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금속유기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 소재가 첨가된 다공성 활성탄소 복합재료 전극 기반의 에너지 저장 매체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analysis of electrochemical performance for energy storage device composed of metal-organic framework(MOF)/porous activated carbon composite material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260 - 267  

이규석 (대진대학교 에너지환경공학부) ,  정현택 (대진대학교 에너지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이온젤" 이라고 불리는 고분자 기반의 PVA(polyvinyl alcohol) 기반의 고체 전해질에 이온성 액체 BMIMBF4 (1-bu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를 첨가하여 제조한 전고체 전해질과 활성탄소와 금속유기골격체 복합재료 기반의 전극 재료를 이용하여 슈퍼커패시터를 제작하였으며, 유기골격체의 유 무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슈퍼커패시터의 전기화학적 특성은 순환전압전류법(CV), 전기화학적 임피던스 분광법(EIS) 및 전정류 충·방전법(GCD)을 통하여 비교 및 분석하여 보았다. 그 결과로, 금속유기골격체가 함유되지 않은 슈퍼커패시터의 전기용량값은 380 F/g 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이 값은 금속유기골격체를 첨가하였을 때 340 F/g로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1 wt%의 금속유기골격체의 함유량은 전기화학적 특성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금속유기골격체의 첨가량을 최적화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upercapacitor based on the all solid state electrolyte with PVA(polyvinyl alcohol), ionic liquid as a BMIMBF4(1-bu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 and activated carbon/Ni-MOF composite was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its electrochemical properties with function of MOF. I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슈퍼커패시터를 제조하기 위해 전극소재로써는 다공성의 활성탄과 금속유기골격체를 도입하고,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 왔던 PVA 기반의 고체 전해질에 이온성 액체인 BMIMBF4를 첨가하여 전해질의 이온 전도성을 향상 시키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소재를 도입하여 다공성의 활성탄 기반의 슈퍼커패시터를 제조하였으며, 다양한 분석 방법을 통하여 전기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보았다.
  • 유기 전해액의 경우 증기압이 높고 가연성을 나타내지만 이온성 액체는 낮은 휘발성과 불에 잘 타지 않아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유기합성, 촉매와 같은 정밀화학이나 커패시터, 태양전지 등 전해질의 재료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온성 액체의 장점들을 이용하여 슈퍼커패시터의 안전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과 전기용량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고체 전해질로 많이 사용 되고 있는 PVA에 이온성 액체인 BMIMBF4(1-buthyl-3-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를 추가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여 보았다[13-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ang Zhou, Xuefeng Zou, Zhiheng Zhao, Bin Xiang, Yuxin Zhang, "CoO/rGO composite prepared by a facile direct-flame approach for highpower supercapacitors", Ceramics International, Vol. 44, pp.16900-16907 (2018) 

  2. Minjae Kim, Yeongseon Kim, Kyung Min Lee, Seon Young Jeong, Eunsoo Lee, Sung Hyeon Baeck, Sang Eun Shim, "Electrochemical improvement due to alignment of carbon nanofibers fabricated by electrospinning as an electrode for supercapacitor", Carbon, Vol. 99, pp. 607-618 (2016) 

  3. A. Balducci, R. Dugas, P.L. Taberna, P. Simon, D. Plee, M. Mastragostino, S.Passerini, "High temperature carbon-carbon supercapacitor using ionic liquid as electrolyte",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65, pp. 922-927 (2007) 

  4. Xinhua Liu, Max Naylor Marlow, Samuel J. Cooper, Bowen Song, Xiaolong Chen, Nigel P. Brandon, Billy Wu, "Flexible all-fiber electrospun supercapacitor",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384, pp. 264-269 (2018) 

  5. K. Zin Htut, Minjae kim, Eunsoo Lee, Sung Hyeon Baeck, Sang Eun Shim, "Biodegradable polymer-modified graphene/polyaniline electrodes for supercapacitors", Synthetic Metals, Vol. 227, pp. 61-70 (2017) 

  6. Nali Chen, Yapeng Ren, Peipei Kong, Lin Tan, Huixia Feng, Yongchun Luo, "In situ one-pot prepara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polyaniline composite for highperformance electrochemical capacitors", Applied Surface Science, Vol. 392, pp. 71-79 (2017) 

  7. Wenling Wu, Yanfeng Li, Liuqing Yang, Yingxia Ma, Duo Pan, Yantao Li, "A Facile One-pot Preparation of Dialdehyde Starch Reduced Graphene Oxide/ Polyaniline Composite for Supercapacitors", Electrochimica acta, Vol. 139, pp. 117-126 (2014) 

  8. Jisoo Park, Young Shik Cho, Sae Jin Sung, Minhoo Byeon, Seung Jae Yang, "Characteristics tuning of graphene-oxidebased-graphene to various end-uses", Energy Storage Materials, Vol. 14, pp. 8-21 (2018) 

  9. S. Korkmaz, F. Meydaneri Tezel, I.A. Kariper,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GO/V2O5 Thin Film Supercapacitor", Synthetic Metals, Vol. 242, pp. 37-48 (2018) 

  10. Shu-JuanBao, Chang MingLi, Chun-XianGuo, Yan Qiao, "Biomolecule-assisted synthesis of cobalt sulfide nanowires for application in supercapacitor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80, pp. 676-681 (2008) 

  11. A. Tahri, H. El Fadil, F.Z. Belhaj, K. Gaouzi, A. Rachid, F. Giri, F.Z. Chaoui, "Management of fuel cell power and supercapacitor state-of-charge forelectric vehicles", Electric Power Systems Research, Vol. 160, pp. 89-98 (2018) 

  12. Fuhui Zheng, Yanxia Li, Xusheng Wang, "Study on effects of applied current and voltage on the ageing of supercapacitors", Electrochimica Acta, Vol. 276, pp. 343-351 (2018) 

  13. Periyasamy Sivakumar, Milan Jana, Manikantan Kota, Min Gyu Jung, Aharon Gedanken, Ho Seok Park, "Controllable synthesis of nanohorn-like architectured cobalt oxide for hybrid supercapacitor application",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402, pp. 147-156 (2018) 

  14. Graeme A. Snook, Pon Kao, Adam S. Best, "Conducting-polymer-based supercapacitor devices and electrodes",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196, pp. 1-12 (2011) 

  15. Jizhang Chen, Kaili Fang, Qiongyu Chen, Junling Xu, Ching-Ping Wong, "Integrated paper electrodes derived from cotton stalks for high-performanceflexible supercapacitors", Nano Energy, Vol. 53, pp. 337-344 (2018) 

  16. Yuki Uchida, Enno Katelhon, Richard G. Compton, "Cyclic voltammetry with nontriangular waveforms: Electrochemically reversible systems", Journal of Electroanalytical Chemistry, Vol. 801, pp. 381-387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