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극지과학문화 확산을 위한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KOPRI's Experiential Field Trip Programs for the Spread of Polar Science Cultur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1, 2020년, pp.1 - 14  

정찬미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박물관) ,  최규리 (한국창의교육연구원) ,  백은주 (한국창의교육연구원) ,  백희수 (한국창의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부각되는 극지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고 극지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기 위하여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행 극지연구소 견학 프로그램 진단 및 극지연구소 연구·전시 시설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견학 코스를 정립했다. 이를 바탕으로 극지연구소 및 극지과학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위한 기본형 견학 프로그램 1종과 선택형 체험 프로그램 1종, 극지과학 분야별 연구 시설 견학 및 전문적 체험 학습 활동이 가능한 수요자별 선택형 견학·체험 프로그램 4종 등 총 6종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2회 시범적용을 통해 수정·보완되었고, 견학 시설별 안내 스크립트와 체험 키트, 활동지 및 강사 가이드를 포함한 견학 프로그램 매뉴얼이 제작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 프로그램의 의의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ands-on type polar field trip program to inform the importance of the recent polar research and to contribute to the spread of polar science culture. For this purpose, th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and field trip course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cu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연구 시설 외의 장소에서 모든 연령대를 대상으로 운영이 가능한 선택형 프로그램은 ‘극지로 가는 길’로, 극지 인프라와 극지의 환경과 상황 등을 알아볼 수 있는 간단한 체험활동을 함께 진행한다. 교육 참가자들은 지구본을 만들어 남극과 북극에 있는 우리나라의 극지과학기지의 위치를 살피고 각 극지과학기지로 이동하는 경로를 확인해보며 우리나라의 극지 인프라에 대해 알아보고, 극지 OX카드를 활용한 게임으로 극지의 생물과 환경, 연구 활동 등에 대해 알아볼 수 있다. Table 4는 선택형 견학 프로그램의 개요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연구기관으로서 극지연구소의 사회공헌 역할을 확대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학생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도 극지과학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극지연구소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극지 과학자와 교육자가 협력해 전문적인 연구 관련 체험이 가능한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최근 부각되는 극지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고 극지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기 위하여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행 극지연구소 견학 프로그램 진단 및극지연구소 연구·전시 시설 분석을 바탕으로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견학 코스를 정립했다.
  • 본 연구에서는 극지연구의 중요성을 알리고 극지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하기 위한 극지연구소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을 극지과학자와 교육자의 협업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극지과학이라는 주제 측면과 연구 시설에서의 체험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이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 의의를 가진다.
