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교육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A Literature Review of Studies on Disaste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5, 2020년, pp.60 - 74  

홍은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재난교육 연구의 내용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터넷 기반 전자 데이터베이스 CINAHL, Pubmed, RISS에서 국문 또는 영문으로만 출판된 문헌들을 수집하였다. 총 3,588편의 문헌 가운데 최종적으로 12편이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교육시간은 8시간 이내, 교육내용은 대응기 위주로 다룬 연구가 많았다. 교육방법은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액션러닝, 역할극, 문제중심학습 등 다양했다. 이와같은 재난교육은 재난 관리 역량, 재난 지식, 재난 간호 자신감, 재난 대응 능력 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학제 간 교육을 통해 타직종과의 협동심 증가 및 긍정적 전문직 정체성 형성 등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문헌 중 무작위 대조군 연구는 단 한편뿐이었으므로 향후 재난교육의 효과에 대한 확실한 근거제시를 위해서는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호사의 근무 부서별 특성과 재난관리연속체의 전 단계별 간호학적 중재를 고려한 재난교육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rticles related to disaster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and nurses by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effects of research.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CINAHL, Pubmed and RISS were searched. Papers published only in English or Korean were included. Twelve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관련 교육적 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한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교육을 진행한 연구의 교육적 중재의 특성과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실정에 맞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 교육 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국내 및 국외에서 시행된 재난교육 연구를 분석하여 그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재난교육의 구체적인 특성과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 분석된 논문들의 50%에 달하는 6편이 2015년 이후에 발표된 것인 만큼 최근 들어서 비교적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지구온난화 및 기상이변, 기술의 발전, 산업화의 여파로 더욱 빈번하고 대형화된 재난이 발생하면서 재난대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재난 대비 및 대응 전문 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는 추세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 더불어 간호사의 근무 부서별 직무 특성도 고려한 재난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재난 관련 교육의 구체적 구성 및 방법,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우리나라 간호대학 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간호 교육내용의 개선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와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와 국외에 발표된 논문 중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재난 관련 교육적 중재연구를 분석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국내 및 국외에서 시행된 재난교육 연구를 분석하고 그 특성과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교육을 진행한 연구의 교육적 중재의 특성과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국내 실정에 맞는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 대상 재난 교육 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추출된 문헌들간의 이질성으로 인해 양적인 통합을 하기가 쉽지 않아 주요 특성들만을 추출하여 기술적 방법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는 전체 의료인의 몇 %를 차지하는가? 재난 발생 시 의료기관과 의료인은 재난 피해자를 대면하는 첫 대응자로서 대응 초기부터 회복 단계에 걸쳐 중대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간호사는 전체 의료인의 67.7%[4]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인 만큼 재난에 있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의료 인력이다. 특히 일산 동구의 여성병원 화재 사건과 최근에 발생한 COVID-19의 지역사회 확산 이후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 인력들의 재난 대비 역량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재난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재난은 지역사회의 정상기능을 붕괴시킬 정도의 파괴적인 사건으로 지진, 홍수, 태풍,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난(Natural disaster)과 생물 및 생화학테러, 화재, 폭발, 교통사고, 전쟁 등의 인적재난(Man-made disaster)로 구분할 수 있다[1]. 재난이 발생하면 주거, 운송수단, 의사소통수단, 위생, 물, 그리고 의료서비스와 같은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수단과 서비스가 마비되어 재난 발생 지역 외부로부터의 대응(response)이 절실히 요구된다[2].
간호대학생 및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재난교육 연구의 내용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그 결과는? 총 3,588편의 문헌 가운데 최종적으로 12편이 선정되었다. 분석결과 교육시간은 8시간 이내, 교육내용은 대응기 위주로 다룬 연구가 많았다. 교육방법은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액션러닝, 역할극, 문제중심학습 등 다양했다. 이와같은 재난교육은 재난 관리 역량, 재난 지식, 재난 간호 자신감, 재난 대응 능력 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학제 간 교육을 통해 타직종과의 협동심 증가 및 긍정적 전문직 정체성 형성 등의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문헌 중 무작위 대조군 연구는 단 한편뿐이었으므로 향후 재난교육의 효과에 대한 확실한 근거제시를 위해서는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더 많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T. G. Veenema. (2012). Disaster nursing and emergency preparedness: for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terrorism and other hazards (3rd ed.).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 K. M. Gebbie & K. Qureshi. (2002). Emergency and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for nurses: What every nurse should but may not know.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2(1), 46-51. DOI : 10.1097/00000446-200201000-00023 

  3. Y. R. Lee, S. J. Han & C. M. Cho. (2016).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Perceived Stress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4), 237-242. DOI : 10.17547/kjsr.2016.24.4.237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Health And Welfare Statistical Year Book 2019. Sejong, Korea. 

  5. H. Song & H. S. Kim. (2020). Convergence of the Factors Influencing of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Attitudes and Self-Resilience on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1), 351-359. DOI : 10.17703/JCCT.2020.6.1.351 

  6. S. A. Yang. (2018).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39-51. DOI : 10.22156/CS4SMB.2018.8.3.039 

  7. J. E. Park. (2019). A Convergence Study on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38-46. DOI : 10.22156/CS4SMB.2019.9.11.038 

  8. C. H. Woo, J. Y. Yoo & J. Y. Park. (2015).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1(11), 19-35. DOI : 10.14251/krcem.2015.11.11.19 

  9. Y. J. Park & E. J. Lee. (2015).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67-79. 

  10. Editorial department. (2018). Nurses playing a key roles in all of the steps in disaster. The Korean Nurses Association News. http://www.nursenews.co.kr/main/ArticleDetailView.asp?sSection61&idx23401&intPage6 

  11. S. J. Han, C. M. Cho, Y. R. Lee, K. Nagasaka, M. Izummune, S. B. Lee & J. H. Lee. (2019). A Content Analysis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Univers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3), 307-323. 

