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지식, 재난간호준비도 및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
A Study on Knowledge,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among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0, 2019년, pp.39 - 47  

김화영 (창원경상대학교병원) ,  안성아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  김미향 (청암대학교 간호학부) ,  공정현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간호지식, 준비도 및 핵심수행능력의 관계를 분석하고 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C지역 대학병원 간호사 17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은 재난간호 준비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787, p<.001)가 있었다. 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난간호 준비도로 설명력은 62.3% 이었다. 따라서 병원간호사의 재난간호준비도 향상을 위해 실제 상황과 유사한 시뮬레이션 기반의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병원 자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training program by analyzing disaster nursing knowledge,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in hospital n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77 nurses in an university hospital in C area. Th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지식, 재난간호준비도,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이므로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간호사들의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재난간호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재난 발생 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할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간호지식, 재난간호준비도,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대해 서술적으로 파악하였다. 총 177명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은 재난간호준비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재난간호준비도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62.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지식, 준비도, 핵심수행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재난발생 시 간호사의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간호지식, 재난간호준비도가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재난간호 핵심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병원 내 재난 발생 시 재난간호지식, 재난간호준비도,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재난간호핵심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응 역할은? 병원은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다수의 사상자를 수용해야 한다. 병원 간호사는 24시간 병원을 지키고 병원을 가장 잘 아는 보건의료 인력으로서 재난대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재난발생 시 가장 유용한 인력으로 간주된다[3].
병원의 역할은? 이러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 병원이다. 병원은 24시간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다수의 사상자를 수용해야 한다. 병원 간호사는 24시간 병원을 지키고 병원을 가장 잘 아는 보건의료 인력으로서 재난대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호사의 재난간호핵심 수행능력 요인 파악이 중요한 이유는? 실제 재난발생 시 재난 피해자들이 의료기관을 우선적으로 찾아 치료를 받는 현실에서 그 누구보다 의료기관 내 간호사의 역할은 중요하다. 그러므로 재난 발생 시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간호제공을 위한 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핵심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 Y. Jung & J. D. Jung. (2018). Development Process and Improvement Plan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Law in Korea. Association for Korean Publlic Administration History, 43, 165-184. 

  2. I. S. Lee, J. H. Kim & Y. J. Kim. (2017). Convergence and Integration Review of Fire fighter Image through Disaster Mov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2), 91-97. DOI : 10.15207/JKCS.2017.8.2.091 

  3. E. G. Ann, K. L. Kim & S. Y. Choi. (2011). A Study on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Nurses in Some Kore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9(1), 94-109. 

  4. E. R. Cox & S. S. Briggs. (2004). Disaster Nursing-New Frontiers for Critical Care. Critical Care Nurse, 24(3), 16-22. 

  5. J. Y. Cho. (2019). Factors Affecting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8), 93-101. 

  6. M. Y. Kim & M. S. Kim. (2017). Correlation among Nurses'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7), 589-598. DOI : 10.5762/KAIS.2017.18.7.589 

  7. A. Y. Loke & O. W. M. Fung. (2014). Nurses'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Public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1, 3289-3303. DOI : 10.3390/ijerph110303289 

  8. O. H. Ahn, E. H. Jang & S. H. Kim. (2017).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Preparedness? Response Competency(DNPRC) Scale in terms of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7), 101-111. DOI : 10.15207/JKCS.2017.8.7.101 

  9. Y. J. Park & E. J. Lee. (2015).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 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67-79. 

  10. D. C. Uhm, Y. I. Park & H. J. Oh. (2016).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2), 240-249. DOI : 10.5977/jkasne.2016.22.2.240 

  11. E. H. Choi & I. S. Jang. (2017). Awareness of Severity of Natural Disasters and Nursing Core Competencies in School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30(3), 344-354. DOI : 10.15434/kssh.2017.30.3.344 

  12. S. S. Hur. (2017). The Effect of a Disaster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Case Based Small Group Learning. Unpublised doctoral dissertation, Chosun University, Gwang-ju. 

  13. J. Y. No. (2010).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Unpublis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M. R. Yoo, S. Y. Lee, Y. M. Jung & H. J. Yeon. (2007).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Oriented Educational Program for Disaster Nursing.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5(1), 1-30.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Geneva Switzerland: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ISBN 978-92-95065-79-6. 

  16. R. Powers & E. Daily. (2008). Nursing Issues in Disaster Health. Introduction.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3(3), 1-2. 

  17. S. H. Seo & E. Y. Suh. (2018). Disaster Perception, Disaster Preparedness, and Disaster Nursing Competency among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Cadet.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6(1), 61-70. 

  18. S. Y. Joe, J. Y. Lee & J. M. Lee. (2016). The Disaster Preparedness between Civilian Nurses and Military Nursing Offic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4(1), 70-80. 

  19. A. S. Park. (2017). The Effect of Disaster Awareness, Attitude, Preparedness on the Basic Competencies of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3), 1625-163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