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특징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Explana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in Description of Observable Lunar Phase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1 no.2, 2020년, pp.194 - 207  

신윤주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안유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평가본부)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관찰의 맥락을 강조한 달의 위상 변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 유형과 그 특징을 파악하여 초등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 30명이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을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해 현상의 관찰과 이에 대한 과학적 추론에 바탕을 두기 보다는 달의 위상별 출몰 시간표를 도입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태양이 뜨면 달이 보이지 않거나 또는 달이 떠 있다면 무조건 달을 관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의 대안 개념이 확인되었다. 셋째, 달을 관찰할 수 있는 시각과 방위에 대해서는 태양의 위치와 무관하게 관찰할 수 있다거나 남중할 때 관찰할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달을 관찰하는 날짜는 음력으로 상정하여 접근하는 방식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육학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revealed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hange of lunar phases, which emphasizes the context of actual observatio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areas to be considered in the element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단계 분석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5-6학년의 성취기준 해설 중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현상을 관찰하여 확인하는 데 초점을 둔다’에 주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이 달의 위상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에 대해 ‘실제 맥락’을 바탕으로 구성된 질문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결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 특히 주어진 조건에서 관찰 가능한 달에 초점을 맞춘 것은 자연 현상의 실제적인 맥락과 직접적으로 결합한 질문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었다. 세 번째 질문은 달의 위상 변화의 경향성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과학에서 가르쳐야 하는 천문 현상에 중점을 두고 한 학기 동안 지구과학 강의를 실시한 후, 등하교시 달을 관찰할 수 있는 경우 그 위상과 방위에 대한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이 해 수준과 대안적인 설명 유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달의 위상 변화나 해당 위상의 달이 뜨고 지는 시간, 또 위상 변화의 주기적 경향성에 대해서는 90%에 달하는 예비교사들이 과학적으로 타당하게 설명하였다.
  • 이러한 결론으로부터 달의 위상과 관련한 초등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초등 예비교사의 천문학 이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관측 상황에서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설명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 제는 다음과 같다.
  • 첫 번째와 두 번째 질문의 의도는 예비교사들이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과 방위, 즉 달이 ‘떠 있다’와 ‘보인다’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달의 위상에 따라 관찰할 수 있는 시각과 방향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첫 번째와 두 번째 질문의 의도는 예비교사들이 관찰 가능한 달의 위상과 방위, 즉 달이 ‘떠 있다’와 ‘보인다’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달의 위상에 따라 관찰할 수 있는 시각과 방향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주어진 조건에서 관찰 가능한 달에 초점을 맞춘 것은 자연 현상의 실제적인 맥락과 직접적으로 결합한 질문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었다. 세 번째 질문은 달의 위상 변화의 경향성을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berg-Bengtsson, L., Karlsson, K.G., and Ottosson, T., 2017, "Can there be a full moon at daytime?" Young students making sense of illustrations of the lunar phases. Science Education, 101(4), 616-638. 

  2. Choi, K. and Paik, S.-H., 2020,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phase change of moon using GeoGebra program. School Science Journal, 14(1), 7-20. (in Korean) 

  3. Kalkan, H. and Kiroglu, K., 2007, Science and nonscience students' ideas about basic astronomy concepts in preservice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tronomy Education Review, 1(6), 15-24. 

  4. Kang, H.-K., Kim, M.-H., Noh, S.K., Park, J.W., Lee, M.U., and Choi, S.-Y., 2004, Development of science curriculum program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Korea, 302 p. (in Korean) 

  5. Kanli, U., 2014, A Study on identifying the misconception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basicastronomy concep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0(5), 471-479. 

  6. Kim, H.-K., Lee, M.-K., Lee, J.-B., Lee, S.-Y., Lee, Y.-R., Kwak, Y., Shin, Y., Kim, J., Kim, K., Park, S., Shin, H.-I., Kim, K.-H., and Kim, S.-H., 2016,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t the primary and middle school level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RC 2016-2-7, 426 p. (in Korean) 

  7. Kim, J.H., 2006,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 of the lunar phases on instruction using the lunar phases drawing modul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4), 353-363. (in Korean) 

  8. Kwak, Y.-S., 2011,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ways to improv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4), 422-434. (in Korean) 

  9. Lee, M.A. and Choe, S.U., 2008, Complementary models for help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moon phas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1), 60-77. (in Korean) 

  10. Lee, S. and Lim, C., 199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basic science concep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6(2), 325-339. (in Korean) 

  11. Lee, Y.-S., Kim, S.-S., Lee, S.-G., Nam, Y.-K., Joo, E.-J., and Lee, H.-L., 2011,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understanding survey about astrono-mical fiel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4(3), 297-304. (in Korean) 

  12.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ejong, Korea, 274 p. (in Korean) 

  13. Myeong, J.-O., 2001, Reasons for unsuccessful earth science problem solving of pre-service teachers : A study on the motions of the moon and the plane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4), 339-349. (inKorean) 

  14.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532 p. 

  15. Park, K.-R. and Park, H.-J., 2018, Analysis of research trend on conceptual change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2), 193-207. (in Korean) 

  16. Starakis, J. and Halkia, K., 2010, Primary school students' ideas concerning the apparent movement of the moon.Astronomy Education Review, 9(1), doi:10.3847/AER2010007. 

  17. Treagust, D.F., 1988, Development and use of diagnostic tests to evaluate students' misconceptions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0(2), 159-169. 

  18.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633-658. 

  19. Trundle, K.C., Atwood, R.K., and Christopher, J.E., 200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of observable moon phases and pattern of change in phas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7(2), 87-101. 

  20. Zeilik, M. and Bisard, W., 2000, Conceptual change in introductory-level astronomy cours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9(4), 229-23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