  • 그 이유 중 하나는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극지는 해양과학 분야의 일부로 빙하나 해수면의 온도와 관련된 내용 지식과 관련하여 다루어질 뿐, 다양한 극지과학 연구 분야에 관련 내용은 별도로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프로그램은 국내 유일의 극지과학 전문 연구기관인 극지연구소 견학을 통해 교육과정에서 깊이 다루어지지 않는 극지과학 분야 관련 교육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특히 기본형 프로그램을 통해 극지과학 분야를 전반적으로 이해 할수 있을 뿐 아니라, 선택형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학, 환경학, 극지생명연구, 운석학, 행성지질학, 원격탐사과학, 기후과학 등에 대한 심화된 학습이 가능하다.
  • 중·고등학생에게 적합한 ‘극지의 작은 생명체’ 프로그램은 미세조류 저온배양실 견학을 통해 극지의 미세류에 대해 알아보고 극지미세조류가 가진 특징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연구기관으로서 극지연구소의 사회공헌 역할을 확대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학생뿐 아니라 일반 대중들도 극지과학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극지연구소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특히 극지 과학자와 교육자가 협력해 전문적인 연구 관련 체험이 가능한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개발 단계에서는 기본형 1종 및 선택형 5종으로 다양화한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특히 극지연구소의 4개 연구 시설을 중심으로 한 선택형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소에 근무하고 있는 극지과학자 4인과의 개별 자문회의를 실시하고, 각 연구실이 보유하고 있는 장비와 기구, 그리고 관련 극지과학 연구의 주제와 성과 등에 대해 파악했다. 연구자들은 이에 기반해 전시 및 연구 시설별 견학 코스를 정립하고 시설 안내 스크립트를 작성하였으며, 체험 활동을 보강한 체험형 견학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지가 미개척지로서 가지고 있는 의미는 무엇인가? 근래에 야기되고 있는 전 지구적 폭염, 폭설, 기습 한파 등의 이상기후 현상에 대한 높은 문제인식과 함께 기후변화를 감지하고 예측하는 최적지로서 극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기 때문이다. 극지는 지구상 남은 유일한 미개척지로서, 인간에 의한 오염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자연현상에 의한 지구의 변화를 그대로 기록한 지구 역사의 기록보관소라고 볼 수 있다(극지 연구소, 2019). 또한 극지는 저위도 지역에 비해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모니터링 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며(IPCC, 2007; 이홍금, 2010), 막대한 광물·수산 자원과 극한 환경에 적응한 극지 생물로부터 개발할 수 있는 신소재 등 미래 자원의 보고이기도 하다(극지연구소, 2019).
극지연구소의 운영 및 연구활동은? 극지과학은 특정 학문 분야가 아니라 극지라는 지역이 연구대상이다. 극지 연구를 위해서는 탐사, 기지 건설, 쇄빙연구선 운영 등에 막대한 인력과 예산이 필요한데, 극지연구소에서는 남극 세종과학기지 및 장보고과학기지, 북극다산과학기지,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등의 극지인프라를 운영하며 극지역의 대기, 고기후, 지질, 지구물리, 빙하, 운석, 해양환경, 생물자원 연구 등 다각도의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극지연구소, 2020). 극지과학은 전 지구적 관점에서 과학, 환경 및사회 분야를 융합하여 교육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며, 극지 지역은 미지의 것에 대한 모험심 및 두려움과 함께 인간의 호기심과 상상력을 계속해서 자극하는 측면이 있어서, 교육과 대중적 홍보에 활용하기에 적절한 대상이기도 하다(Beck et al.
종전의 연구소 견학 프로그램이 가지는 한계는 무엇인가? 극지연구소가 운영하는 여러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경험한 형태는 연구소 견학 프로그램으로, 견학 프로그램은 극지과학문화의 대중화를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종전의 견학 프로그램은 극지 과학자의 특강 및 그가 인도하는 연구실 투어 위주로 진행되어 개별 과학자의 역량에 의존하는 측면이 컸으며, 효과적인 과학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 많은 대중이 극지연구의 필요성과 성과를 이해하고 극지 과학문화를 향유하도록 하는 효과적 견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극지 과학자와 교육자의 협업을 고려해 볼 수 있다(AAAS, 2007; Wis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교육부(2015).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 세종: 교육부. 

