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혁신적 패션 제품 수용에 미치는 영향
Research on the Effect of Creative Fashion Consumer Efficacy on Innovative Fashion Product Acceptance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2, 2020년, pp.149 - 157  

이하경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추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tests the effect of fashion product knowledge and 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on innovative fashion product acceptance, mediated by creative fashion consumer efficacy. Creative fashion consumer efficacy refers to a consumers' belief in the ability to consume fashion produ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개념을 패션소비 맥락에 적용하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의 창의성 발현은 환경적인 요인보다 개인의 내재적인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데(Woodman et al., 1993) 본 연구에서는 패션 제품 지식과 의복 연출 자신감을 패션소비와 관련된 개인 특성 변수로 제안하고 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개인이 지니고 있는 패션 제품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고 의복을 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신감이 클수록 패션 제품의 소비와 관련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인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창의성 관련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창의성의 개념을 소비 맥락에 적용하고 소비자 창의성이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소비영역에서 창의성 발현을 설명할 수 있는 핵심 개념인 창의적 소비 효능감은 소비자 자신이 창의적인 방식으로 당면한 소비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다(Rim et al.
  •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개념을 패션소비 맥락에 적용하고 소비자가 지각하는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개인의 창의성 발현은 환경적인 요인보다 개인의 내재적인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데(Woodman et al.
  • 패션의 소비는 옷장 안에 보관된 다양한 옷을 재료로 선택과 착장이라는 과업이 일상적으로 요구되는 창의적 활동이므로 창의적 소비 효능감을 이해하는 것은 패션소비를 설명하는데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소비 효능감의 역할을 패션소비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소비자의 개인 특성인 패션 제품 지식과 의복 연출 자신감이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 변화가 빠르고 유행에 민감한 패션 시장에서 새롭고 혁신적인 패션 제품에 대한 일반 대중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 개인의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을 유발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 제품 지식이나 의복 연출 자신감이 개인의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점포 내에서 특정 제품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해줌으로써 소비자가 지각하는 패션 제품 지식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품을 코디하는 방법이나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줌으로써 개인이 생각하는 의복 연출 자신감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을 유발함으로써 혁신적인 패션 제품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2018)의 연구는 패션 점포의 윈도우 디스플레이를 자극물로 사용하고 패션소비 맥락에서의 소비자 행동을 규명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나 일상적인 소비 상황을 대상으로 하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특정 소비 상황을 대상으로 할 때에는 소비 맥락의 특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Rim et al.(2016)이 개발한 창의적 소비 효능감을 패션 제품 소비 상황에 적용한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 (1993) 역시 개인의 창의성으로 성격, 인지적 스타일과 능력, 내재적 동기부여와 지식을 제시함으로써 상황이나 외적 요인보다 개인이 내재적으로 지니고 있는 특성 요인에 따라 창의성 발현이 다를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소비 맥락에서 개인의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패션 제품과 관련된 개인 특성 변수인 패션 제품 지식과 의복 연출 자신감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패션 제품 지식은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2: 의복 연출 자신감은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3: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은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도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패션 제품 지식이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매개할 것이다.
  • 가설5: 의복 연출 자신감이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매개할 것이다.
  • Amabile(1989)은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가 개인의 창의적 행동 과정, 성과를 이끄는 가장 중요한 원천이며, 창의성의 가장 많은 부분을 설명한다고 보았다. 개인의 창의성은 보상과 같은 외재적 동기보다는 일에 대한 흥미, 즐거움, 도전감과 같은 내재적 동기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다. Woodma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적 소비 효능감은 무엇을 뜻하는가? 창의적 소비 효능감은 소비와 관련된 문제를 개인이 기존에 사용하던 방법이나 방식과는 다르게 새로우면서도 유용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뜻한다(Rim et al., 2016).
창의성은 어떤 능력인가? 창의성은 새롭고 독창적이며 적절하고 유용한 산물을 생산하는 능력으로(Coelho et al., 2011; Sasser & Koslow, 2008) 교육, 예술, 공학, 산업조직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져 왔다.
개인의 창의성 발현과 관련하여, 패션 제품 지식과 의복 연출 자신감을 패션소비와 관련된 개인 특성 변수로 제안하고 이의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어떤 결론을 가지는가? , 1993) 본 연구에서는 패션 제품 지식과 의복 연출 자신감을 패션소비와 관련된 개인 특성 변수로 제안하고 이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개인이 지니고 있는 패션 제품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고 의복을 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신감이 클수록 패션 제품의 소비와 관련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이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인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패션 관련 지식과 자신감은 창의적 패션소비 효능감을 완전 매개하여 혁신적인 패션 제품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창의적 소비 효능감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S., Cha, K. W., & Choo, H. J. (2018). Revalidation of creative consumer efficacy scale: Evaluation of creative tasks and the effect of task constrain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9(1), 1-17. 

