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기반 종이 플라스틱의 제조 및 응용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anufacturing of Paper Plastics Based on Biomass and Their Ap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포장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ckaging Science & Technology, v.26 no.1, 2020년, pp.25 - 31  

윤광식 (HDC현대EP) ,  이동은 (HDC현대EP) ,  조대명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pplications of biomass-based plastics have increased according to the eco-friendly policy of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in domestic and foreign government. In this study, a paper plastic composite was produced by compounding polypropylene and micronized paper powder that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P 복합체는 표면이 소수화 처리된 구형 SiO2 무기필러가 35 wt%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 파우더의 기계적 물성 (특히 강도 보강 측면)이 상대적으로 떨어 질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는 무엇보다도 친수성이 높은 종이 파우더와 소수성이 높은 PP의 낮은 상용성에 의해 계면 특성이 떨어지는데 기인한다.18-19) 그러나 종이 플라스틱은 낮은 비중에 따른 경량화 및 앞서 서술한 바이오탄소 함량이 높아 지속 가능한 제품 (Sustainable Product)에 적합한 친환경 소재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할수 있다.
  • 최근 적극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려는 국내외 친환경 정부 정책 상황에 따라 바이오매스로부터 제조되는 바이오매스 기반 분해성 플라스틱의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식 분말화 기술을 통해 미분화된 종이파우더와 PP를 복합화하여 바이오탄소 함량이 40%이상인 종이플라스틱을 제조하고 해당 시편의 기계적물성, 성형성, 제품 안전성 및 식품 포장 분야 소재로의 적합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종이 플라스틱은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PP 복합체 대비 전반적인 물성이 다소 떨어지나 높은 바이오탄소 함량, 경량화 뿐만 아니라 기존 가공 장비를 그대로 적용 할 수 있어 난분해 플라스틱을 대체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탄소 저감형 재료로써의 가치가 높다 할수 있다.
  • 그러나 최근 이탈리아,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바이오 탄소 함량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도록 강제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트렌드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탄소 함량이 40% 이상인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 개발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과 생물유래물질14)인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종이 파우더를 수지 복합화 하여 종이 함량이 55% 이상인 종이플라스틱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종이플라스틱의 식품 포장 분야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기위해 제품 안전성, 기계적 물성 및 성형성을 평가하였다.
  • 식품의약안전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섭취, 흡입, 흡수되는 유해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위해평가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규정’을 통해 식품 관련 제품의 유해물질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종이플라스틱의 제품 안정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a와 2b에 도시한 셀룰로오스 및 PP의 분자 구조에 따라 각각 72 g/mol,  162 g/mol, 36 g/mol, 42 g/mol이다. 총 투입량을 1로 가정하고 종이파우더 혼합비 x는 0.55이므로, 이론적으로 계산된 종이플라스틱의 바이오 탄소 함량은 38.8%이다. 이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생분해 플라스틱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PLA (Polylactic Acid), PHA (Polyhydroxyalkanoates), PES (Poly Ethylene Succinate), PBS (Poly Butylene Succinate) 등의 생분해 플라스틱은 짧은 분해기간, 약한 물성, 내열성 및 내한성, 가격경쟁력 등의 한계로 인해 유통기한이 짧거나 수분, 미생물 등에 접촉 시간이 길지 않은 분야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12) 해당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산화 생분해제, 상용화제, 산화제 등을 이용한 산화생분해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20~40%, 플라스틱 60~80%를 혼합한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13) 국내외적으로 바이오 탄소 함량이 20~25% 이상인 제품에 한해 biobased 플라스틱 인증 라벨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바이오탄소 함량 40% 이상인 종이플라스틱의 장점은? 본 연구에서는 건식 분말화 기술을 통해 미분화된 종이파우더와 PP를 복합화하여 바이오탄소 함량이 40%이상인 종이플라스틱을 제조하고 해당 시편의 기계적물성, 성형성, 제품 안전성 및 식품 포장 분야 소재로의 적합성을 비교 검증하였다. 종이 플라스틱은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PP 복합체 대비 전반적인 물성이 다소 떨어지나 높은 바이오탄소 함량, 경량화 뿐만 아니라 기존 가공 장비를 그대로 적용 할 수 있어 난분해 플라스틱을 대체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탄소 저감형 재료로써의 가치가 높다 할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바이오 유래 탄소함량이 높은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을 사용하도록 하는 주요 선진국들의 정책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생분해 플라스틱이 제한된 분야에서만 사용되는 이유는? 현재까지 연구되고 있는 PLA (Polylactic Acid), PHA (Polyhydroxyalkanoates), PES (Poly Ethylene Succinate), PBS (Poly Butylene Succinate) 등의 생분해 플라스틱은 짧은 분해기간, 약한 물성, 내열성 및 내한성, 가격경쟁력 등의 한계로 인해 유통기한이 짧거나 수분, 미생물 등에 접촉 시간이 길지 않은 분야에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다.12) 해당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산화 생분해제, 상용화제, 산화제 등을 이용한 산화생분해 플라스틱과 바이오매스 20~40%, 플라스틱 60~80%를 혼합한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13) 국내외적으로 바이오 탄소 함량이 20~25% 이상인 제품에 한해 biobased 플라스틱 인증 라벨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J.C. and Pai, C.M. 2016. Trends of environmentfriendly bioplastics. Appl. Chem. Eng. 27: 245. 