  2. 극지연구소(2018.11.23.). 극지연구소, 교육기부 우수기관으로 선정. URL: https://www.kopri.re.kr/kopri/html/comm/0502.html?modeV&no0ecc7925c4427106ad5fc9b14d7a8d01 

  3. 극지연구소(2019). 극지연구소 국문 브로셔. URL: https://www.kopri.re.kr/kopri/html/comm/050501.html 

  4. 극지연구소(2020.02.18.). https://www.opri.re.kr/kopri/html/rsch/030101.html 

  5. 김옥선(2011). 해외 극지 연구현황과 시사점. 과학기술정책, 182, 86-95. 

  6. 손준호(2016).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Keeling Curve) 활동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292-308. 

  7. 신형철(2017). 극지연구소 역할과 현황, 미래발전구상.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869-878. 

  8. 오동현(2009). 정부출연연구원의 과학기술문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정부출연 연구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윤수, 김형범(2019).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82-93. 

  10. 이홍금(2010). 거대과학으로서 극지연구의 추진방향. Future Horizon, 5, 4-5. 

  11. 장순근, 이재학(2013). 극지와 인간. 안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2. 장신호(2011). 교육기부의 개념, 운영 사례, 해결과제 탐색(보고서 번호 OR2011-02-8).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URL: https://www.kedi.re.kr/khome/main/research/selectPubForm.do?plNum07992&tabGb0 

  13. 정예희, 김형범(2018).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의 지질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158-171. 

  14. 해양수산부(2018.12.28.). 2019년 가장 주목해야 할 과학 이슈, 남극 빙하 연구. URL: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1723950 

  15. 홍영란, 황은희(2014).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교육기부 활성화 방안(보고서 번호 PP2014-10).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07). Communicating and learning about global climate change. Washington DC: Lonnie Thompson. 

  17. Allison, I., & Beland, M. (2009). The state of polar research. Genev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18. Beck, I., Huffman, L. T., Xavier, J. C. C., & Walton, D. W. H. (2014). Education and polar research: Bringing polar science into the classroom. Journal of Geological Resource and Engineering, 4, 217-221. 

  19. Bouchard, F., Sansoulet, J., Fritz, M., Malenfant-Lepage, J., Nieuwendam, A., Paquette, M., ... & Habeck, J. O. (2018). Frozen-ground cartoons: Permafrost comics as an innovative tool for polar outreach, education, and engagement. Polar Record, 54(5-6), 366-372. 

  20. Gibney, E. (2019). What to expect in 2019: Science in the new year. Nature, 565(7737), 13-14. Retrieved from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18-07847-3 

  21. Haury, D. L., & Rillero, P. (1994). Perspectives of hands-on science teaching. Columbus, Ohio: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2. Hodson, D. (1990). A critical look at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71(256), 33-40. 

  23. Hofstein, A., & Lunetta, V. 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2), 201-217. 

  24. Illingworth, S. M., & Roop, H. A. (2015). Developing key skills as a science communicator: Case studies of two scientist-led outreach programmes. Geosciences, 5(1), 2-14. 

  2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Geneva, Switzerland: IPCC. 

  26. Kaiser, B., Zicus, S., & Allen, B. (2010). Polar science and global climate: An international resource for education & outreach. Boston: Pearson Custom Publishing. 

  27. Krupnik, I., Allison, I., Bell, R., Cutler, P., Hik, D., Lopez-Martinez, J., Rachold, V., Sarukhanian, E., & Summer hayes, C. (2011). Year 2007-2008: University of the Arctic. Rovaniemi, Finland: CCI Press. 

  28. LeBuffe, J. R. (1994). Hands-on science in the elementary school. Bloomington, Indiana: Phi Delta Kappa Educational Foundation. 

  29.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SES] (1995).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n overview.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Retrieved Jan 8, 2006 from http://books.nap.edu/html/nses/html/overview.html#organization 

  30. Provencher, J., Baeseman, J., Carlson, D., Badhe, R., Bellman, J., Hik, D., ... & Zicus, S. (2011). Polar research education, outreach and communication during the fourth IPY: How the 2007-2008 international polar year has contributed to the future of education, outreach and communication. Paris, France: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ce (ICSU). Retrieved from https://iasc.info/images/news/2011/ICSU_Report_Digital.pdf 

  31. Roop, H. A., Wesche, G., Azinhaga, P. F., Trummel, B., & Xavier, J. C. (2019). Building collaborative networks across disciplines: A review of polar educators international's first five years. Polar Record, 55(4), 220-226. 

  32. Seels, B., & Richey, R. (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C: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 Technology. 

  33. Staver, J. R., & Small, L. (1990). Toward a clearer representation of the crisis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 79-89. 

  34. Wise, S. B. (2010). Climate change in the classroom: Patterns, motivations, and barriers to instruction among Colorado science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8(5), 297-309. 

  35. Xavier, J. C., Fugmann, G., Beck, I., Huffman, L., & Jensen, E. (2016). Education on biodiversity in the polar regions. In Castro, P., Azeiteiro, U. M., Bacelar-Nicolau, P., Filho, W. L., & Azul, A. M. (Eds.). Biodiversity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p. 43-56). Cha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