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홍의 식품학적 성분 분석
Food Nutrition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Siebold et Zucc: Dae Ho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2, 2020년, pp.374 - 384  

김일출 (중부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바이오화장품전공) ,  김정현 ((주)화이트 코스메틱) ,  이윤원 (중부대학교 항공관광학부 항공관광&카지노학전공) ,  김영 (충청북도 옥천군 구미농원) ,  허상선 (중부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바이오식품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매화나무의 새로운 품종인 대홍의 식품학적 가치평가를 분석하기 위해 일반성분,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질 및 비타민 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대홍의 탄수화물은 46.8±0.92%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조단백질(18.9±0.01%), 수분함량(11.8±0.13%), 조섬유·조지방·회분(5.7±0.94~6.7±0.52%)순으로 검출되었다. 유리당은 5종 검출되었고 mannitol과 fruct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무기질은 6종이 검출되었으며, K와 P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은 615.99±0.52 mg/100g 이었고 7가지 유형의 필수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대홍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121.42 mg/g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홍이 건강을 위한 혁신적인 식품으로서 혹은 천연식품 방부와 대체재로서 새로운 제품에 포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od value of Dae Hong(Prunus mume Siebold et Zucc), and also to analyzed contents of general component, free sugar, organic acid, amino acid, mineral element, and vitamins. The carbohydrate of Dae Hog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46.8±0.92%, fol...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처럼 매화꽃은 그윽한 향기와 자태에도 불구하고 매실에 밀려 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그 가치도 퇴색되어 식품학적 측면에서의 정보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국내에서 식물신품종보호법에 의해 품종보호가 등록된 대홍에 대한 일반성분 분석을 통해 매화의 식품학적 가치평가와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매화꽃의 활용성은 어떠한가? 매화꽃(Plunus mume flower)은 춘고초라 하여 봄을 미리 알리는 나무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의 경우 남부지방에서 3월, 중부지방에서는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붉은 색을 띤 흰빛 꽃으로 향기가 난다. 매화꽃은 예로부터 꽃차로 애용되고 있으며, 식용꽃은 꽃잎이 가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항암제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건강 기능식품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9]. 매화꽃에 대한 국내 연구는 김 등에 의한 매화 품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10], 다양한 건조방법에 따른 매화 품종의 화학적 성분 조성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11], 최근 김 등에 의한 매화꽃봉오리의 추출용매별 항산화 효과를 분석한 결과[12] 등에서 볼 수 있듯이 그 연구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매화나무의 색과 모양에 따른 분류는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가? 매화나무는 사용 용도에 따라서 화매와 실매로 분류하며 화매는 다시 야매계, 비매계 그리고 풍휴계로 나누고 있다. 꽃잎의 색에 의한 분류는 흰색의 꽃을 가진 백매와 붉은 색의 꽃을 가진 홍매로 나누고 있으며, 꽃잎의 모양에 따라 꽃잎이 다섯 조각만 피는 홀겹화, 다섯 조각 내부에 꽃이 겹쳐서 피는 겹매화로 분류한다[7, 8]. 매화꽃(Plunus mume flower)은 춘고초라 하여 봄을 미리 알리는 나무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의 경우 남부지방에서 3월, 중부지방에서는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붉은 색을 띤 흰빛 꽃으로 향기가 난다.
매화꽃은 무엇인가? 꽃잎의 색에 의한 분류는 흰색의 꽃을 가진 백매와 붉은 색의 꽃을 가진 홍매로 나누고 있으며, 꽃잎의 모양에 따라 꽃잎이 다섯 조각만 피는 홀겹화, 다섯 조각 내부에 꽃이 겹쳐서 피는 겹매화로 분류한다[7, 8]. 매화꽃(Plunus mume flower)은 춘고초라 하여 봄을 미리 알리는 나무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의 경우 남부지방에서 3월, 중부지방에서는 4월에 잎보다 먼저 연한 붉은 색을 띤 흰빛 꽃으로 향기가 난다. 매화꽃은 예로부터 꽃차로 애용되고 있으며, 식용꽃은 꽃잎이 가지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 및 항암제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건강 기능식품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H. Choi, G. Y. Youn, Effect of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Korean J Research in Gerontology, Vol.28, No.1 pp. 15-26, (2019). 

  2. K. Park, E. J. Jang, C. H. Pak, Kinds of edible flower in domestic and overseas literature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Vol.18, No.6 pp. 495-501, (2015). 

