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공공보건자원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ublic Health Service Utilization Rate between Public Health Resource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268 - 278  

김재희 (대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보건자원이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조절 역할을 하는 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144개의 지역사회이며, 자료는 제6기 지역보건의료계획과 2015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에서 확보하였다. 연구변수 중 공공보건자원은 공공보건예산, 공공정신보건예산 및 공공정신보건인력으로 구성하였으며, 정신건강수준은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및 자살률로 하였다. 조절효과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공공정신보건예산이 우울감 경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공공정신보건인력이 우울감 경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공공정신보건인력이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도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공공보건자원의 정신건강수준에 대한 영향이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공보건자원 강화가 지역사회 정신건강수준의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방안에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 개선을 위한 내용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public health service utilization rate between public health resource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The subjects included 144 local communities, from the data of 6th Community Health Plan and the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Public health resour...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보건자원이 시군구 인구집단의 정신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나아가 이용률의 수준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른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에 더욱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공공보건자원은 공공보건예산, 공공정신보건예산 및 공공정신보건인력으로 설정하였다.
  • 둘째,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공공보건자원과 지역사회 스트레스 인지율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갖는지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공공보건자원이 시군구 인구집단의 정신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나아가 이용률의 수준에 따라 조절효과가 다른지를 확인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에 더욱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시군구 지역사회를 인구집단으로 하여 공공보건자원이 인구 집단 간 정신건강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의 정도에 따라 공공보건자원이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차이에 다르게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그리고 스트레스 인지율, 우울감 경험률 및 자살률 등의 정신건강수준은 체계의 결과인 건강결과에 해당된다[2]. 본 연구의 초점이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인 만큼 이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시군구 지역사회를 인구집단으로 하여 공공보건자원이 인구 집단 간 정신건강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의 정도에 따라 공공보건자원이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차이에 다르게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국가 및 지역의 정신건강증진 정책에 더욱 실질적인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조절효과를 갖는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을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함으로써, 더욱 구체적인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에서 공공보건자원의 정신건강수준에 대한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보건자원이 지역사회의 정신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연구를 수행했을 때 그 결과는? 조절효과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공공정신보건예산이 우울감 경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었다. 둘째, 공공정신보건인력이 우울감 경험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공공정신보건인력이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도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공공보건자원의 정신건강수준에 대한 영향이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공공보건자원 강화가 지역사회 정신건강수준의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 방안에 공공보건서비스 이용률 개선을 위한 내용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공보건예산이란 무엇인가? - 공공보건예산: 해당 시 또는 구가 지난 1년간 지출한 인구 1인당 공공보건예산액
공공정신보건예산이란 무엇인가? - 공공정신보건예산: 해당 시 또는 구가 지난 1년간 지출한 인구 1인당 공공정신보건예산액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Jewczak, J. Suchecka,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in the Health Care", Comparative Economic Research, Vol.17, No.4, pp.87-104, (2014). 

  2. A. Hajat, D. Cilenti, L. M. Harrison, P. D. MacDonald, D. Pavletic, G. P. Mays, E. L. Baker, "What Predicts Local Public Health Agency Performance Improvement? A Pilot Study in North Carolina", Journal of Public Health Management and Practice, Vol.15, No.2, pp.E22-E33, (2009). 

  3. J. H. Kim, "Influence of Community Contextual Characteristics on Community Differences of Mental Health",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ol.35, No.4, pp.1285-1294, (2018). 

  4. A. M. Meyer, M. Davis, G. P. Mays, "Defining Organizational Capacity for Public Health Services and Systems Research", Journal of Public Health Management & Practice, Vol.18, No.6, pp.535-544, (2012). 

  5. M. Jung, B. H. Cho, "The Measurement of Individual-level and Community-level Community Capac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A Comparison of D-gu and Y-gu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 Promotion, Vol.29, No.1. pp.39-57, (2012). 

  6. B. J. Cha, J. Y. Park, "Factors Related to the Output of Health Centers",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Vol.6, No.1, pp.29-58, (1996). 

  7. U. 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Local Public Health System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2013), https://www.cdc.gov/od/ocphp/nphpsp/documents/07_110300%20Local%20 Booklet.pdf. 

  8. J. Collins, B.M. Ward, P. Snow, S. Kippen, F. Judd, "Compositional, Contextual, and Collective Community Factors in Mental Health and Well-being in Australian Rural Communities", Quality of Health Research, Vol.27, No.5, pp.677-687, (2017). 

  9. J. Jeong, C. Kim, M. Shin, S. Y. Ryu, J. Hong, N. Kim, T. Y. Yoon, T. Hwang, H. Kim, K. Kim, H. Lee, M. Kim, D. Kim, "Factors Related with Regional Variation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at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3, No.3, pp.:91-108, (2017). 

  10. H. Kawaguchi, S. Koike, "Association between the Density of Physicians and Suicide Rates in Japan: Nationwide Ecological Study Using a Spatial Bayesian Mode", PLOS, (2016). 

  11. A. P. Schenck, A. M. Meyer, T. M. Kuo, D. Cilenti, "Building the Evidence for Decision-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Public Health Capacity and Community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Suppl2, pp.S211- 216, (2015). 

  12. T. K. Chi, K. H. Kwag, J. Jung, M. S. park, K. K. Kim, "An Ecological Study on Factors Associated with Community Mortality Ra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 Promotion, Vol.32, No.3, pp.11-22, (2015). 

  13. H. K. Lee, "An Ecological Study on the Regional Variance of Total Mortality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llym University, (2010). 

  14. Y. J. Lim. "Mental Health Service Types and Architectural Planning of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wangwoon University, (2019). 

  15. S. L. Cooper, D. Lezotte, J. Jacobellis, C. Diguiseppi, "Does Availability of Mental Health Resources Prevent Recurrent Suicidal Behavior? An Ecological Analysis", Suicide Life Threat Behaviors, Vol.36, No.4, pp.409-417, (2006). 

  16. B. D. Kelly, M. Davoren, A. N. Mhaolain, E. G. Breen, P. Casey, "Social Capital and Suicide in 11 European Countries: an Ecological Analysi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44, No.11, pp.971-99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