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및 과학수업 평가요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Gender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1, 2020년, pp.90 - 99  

김순식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와 과학교수법 성취도와 과학수업능력사이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라서 과학 수업을 평가할 때 적용하는 평가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 P교육대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초등예비교사 88명에 대하여 2019년 9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88명의 학생들은 3개 학과에 재학 중이며, 남학생 32명, 여학생 56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88명의 학생들은 '초등과학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로 강의 초기에 학생들에게 배포된 강의계획서에서 예고된 과학수업실기 평가를 받았다. 과학 수업실기 평가는 동료들에 의한 다면평가의 형식으로 수행되어 평가점수가 부여되었으며, 과학학업능력은 '초등과학교수법'의 정기고사에서 학생들이 획득한 점수로 부여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을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하여 과학수업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초등과학교수법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여자 초등예비교사들이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에 비해서 '초등과학교수법'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과 초등 과학교수법 성취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남·여 모두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능력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초등과학교수법과 관련된 이론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초등예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도 함께 작동한다는 사실을 시사해 주고 있기 때문에 추후 이러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평가준거로 활용된 요소를 분석한 결과 남·여 초등예비교사 모두 수업자의 목소리 톤, 말투 등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수를 차지하였다. 이것은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수업평가에 있어서 수업자의 언어적 요소가 가장 중요한 평가 요소라는 사실을 말해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ience class ability,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class evaluation factors according t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gender.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pedagogy achievement and science instructional ability was examin...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 남・여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과학수업능력과 과학교수법 성취도의 상관관계, 수업평가 요소를 알아보는 것 이다. Table 3은 남자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실기 점수와 과학교수법 성취도 점수를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수업의 평가는 초등예비교사들의 동료 에 의한 다면평가로 진행하였다. Table 2는 수업실기 다면평가표를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남・여 초등예비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과학수업능력, 과학교수법 성취도, 수업평가의 준거로 삼는 요소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수업역량과 인성을 두루 갖춘 미래의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데 중요한 시 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료의 수업을 평가할 때 어떤 수업평가 요소를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업을 평가한 후 가장 좋은 점과 가장 아쉬운 점을 자유롭게 기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서술형으로 기재하는 방식의 수업 평가는 수업을 수행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개개인의 수업 수행 시 나타나는 장점과 단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동료 평가를 담당한 초등예비교사들 개개인이 주관적으로 적용한 수업평가 요소를 확인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의 질에 대한 교사의 영향은? 학교 교육활동에서 교육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인은 교사와 학습자, 교육내용이다. 이들 세 요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변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이 중 어떤 변인이 교육의 질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교사가 실제 교육 활동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학교 교육의 성패는 교사의 자질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송수경, 2012). 그러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높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야 한다(김순식과 이용섭, 2015).
학교교육의 목적은? 오늘날 국가차원에서 학교교육의 목적 중 하나는 학생들에게 민주시민으로서 소양과 자질을 갖추게 하고, 글로벌 환경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여 지속발전 가능한 국가의 미래를 대비하는 것에 있다(송진여 외, 2015).
교육의 질에서 지식 전달을 제외한 교사의 영향은? 교사들이 학습지도를 수행할 때 학생들은 단순히 교사가 전달하는 지식 내용만을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묵언적 행동과 인상, 그리고 교사의 열정이나 신뢰감 같은 요소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그 만큼 교실에서 구현되는 수업은 교사, 학생, 수업환경이라는 복잡한 요인들이 함께 어우러진 종합예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곽병선(2001). 교실교육의 개혁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한국교원교육연구, 18(1), 5-13. 

  2. 곽소정, 길태숙(2012).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리듬액션게임을 활용한 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서의 학습평가, 학습 몰입, 학습 만족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2(1), 113-122. 

  3. 권미진(2017). 성별에 따른 공감화 과제 쓰기의 수행 차이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재술(1994). 학교 과학교육의 과제와 과학교육 연구의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1), 103-108. 

  5. 김순식, 이용섭(2015). ARCS전략을 적용한 스토리텔링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수업 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27-239. 

  6. 남유섭(2012). 초임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수업 불안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문병찬(2015). 창의.인성교육 기반 지구과학 수업모형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97-308. 

  8. 박성희, 정광순(2016). 초등학생의 수업 중 몰입 경험 연구. 통합교육과정연구, 10(1), 51-78. 

  9. 박현주(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421-430. 

  10. 송수경(2012). 초등 교사의 수업평가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송진여, 문병찬, 김종희(2015). 초등과학 수업에서 시스템 사고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18-331. 

  12. 이천규(1997).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현장적응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임용순(1994).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현장 적응력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URL: http://classroom.kice.re.kr/kice 

  14. 정재순(2006).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실습과정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차은주(2010). 지역과 성별에 따른 학업성취격차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Beijaaed, D., & Verloop, N. (1996). Assessing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3(3), 275-286. 

  17. Carter, K. (1990). Teacher's knowledge and learning to teacher, in Haberman. In W. R. Houston, M. Haberman & J. P. Sikula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pp. 291-310). New York: Macmillan. 

  18. Yinger, R. J. (1987). Learning the language of practice. Curriculum Inquiry, 17(3), 293-3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