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기복령탕(防己茯苓湯)이 백서에서 LPS로 유도된 우울증에서 면역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anggibongnyeongtang on the immunohistological change in LPS-induced depression rats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28 no.1, 2020년, pp.53 - 62  

박성준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이태희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is accomplish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nggibongnyeongtang on the immunohistological change in LPS-induced depression rats to confirm the histological result of the previous behavioral and biochemical effect. Methods : LPS 5 ㎍ was injected to lateral ven...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박 등5)은 방기복령탕이 항 염증 효과를 통하여 항 우울 효과를 보고한 바 그 내용은 LPS를 투여하여 개방장 행동 실험(open field test)과 강제수영부하실험(forced swimming test)을 통하여 우울행동을 확인한 후 혈장에서 IL-1β, TNF-α 농도 그리고 CRH(cotritotropin relasing hormone), ACTH(adenocorticotropic hormone), Cort(corticosteron)의 농도를 확인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Medical Prefrontal Cortex, Hippocampus, Amygdala, Striatum에서 5-hydroxytryptamine (5-HT)의 농도 변화, Hippocampus에서 Interleukin-1 beta (IL-1β),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mRNA의 발현을 면역조직학적으로 측정하여 이미 발표한 내용의 조직학적 소견에 대해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항우울제의 부작용은? 우울증의 치료는 1960년대 소개된 1세대 항우울제인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inhibitor of monoamine oxidase (MAOI), 1990년대에 나온 2세대 항우울제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RI), mixed serotonin/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or (SNRI) 류가 사용되어 왔다. 1세대 항 우울제(TCAs, MAOI)는 자율신경계와 심혈관계에 부작용을 나타내고, 2세대 항 우울제(SSRI/SNRI)는 작용까지 3~6주정도의 지연이 있고, 불면이나 구역,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3). 최근 우울증을 초례할 수 있는 가능성 높은 가설로 염증 가설이 나타났다.
우울증의 특징은? 우울증은 기분의 뚜렷한 변화를 필요로 한다. 슬픔이나 초조함 그리고 적어도 몇 가지의 정신 생리적인 변화를 포함하는데, 수면, 식욕 혹은 성욕의 장애, 변비, 일이나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즐거움 상실, 울음, 자살 충동, 그리고 말과 행동의 둔마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변화들은 반드시 적어도 2주는 지속되어야 하고, 일과 가족관계를 방해해야 한다1).
자살이 가장 큰 사망 원인인 연령대는? 6 명으로 5위의 사망원인이다. 특히 10대에서 30대까지 자살은 가장 큰 사망 원인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lmaker RH, Agam G.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8;358(1):55-68 

  2. Kim RH. 2018 Death Causes Statistics. 2019 sep 24. Availabel from; URL: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bmoderead&bSeq&aSeq377606&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3. Millan J, Mark. Multi-target strategies for the improved treatment of depressive states: Conceptual foundations and neuronal substrates, drug discovery and therapeutic application. Pharmacology & Therapeutics. 2006;110(2):135-370 

  4. Jeon SW, Kim YK. Inflammation-induced depression: Its pathophysiology and therapeutic. Journal of Neuroimmunology. 2017;313:92-98 

  5. SJ Park, TH Lee. Effect of banggibongnyeongtang on LPS-induced Depression in rats. Herbal Formula Science. 2019;27(2):137-149. 

  6. Lee BB, Sur BJ, Cho SG, Yeom MJ, Shim IS, Lee HJ, et al. Wogonin Attenuates Hippocampal Neuronal Loss and Cognitive Dysfunction in Trimethyltin-Intoxicated Rats. Biomolecules & Therapeutics.2016;24(3):328-337 

  7. Lee JE, Kwon YJ, Cho SH. A Review of Clinical Studies with Herbal Medicine for Depression -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Th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4):31-39 

  8. Hindmarch I. Beyond the monoamine hypothesis: mechanisms, molecules and methods. European Psychiatry. 2002;17(3):294-299 

  9. Pigott HE, Leventhal AM, Alter GS, Boren JJ.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Antidepressants: Current Status of Research. Psychother Psychosom. 2010;79(5):267-279 

  10. Raison CL, Capuron L, Miller AH. Cytokines sing the blues: inflammation and the pathogenesis of depression. TRENDS in Immunology. 2006;27(1):24-31 

  11. Miller AH, Maletic V, Raison CL. Inflammation and Its Discontents: The Role of Cytokines in the Pathophysiology of Major Depression. Biological Psychiatry. 2009;65(9):732-741 

  12. Dooley LN, Kuhlman KR, Robles TF, Eisenberger NI, Craske MG, et al. The role of inflammation in core features of depression: Insights from paradigms using exogenously-induced inflammation.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2018;94:219-237 

  13. Hanbangyangnihang gyojaepyeonchanwiwonhoe. Hanbangyangnihak. 4thedition.Seoul:Sinilbukseu. 2015:193-8. 

  14. HongJW, YangGE, KimYB, EomSH, LewJH, Kangh.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innamon water extract in vivo and in vitro LPSinduced models. ISCMR. 2012;12:237doi.org/10.1186/1472-6882-12-237 

  15. Ressler KJ, Nemeroff CB. Role of serotonergic and noradrenergic systems in the pathophysiology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Depress Anxiety. 2000;12Suppl1:2-19. 

  16. Sapolsky R, Rivier C, Yamamoto G, Plotsky P, Vale W. Interleukin-1 stimulates the secretion of hypothalamic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Science. 1987;238(4826): 522-4 

  17. Leonard BE. The HPA and immune axes in stress: the involvement of the serotonergic system. Eur Psychiatry, 2005 20(3),S302-S306. 

  18. Sapolsky R, Rivier C, Yamamoto G, Plotsky P, Vale W. Interleukin-1 stimulates the secretion of hypothalamic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Science. 1987;238(4826): 522-4 

  19. Berkenbosch F, van Oers J, del Rey A, Tilders F, Besedovsky H.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producing neurons in the rat activated by interleukin-1. Science. 1987;238(4826):524-6 

  20. Kruse N, Cetin S, Chan A, Gold R, Luhder F. Differential expression of BDNF mRNA splice variants in mouse brain and immune cells. Journal of Neuroimmunology. 2007Jan;182(1-2):13-21 

  21. Wang Y, Zhang TY, Xin J, Li T, Yu H, Li N et al. Differential involvement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 reconsolidation and consolidation of conditioned taste aversion memory. PLoS One. 2012;7(11):e49942. doi: 10.1371 

  22. Chen B, Dowlatshahi D, MacQueen GM, Wang JF, Young LT. Increased hippocampal BDNF immunoreactivity in subjects treated with antidepressant medication. Biol Psychiatry. 2001Aug15;50(4):260-5. 

  23. Sen S, Duman R, Sanacora G. Serum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medications: meta-analyses and implications. Biol Psychiatry. 2008Sep15;64(6):527-32. doi: 10.1016 

  24. Martinowich K, Lu B. Interaction between BDNF and Serotonin: Role in mood disorders. Neuropsychopharmacology. 2008Jan;33(1):73-83 

  25. Hritcu L, Gorgan LD. Intranigral lipopolysaccharide induced anxiety and depression by altered BDNF mRNA expression in rat hippocampu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4Jun3;51:126-32. doi: 10.1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