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글과 그림에서 드러나는 설명 유형을 중심으로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easonal Length of Day and Night: Focus on the Types of Explanations in Written and Drawn Description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4 no.1, 2020년, pp.1 - 14  

신윤주 (서울대학교) ,  안유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 30명이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글 설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용어는 남중고도, 자전축, 공전 순으로 나타났으며, 글 설명보다 그림 설명에서 오개념이 많이 드러났다. 둘째, 글과 그림 설명을 종합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공전과 관련하여 자전축이 기울어져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거나, 지구의 공전 궤도 반지름 변화에 의해 계절 변화가 생긴다는 등 과학적 오류를 포함하는 설명 유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구의 자전과 관련하여 계절별 남중고도는 변화하나 태양이 뜨고 지는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등의 설명 유형도 나타났으며, 지구의 공전과 자전 모두와 관련하여 과학적 오류를 포함하는 사례도 일부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지식을 활용하여 특정 현상의 설명 체계를 구성해 보는 경험의 부족, 자연 현상에 대한 관찰 및 관측 경험의 부족, 인지적 갈등을 유발하는 다른 설명 체계에의 노출 부족 등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과학 영역에서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제고할 수 있는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written and drawn explanations of thirt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the seasonal length of day and night.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used the most common term in the description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2차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오개념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별로 예비교사들의 응답을 재분석하는 3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분석 간에는 1~2주의 시차를 두어 연구자들의 자신의 분석에 대해 숙고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가능한 신뢰로운 분석 결과에 이르고자 노력하였다.
  • 마지막으로 계절별 밤과 낮의 길이 변화를 제대로 설명한 예비교사 C의 설명을 다시 한 번 인용함으로써 논의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하지는 춘추분에 비하여 해가 뜨고 지는 쪽이 북쪽으로 더 가 있다”는 예비교사 C의 설명은 남중고도와 같은 과학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낮과 밤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무리가 없다.
  • 이 연구는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가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내용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이 해당 내용을 설명할 때 도입하는 과학 용어와 이를 대체하는 일상어 및 그 특징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대표적인 설명 유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를 통해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를 설명함에 있어 예비교사가 올바른 설명을 하지 못하는 이유를 고찰하고, 이를 교사양성 프로그램 등에서 반영하는 방안 등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해당 강좌 수강에 앞서 간단한 설문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과학 내용 지식 및 과학 교수 효능감에 대해 확인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사로서 과학을 가르칠 때 가장 어려움이 예상되는 분야를 복수응답 하도록 하였는데, 거의 모든 예비교사들이 천문학, 광학, 전자기학 분야를 가르치는 것이 걱정된다고 언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wak(2011)의 주장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교사가 기본 개념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에 다다르지 못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사태를 많은 연구자가 우려하였다. Kwak(2011)은 교사의 교과 내용 지식이 부족하면 학생 중심의 수업을 하기 보다는 단순 지식 전달식 수업을 하게 되고, 탐구를 하게 되더라도 내용에서의 다양성이 제한될 여지가 높아 과학은 암기 과목이라는 잘못된 믿음을 심어주는 동시에 과학 과목에 대한 태도를 부정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가 과학개념에 대해 불확실하고 애매모호하게 이해하는 경우, 이는 곧바로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게 되어 학생들로 하여금 오개념을 갖게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개념을 파악하고 그에 적절히 대처하는 것에 제한을 받게 된다(Lee & Lim, 1997; Vosniadou & Brewer, 1994).
지속적 전문성 계발 역량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의 촉발로 학교교육에도 첨단 지능형정보기술의 도입됨에 따라 교사의 역할에 현재와 다른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와 동시에 교사의 교수학습 역량에는 통시적 관점에서 변하지 않는 본질이 존재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Lim,Ryu, & Kim, 2017; Hong, Ahn, & Choi, 2019).즉, 교사의 교수학습과 관련된 역량들 중 일부는 시간의 흐름과 상관없이 동일하게 성공을 예측하는데, 가령 교사가 지속적인 자기 계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교사 전문성을 계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속적 전문성 계발 역량’ 등은 교사의 직무가 유지되고 교사로서의 역할이 존재하는 범위에서는 사회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지속적인 역량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다(Hong, Ahn, & Choi, 2019).
서술형 검사를 하고, 그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도 예외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사례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선다형이 아닌 서술형 검사를 하고, 그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해도 해당 개념을 제대로 알고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가령 Sadler(1997)의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수업을 들은 예비교사가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에 비해 지구과학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이를 제대로 사용하지는 못했다고 밝히고 있다. Korur(2015)는 성취도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경우, 오개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오히려 잘 조사되지 않은 채 넘어갈 수도 있었다는 점을 밝히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Y., Kim, C.-J., & Choe, S.-U. (2006).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in relation to arranging science content and sense-mak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6), 691-702. 

  2. Frede, V. (200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about astronomy. Advances in Space Research, 38(10), 2237-2246. 

  3. Hong, S., Ahn, Y., & Choi, Y. (2019).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modeling in future schooling.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3), 365-388. 

  4. Kalkan, H., & Kiroglu, K. (2007). Science and nonscience students' ideas about basic astronomy Concepts in preservice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tronomy Education Review, 1(6), 15-24. 

  5. Kang, H.-K., Kim, M.-H., Noh, S. K., Park, J. W., Lee, M. U., & Choi, S.-Y. (2004). Development of science curriculum program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6. Kanli, U. (2014). A study on identifying the misconception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basic astronomy concep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0(5), 471-479. 

  7. Korur, F. (2015). Exploring seventh-grade students'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isconceptions in astronomical concep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5), 1041-1060. 

  8. Kwak, Y.-S. (2011).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4), 422-434. 

  9. Lee, S., & Lim, C. (199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basic science concep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6(2), 325-339. 

  10. Lee, Y.-S. (2013)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3), 252-260. 

  11. Lee, Y.-S., Kim, S.-S., Lee, S.-G., Nam, Y.-K., Joo, E.-J., & Lee, H.-L. (2011).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survey about astronomical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4(3), 297-304. 

  12. Lelliott, A., & Rollnick, M. (2010). Big ideas;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1974-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3), 1771-1799. 

  13. Lim, J., Ryu, K., & Ki, B.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4(2) 5-32. 

  14.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Sejong: Author. 

  15. Myeong, J.-O. (2011). Reasons for unsuccessful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of pre-service teachers :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4), 339-349. 

  16. Park, J,-H., Na, J.-Y., Joung, Y.-J., & Song, J.-W. (2015). How d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science classroom?: Developing a framework for cultural analysis of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3), 499-508. 

  17. Park, K.-R., & Park, H.-J. (2018).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conceptual change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2), 193-207. 

  18. Sadler, P. M. (1987). Misconceptions in astronomy. In J. D. Novak (Ed.),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Vol. 3).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19. Trumper, R. (2003). The need for chang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a cross-college age study of future teacher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3), 309-323. 

  20. Vosniadou, S., & Brewer, W. (1994). Mental models of the day/night cycle. Cognitive Science, 18(1), 123-1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