  9. N. Kamaya et al., 'A lithium superionic conductor' Nat. Mater., 10, 682-686 (2011). 

  10. Y. Mo, S. P. Ong and G. Ceder, 'First principles study of the $Li_{10}GeP_2S_{12}$ lithium super ionic conductor material' Chem. Mater., 24, 15-17 (2012). 

  11. K. Takada, 'Progress and prospective of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Acta Mater., 61, 759-770 (2013). 

  12. P. Birke, S. Scharner, R. A. Huggins and W. Weppner, 'Electrolytic stability limit and rapid lithium insertion in the fast-ion-conducting $Li_{0.29}La_{0.57}TiO_3$ perovskitetype compound' J. Electrochem. Soc., 144, L167- L169 (1997). 

  13. S. Stramare, V. Thangadurai and W. Weppner, 'Lithium Lanthanum Titanates: A review' Chem. Mater., 15, 3974-3990 (2003). 

  14. H. Nakano, K. Dokko, M. Hara, Y. Isshiki and K. Kanamura, 'Three-dimensionally ordered composite electrode between $LiMn_2O_4$ and $Li_{1.5}Al_{0.5}Ti_{1.5}(PO_4)_3$ ' Ionics, 14, 173-177 (2008). 

  15. R. Murugan, V. Thangadurai and W. Weppner, 'Fast lithium ion conduction in garnet-type $Li_7La_3Zr_2O_{12}$ ' Angew. Chem. Int. Ed., 46, 7778-7781 (2007). 

  16. F. Croce, G. B. Appetecchi, L. Persi and B. Scrosati, 'Nanocomposite polymer electrolytes for lithium batteries' Nature, 394, 456-458 (1988). 

  17. S. Liu, N. Imanishi, T. Zhang, A. Hirano, Y. Takeda, O. Yamamoto and J. Yang, 'Effect of nano-silica filler in polymer electrolyte on Li dendrite formation in Li/ poly(ethylene oxide)- $Li(CF_3SO_2)_2N/Li$ ' J. Power Sources, 195, 6847-6853 (2010). 

  18. W. Liu, N. Liu, J. Sun, P.-C. Hsu, Y. Li, H.-W. Lee and Y. Cui, 'Ionic conductivity enhancement of polymer electrolytes with ceramic nanowire fillers' Nano Lett., 15, 2740-2745 (2015). 

  19. H. Zhai, P. Xu, M. Ning, Q. Cheng, J. Mandal and Y. Yang, 'A flexible solid composite electrolyte with vertically aligned and connected ion-conducting nanoparticles for lithium batteries' Nano Lett., 17, 3182- 3187 (2017). 

  20. J. Zheng, M. Tang and Y.-Y. Hu, 'Lithium ion pathway within $Li_7La_3Zr_2O_{12}$ -polyethylene oxide composite electrolytes' Angew. Chem. Int. Ed., 55, 12538-12542 (2016). 

  21. J. L. Allen, J. Wolfenstine, E. Rangasamy and J. Sakamoto, 'Effect of substitution (Ta, Al, Ga) on the conductivity of $Li_7La_3Zr_2O_{12}$ ' J. Power Sources, 206, 315-319 (2012). 

  22. D. O. Shin, K. Oh, K. M. Kim, K.-Y. Park, B. Lee, Y.- G. Lee and K. Kang, 'Synergistic multi-doping effects on the $Li_7La_3Zr_2O_{12}$ solid electrolyte for fast lithium ion conduction' Sic. Rep., 18053 (2015). 

  23. R. Murugan, V. Thangadurai, and W. Weppner, 'Fast lithium ion conduction in garnet-type $Li_7La_3Zr_2O_{12}$ ' Angew. Chem. Int. Ed., 46, 7778-7781 (2007). 

  24. S. H.-S. Cheng, K.-Q. He, Y. Liu, J.-W. Zha, M. Kamruzzaman, R. L.-W. Ma, Z.-M. Dang, R. K. Y. Li and C. Y. Chung,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allsolid- state lithium batteries using inorganic lithium garnets particulate reinforced $PEO/LiClO_4$ electrolyte' Electrochim. Acta, 253, 430-438 (2017). 

  25. J.-H. Choi, C.-H. Lee, J.-H. Yu, C.-H. Doh and S.-M. Lee, 'Enhancement of ionic conductivity of composite membranes for all-solid-state lithium rechargeable batteries incorporating tetragonal $Li_7La_3Zr_2O_{12}$ into a polyethylene oxide matrix' J. Powere Sources, 274, 458- 46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