  2. 2018. Technology roadmap for SME. 

  3. Progressive Markets. Size, Trend, Share, Opportunity Analysis, and Forecast. 2017-2025. 

  4. Lee, J.W. 2011. Bio-plastics. KISTI Market Report. 1(1): 24-27. 

  5. Garcia, C., Hernandes, T., and Costa, F. 1992. Comparison of Humic Acids Derived from City refuse with more Developed Humic Acids. Soil Sci. Plant Nutr. 38: 339-346. 

  6. Chung, M.S., Lee, W.H., You, T.S., Kim, H.Y., and Park, K.M. 2003. Manufacturing Multi-degradable Food Packaging Films and Their Degradabi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5): 877-883. 

  7. Huag, J.H., Shetty, A.S., and Wang, M.S. 1990. Biodegradable Plastics. A Rev. Adv. Polym. technol. 10: 23-30. 

  8. Doane, W.M. 1992. USDA Research on Starch-based Biodegradable Plastics. Starch. 44: 292-295. 

  9. You, Y.S., Hong, S.H. and Choi, S.W. 2015. International Trends in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nd Market of Bio-Plastics. CLEAN TECHNOLOGY. 21: 141-152. 

  10. You Y.S. Trends of Oxo Biodegradable plastics Certification Label and Product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y. 

  11. Son, W.I. and Hong, J.H. 2018. A Study on Circular Economy and Sustainable Bioeconomy : focusing on Biochemical Industry. The Korean Journal of Bioeconomy. 175-206. 

  12. You, Y.S., Kim, M.K., Park, M.J. and Choi, S.W. 2014. Development of Oxo-biodegradable Bio-plastics Film Using Agricultural By-product Such as Corn Husk, Soybean Husk, Rice Husk and wheat Husk. Clean Technol. 20(3): 205-211. 

  13. You, Y.S., Oh, Y.S., Hong, S.H. and Choi S.W. 2015. International Trends in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nd Market of Bio-Plastics. Clean Technol. 21(3): 141-152. 

  14. Ellen Macarthur Fondation. 2012. Toward the circular economy. 

  15. Jang, S.Y. and Kim, D.S. 2015.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Cellulose composites. Polymer Korea. 39(1): 130-135. 

  16. Gassan, J. and Bledzki, A.K. 1999. Effect of Cyclic Moisture Absorption Desorp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ilanized Jute-epoxy Composites, Polymer Composites. 20(4): 604-611. 

  17. KUNIOKA M. 2013. Measurement Methods of Biobased Carbon Content for Biomass-Based chemicals and Plastics. Radioisotopes. 62: 901-925. 

  18. Shubhra, Q.T., Alam, A. and Quaiyyum, M. 2013.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mposites: A review. J. Thermoplast. Compos. Mater. 26(3): 362-391. 

  19. Catherine, J., Robert, G. and Bernard, C. 1996. PHYSICAL CHEMISTRY OF THE INTERFACE IN POLYPROPYLENE/CELLULOSIC-FIBRE COMPOSITES. Compos. Sci. Technol. 56: 161-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