  3. J. A. Lee, E. H. Yoo, K. G. Kim, H. J. Jung, H. W. Seo, Analysis of aromatic compounds among cultivars in several edible flowers, Flower Res. J, Vol.20, No.4 pp. 250-254, (2012). 

  4. S. M. Kim, D. Y. Kim, H. R. Park, J. H. Seo, B. M. Yeom, Y. J. Jin, Y. H. Pyo, Screening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derived from five varieties of edible spring flow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6, No.1 pp. 13-18, (2014). 

  5. J. E. Choi, C. H, Park,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colors and nutritional elements of edible flowers, J.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Vol.37, No.37 pp. 3-15, (2017). 

  6. E. K. Lee, W. Y. Kwon, J. W. Lee, J. A. Yoon, K. H. Chung, B. C. Song, J. H. A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 supplemented added with Akebia quinata fruit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3, No. 8 pp. 1217-1227, (2014). 

  7. S. M. Kim,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symbolizes of the joseon dynasty flowering plant, J.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ol.32, No.2 pp. 134-147, (2014). 

  8. J. G. Jeong, A Herbological study on the plants of amygdalaceae in korea, Kor. J. Herbol., Vol.31, No.1 pp. 49-59, (2016). 

  9. K. A. Rho, G. J. Kim, H. A. Ji, H. S. Lim, K. H. Chung, K. J. Lee, B. C. Song, J. H. An, Antitumor and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 fractions of fruits and leaves from Prunus mu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4, No.8 pp. 1137-1143, (2015). 

  10. Y. D. Kim, K. G. Kim, S. H Kwak, R. Na, K. J. Kim,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of Prunus mume flower and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Prunus mume flower tea, Korean J. Food Preserv., Vol.13, No.2 pp. 180-185, (2006). 

  11. Y. D. Kim, M. H. Jeong, I. R. Koo, I. K. Cho, S. H. Kwak, B. E. Kim, K. M. Kim,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Korean J. Food Preserv., Vol.13, No.2 pp. 186-191, (2006). 

  12. D. H. Kim, Y. B. Bok, H. S. Lee, W. H. Woo, Y. J. Mun, Antioxidant activities of Plunus mume flower buds extract by various solvent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Vol.31, No.3 pp. 188-193, (2017). 

  13. AOAC, Association of Officiating Analytical Chemists.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8th ed.. Washington DC. (2005). 

  14. Y. J. Park, J. Y. Cho, W. N. Hou, H. J. Kim, B. G. Heo,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in 10 Kinds of Edible Flowers, Flower Res. J, Vol.14, No.3 pp. 211-217, (2006). 

  15. F. de Lima Franzen, H. F. Lidoorio, M. S. R. de Oliveira, Edible flower considerations as ingredients in food, medicine and cosmetics, J. Analytical & Pharmaceutical Research, Vol.7, No.3 pp. 271-273, (2018). 

  16. T. C. S .P. Pires, M. I. Dias, L. Barros, I. C. F. R. Ferreira, Nutritional and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edible petals and corresponding infusions: Valorization as new food ingredients, Food Chemistry, Vol.220, No.1 pp. 227-343, (2017). 

  17. T. Mitani, K. Ota, N. Inaba, K. Kishida, H. A. Koyama,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phenolic compounds of Prunus mume against enterobacteria, Biol. Pharm. Bull. Vol.41, No.2 pp. 208-212, (2018). 

  18. L. Fernandes, S. Casal, J. A. Pereira, J. A. Saraiva, Edible flowers: A review of the nutritional, antioxidant,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effects on human health, J.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Vol.60, No.6 pp. 38-50, (2017). 

  19. O. Rop, J. Mlcek, T. Jurikova, J. Neugebauerova, J. Vabkova, Edible flowers-A new promising source of mineral elements in human nutrition, Molecules, Vol.17, No.6 pp. 6672-6683, (2012). 

  20. Y. M. Kim, M. S. Choi, J. H. Bae, S. O. Yu, J. Y. Cho, B. G. Heo,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J. Bio-Environ. Control, Vol.18, No.1 pp. 60-66, (2009). 

  21. S. H. Yim, K. S. Cho, J. H. Choi, J. H. Lee, M. S. Kim, B. H. N. Lee, Effect of various pear cultivar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on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8, No.1 pp. 59-6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