  12. E. Y. Jung, H. W. Kim & S. Y. Joe. (2018). Current State of Disaster Educ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in South Korea.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6(2), 106-119. 

  13. S. W. Hutchinson, S. Haynes, P. Parker, B. Dennis, C. McLIN & W. Welldaregay. (2011). Implementing a multidisciplinary disaster simulation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2(4), 240-243. DOI : 10.5480/1536-5026-32.4.240 

  14. S. Alim, M. Kawabata & M. Nakazawa. (2015). Evaluation of disaster preparedness training and disaster drill for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35(1), 25-31. DOI : 10.1016/j.nedt.2014.04.016 

  15. K. A. Zapko et al. (2015). Interdisciplinary disaster drill simulation: Laying the groundwork for further research.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6(6), 379-382. DOI : 10.5480/14-1544 

  16. A. R. Aluisio, P. Daniel, A. Grock, J. Freedman, A. Singh, D. Papanagnou & B. Arquilla. (2016). Case-based learning outperformed simulation exercises in disaster preparedness education among nursing trainees in Ind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31(5), 516-523. DOI : 10.1017/s1049023x16000789 

  17. L. Atack, K. Parker, M. Rocchi, J. Maher & T. Dryden. (2009). The impact of an online interprofessional course in disaster management competency and attitude towards interprofessional learning.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23(6), 586-598. DOI : 10.1080/13561820902886238 

  18. S. S. Chan et al.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undergraduate training course for developing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n Chin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405-413. DOI : 10.1111/j.1547-5069.2010.01363.x 

  19. M. R. Yu, S. Y. Lee, Y. M. Jung & H. J. Yeon. (2007).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oriented educational program for disaster nursing.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5(1), 99-128. 

  20. H. M. Jung, N. H. Kim, Y. H. Lee, M. S. Kim & M. J. Kim. (2018).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knowledge, preparedness and self-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377-386. 

  21. B. Kalanlar. (2018). Effects of disaster nursing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nd preparedness for disas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28, 475-480. DOI : 10.1016/j.ijdrr.2017.12.008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Geneva, Switzerland. 

  23. S. K. VanArsdale & R. B. VanArsdale. (1997). A Case Study in Earthquake Hazards Education: Preparing Nurses for a New Madrid Earthquake.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68(3), 444-447. 

  24. M. M. Georgino, T. Kress, S. Alexander & M. Beach. (2015). Emergency preparedness education for nurses. Journal of trauma nursing, 22(5), 240-248. DOI : 10.1097/jtn.0000000000000148 

  25. M. Chiu, B. J. Polivka & S. A. Stanley. (2012). Evaluation of a disaster­surge training for public health nurses. Public Health Nursing, 29(2), 136-142. DOI : 10.1111/j.1525-1446.2011.00984.x 

  26. N. Burns & S. K. Grove. (2011). Understanding Nursing Research: building and evidence-based practice (5th ed.). Maryland Heights, MO: Elsevier Saunders. 

  27. E. J. Hong & I. S. Lee. (2018). Effectiveness of Disaster Training for Community Resident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pf Hazard Mitigation. 18(7), 205-212. 

  28. M. S. Cho. (2019).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Disaster Victims: An Analysis of the 3rd Nationwide Panel Survey of Disaster Victi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2), 217-225. 

  29. Lee et al. (2010). Experience with a Simulation Drill for Novel Influenza A (H1N1).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15(2), 103-111. 

  30. C. H. Kim & E. S. Hong. (2019). Disasters and the disaster medicin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2(5), 247-251. DOI : 10.5124/jkma.2019.62.5.247 

  31. Y. R. Lee & M. H. Lee. (2016).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in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1), 96-109. DOI : 10.5977/jkasne.2016.22.1.96 

  32. D. C. Uhm, Y. I. Park & H. J. Oh. (2016).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40-249. DOI : 10.5977/jkasne.2016.22.2.240 

  33. E. K. Kwon. (2001). Evaluation of clinical competency weight and content validity of behavioral indicators for developing nursing performance apprais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un, Korea. 

  34. H. J. Won. (2018).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on Nurses'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Type of Hospital Departm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12(1), 47-56. DOI : 10.12811/kshsm.2018.12.1.047 

  35. S. M. Ha, E. J. Kim & E. H. Shin. (2019). Interprofessional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Undergraduat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2), 261-268. 

  36. I. Oandasan & S. Reeves. (2005). Key elements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Part 2: factors, processes and outcomes.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9(1), 39-48. DOI : 10.1080/13561820500081703 

  37. D. D'amour & I. Oandasan. (2005). Interprofessionality as the field of interprofessional practice an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 emerging concept.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9(1), 8-20. DOI : 10.1080/13561820500081604 

  38. Y. Steinert. (2005). Learning together to teach togethe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faculty development. Journal of interprofessional care, 19(1), 60-75. DOI : 10.1080/135618205000817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