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 '스타-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과학문화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Developement and Effect Analysis of 'Star-Car' Program of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 Focused on the Scientific Cultural Isolated Region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1, 2020년, pp.100 - 109  

설아침 (충북대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  한신 (고려대학교) ,  김용기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문화 소외지역 초등학생들의 천문우주에 관한 동기유발과 천문우주 과학개념의 올바른 형성을 위해 STEAM 프로그램 및 PEST 방법을 적용한 '스타-카'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이동천문대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한 후, 1회의 시범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하였으며, 과학문화 소외지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은 초등 전 연령이 함께 할 수 있는 천문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으로 개선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상황제시 1차시, 감성적 체험 5차시, 창의적 설계 5차시의 총 11차시로 구성하였다. 셋째,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 결과는 대체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핵심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tar-car' operational program combining with the STEAM program and the PEST method for motiv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belonged to less favored areas in terms of scientific culture to get an interest in astronomy and appropriately forming scientific concepts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채희인과 노석구, 2013)의 연구결과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과학문화 소외지역의 초등학생들이 천문우주에 관한 동기유발과 과학개념의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해 학문 간 융합 중심의 STEAM 프로그램 및 학생 참여 중심의 PEST(Public Eng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PEST) 방법을 적용한 ‘스타-카’ 운영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3-4차시는 ‘창의적 설계’ 단계로, 3차시 수업에서는 ‘태양, 달, 별이 사는 우주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이란 주제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확인하고 행성들의 실제 크기에 따른 비교를 학생들이 직접 그려보게 하고, 이후 영상자료를 확인하게 하는 hands-on 활동으로 구성하게 한다. 또한, 태양의 크기를 10cm 크기로 줄이면 다른 행성들의 크기는 얼마나 작고, 비율로 따지면 거리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알려주고, 이를 실감할 수 있게 실제 방문한 학교의 위성 지도에 운동장 한가운데 태양을 가져다 놓았을 때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학생들에게 소개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천문우주에서 거리의 개념을 이해하게 되고, 태양계라는 넓은 공간에 좁쌀보다 작은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1년, 10년, 100년도 넘는 긴 시간에 한 바퀴씩 돌고 있고 그사이의 공간은 대부분 비어있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활동이 전개된다.
  •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지구과학교육 2명, 창의교육 1명, 천체물리학 2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 5-7차시는 ‘감성적 체험’ 단계로, 5차시에서는 태양계 행성 사이의 거리 비교 이후 별과 별 사이의 거리를 소개하는 수업 단계이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과 정과 연계하여 계절별 별자리의 의미와 가장 대표적인 별자리 및 별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다. 또한, 우주에 별은 얼마나 있는지와 별들의 집단인 구상성단에는 별이 몇 개인지, 이런 성단들이 모여있는 은하에는 별이 몇 개인지, 은하들이 우주에는 몇 개인지 등의 수업 내용과 더불어 미리 준비된 자료를 통해 별의 개수를 세어보게 한다.
  • 또한 학교수업과 연계되어 저학년, 고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한 예습 및 복습의 수업과정을 두어 정규 수업시간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도 담당교사와 함께 참가 후기를 작성하고 그림으로 그려보게 하였고 더 나아가 후기가 홈페이지에 올라간 이후에는 단체사진과 함께 살펴볼 수 있게 하여 반복적 노출을 통한 파지의 효과가 지속 되도록 프로그램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타-카' 운영 프로그램이 개발된 목적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문화 소외지역 초등학생들의 천문우주에 관한 동기유발과 천문우주 과학개념의 올바른 형성을 위해 STEAM 프로그램 및 PEST 방법을 적용한 '스타-카'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이동천문대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한 후, 1회의 시범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이동천문대 ‘스타-카’가 개발 된 이유는? 기존에 개발된 한국천문연구원의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은 평가 실적을 위해 지자체가 주관하는 대형 별 축제, 전시프로그램, 시민천문대 공동 프로그램 위주로 운영되어왔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대형 과학 전시나 체험 프로그램 등 과학분야 비정규 학습의 경우 그 참가인원이 평가의 한 축으로 활용된 경우가 많다. 그로 인해 다수의 참가자가 혜택을 볼 수 있었다는 장점도 있지만, 심층적 프로그램을 통한 참가자의 과학적 효능을 기대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지구과학교육 2명, 창의교육 1명, 천체물리학 2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다.
이동천문대 ‘스타-카’와 같은 이동과학교실의 예는? 이동천문대 ‘스타-카’와 같은 이동과학교실은 1997년 경상남도 과학연구원의 ‘찾아가는 과학탐구교실’을 시작으로 1998년 전라남도 과학연구원과 경기도 과학교육원의 ‘Astro ca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조하늬, 2009). 즉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이동천문대 ‘스타카’와 같은 이동과학교실은 학생들에게 과학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 분야에 대한 미래 직업의 관심을 높이고 농어촌을 포함한 중·소도시 지역의 과학교육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권난주와 안재홍,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8). 제4차 과학관 육성 기본계획(2019-2023).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 권난주, 안재홍(2011). 이동과학차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 현장과학교육학회지, 5(2), 164-173. 

  3.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2), 216-225. 

  4. 명전옥(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5.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6. 박영신, 문공주, 황요한(2019).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74-290. 

  7. 신명렬, 이용섭(2011). PBL 기반 천체관측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20-31. 

  8. 우연택(2009). 교육격차 분석 및 교육복지 향상방안 연구: 강원도 농산어촌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유병욱(2012). 천문중심 현장체험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천문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황북기, 최정훈 (2009).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한 이동과학교실의 특징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8(1), 1-8. 

  11. 이윤수, 김형범(2019).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1), 82-93. 

  12. 이재호, 백상호(2015).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천문대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영재교육연구, 25(5), 697-709. 

  13.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 내용 분석과 문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4. 조성호(2018). 웹 기반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미술관 연계 감상 프로그램 연구: 문화소외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조하늬(2009). 전라남도 이동과학교실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채희인, 노석구(2013). STEAM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3), 417-433. 

  17. 허정임, 오금환, 박정한(2010).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지, 27(1), 185-203. 

  18. Ausubel, D. P. (2000). The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knowledge: A cognitive view. Norwell,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 Bronfenbrenner, U. (1977).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32(7), 513-531. 

  20. Jacobs, H. (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1. Jeong, J., Kim, H., Chae, D., & Kim, E. (2014). The effect of a case-based reasoning instructional model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in climate change unit.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0(5), 427-435. 

  22. Minstrell, J. (1992). Facets of students' knowledge and relevant instruction. In Duit, R., Goldberg, F., & Niedderer, H. (Eds.), Research in physics learning: Theoretical issues and empirical studies (pp. 110-128). Germany: Institute for Science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Kiel. 

  23. Redish, E. F. (2003). Teaching physics with the physics suite. Hoboken, NJ: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