  2.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mponential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2), 357-376. doi:10.1037/0022-3514.45.2.357 

  3. Amabile, T. M. (1989). Growing up creative: Nurturing a lifetime of creativity. Norwalk, CT, US: Crown House Publishing Limited. 

  4. Bettman, J. R., & Park, C. W. (1980). Effects of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phase of the choice process on consumer decision processes: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3), 234-248. 

  5. Brucks, M. (1986). A typology of consumer knowledge cont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3, 58-63. 

  6. Chae, J. M. (2016).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8(1), 38-47. doi:10.5805/SFTI.2016.18.1.38 

  7. Choi, E. Y. (2006).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 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and fashion information search of men - Focused on men in their twenties living in Busa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4(4), 596-608. 

  8. Coelho, F., Augusto, M., & Lages, L. F. (2011). Contextual factors and the creativity of frontline employees: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stress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Retailing, 87(1), 31-45. doi:10.1016/j.jretai.2010.11.004 

  9.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doi:10.1177/002224378101800104 

  10. Heimbach, A. E., Johansson, J. K., & MacLachlan, D. L. (1989). Product familiarity,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untry-of-origin cue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6, 460-467. 

  11. Hur, H. J., Lee, H. K., & Choo, H. J. (2017). Understanding usage intention in innovative mobile app service: Comparison between millennial and mature consum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3, 353-361. doi:10.1016/j.chb.2017.03.051 

  12. Hwang, S. Y., & Youn, N. R. (2015). Uniqueness of fashion on wearer's creativity -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extroversion -. Korean Management Review, 44(1), 247-279. doi:10.17287/kmr. 2015.44.1.247 

  13. Jeon, Y. O. (2003). The creativity of art to wear reflected on fashion design in the late 1990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6(4), 365- 374. 

  14. Kim, C. H., & Lee, J. Y. (2014). Adoption of new products and the effects of mental simulations: The moderating effects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5(3), 223-246. 

  15. Kim, H. R., & Yoo, Y. S. (2002). A study on the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 Focusing on creative idea techniqu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8), 1153-1164. 

  16. Kim, M. J. (2017). A study on creative fashion design by visualization of knowledge -Focusing on Gucci collection by ATTA evaluation item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1(4), 90-104. doi:10.12940/jfb.2017.21.4.90 

  17. Kratzer, J., & Lettl, C. (2009). Distinctive roles of lead users and opinion leaders in the social networks of schoolchildre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4), 646-659. doi:10.1086/599324 

  18. Lee, E. R. (201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ity development teaching method for promoting fashion design ability.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20(2), 156-166. doi:10.5805/SFTI.2018.20.2.156 

  19. Lee, H. K., Ahn, S., & Choo, H. J. (2018). The effect of creative store display on creative consumption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on role of creative consumer efficacy.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9(4), 77-95. 

  20. Lee, J. Y. (2003). The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of apparel and involvement on information processing type and product attribute evalu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1. Lee, J. I., & Lee, Y. J. (2013). The perceptions of U. S. fashion industry professionals' on fashion design copyright law and creativity in fashion product development proces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0, 323-334. doi:10.21326/ksdt.2013.40.030 

  22. Lee, M. S., & Kim, M. J. (2015). Analytic model development for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Centered on perspectives of M. Csikszentimihalyi & H. Garden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4), 137-153. doi:10.7233/jksc.2015.65.4.137 

  23. No, J. Y., Koh, A. R., & Chung, M. S. (2005). A study on development of fashion orientation scale for the on-line image consulting of career 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 58-67. 

  24. Rao, A. R., & Monroe, K. B. (1988).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cue utilization i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253-264. doi:10.1086/209162 

  25. Rim, H. B., Ahn, S., Cha, K. W., Choo, H. J., & Choi, M. Y. (2016).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eative consumer efficacy scal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7(3), 171-193. 

  26. Ruppert-Stroescu, M., LeHew, M. L., Connell, K. Y. H., & Armstrong, C. M. (2015). Creativity and sustainable fashion apparel consumption: The fashion detox.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33(3), 167-182. doi:10.1177/0887302X15579990 

  27. Sasser, S. L., & Koslow, S. (2008). Desperately seeking advertising creativity: Engaging an imaginative "3Ps" research agenda. Journal of Advertising, 37(4), 5-20. doi:10.2753/JOA0091-3367370401 

  28.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29. Tierney, P., & Farmer, S. M. (2004). The Pygmalion process and employee creativity. Journal of Management, 30(3), 413-432. doi: 10.1016/j.jm.2002.12.001 

  30. Vernette, E., & Kidar, L. H. (2013). Co-creation with consumers: Who has the competence and wants to cooperate?. International Journal of Market Research, 55(4), 539-561. doi:10.2501/IJMR-2013-047 

  31. Woodman, R. W., Sawyer, J. E., & Griffin, R. W.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doi:10.5465/amr.1993.39975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