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랜덤포레스트 기법을 이용한 생체 신호 기반의 스트레스 평가 방법
Stress Assesment based on Bio-Signals using Random Forest Algorithm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5 no.1, 2020년, pp.62 - 69  

임태균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자율주행AGV연구단) ,  허정헌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엔지니어링솔루션연구그룹) ,  정규원 (충북대학교 기계공학부) ,  김혜리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people suffer from stress during day life because modernized society is very complex and changes fast. Because stress can affect to many kind of physiological phenomena it is even considered as a disease. Therefore, it should be detected earlier, then must be released. When a person is being s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한 심박수, 심박 간격 시간과 피부 전도도를 이용하여 스트레스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다양한 작업 상황에서 심박수, 피부 전도도, 심박수 변화 등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들을 처리하여 스트레스를 검출하고자 하였다4-6). 또한 최근에는 머신러닝기술이 개발되면서 스트레스의 유무 또는 스트레스 수준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치적으로 평가하려는 연구가 여러 연구팀에서 수행되었다7,8).
  • 따라서 스트레스를 받는 작업 현장에서 이러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비교적 용이하게 측정이 가능한 심박수, 심박 간격 시간과 피부 전도도를 이용하여 스트레스를 검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자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다양한 작업 상황에서 심박수, 피부 전도도, 심박수 변화 등 생체 신호를 측정하고 이들을 처리하여 스트레스를 검출하고자 하였다4-6).
  • Phase 5는 마지막 단계로서 앞의 Phase 3 및 Phase 4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회복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하였다12). Phase 2 단계 시작부터 실험참가자의 손목에 착용한 MS-Band 2로부터 BPM, RR Interval, GSR 데이터를 수집하며, 각 단계의 종료 시점에서 시각 아날로그 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형태의 주관적 스트레스, 불안,긴장, 회피 정도를 100분위 점수로 실험 참가자 스스로 기록하도록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는 착용형 기기를 사용하여 얻은 생체 데이터들 즉 심박수, 심박간격 및 GSR과 스트레스 인가 실험에서 설문을 통해 얻은 자가진단 스트레스 수준 데이터를 기계학습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 또한 최근에는 머신러닝기술이 개발되면서 스트레스의 유무 또는 스트레스 수준을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치적으로 평가하려는 연구가 여러 연구팀에서 수행되었다7,8). 본 논문에서는 착용형 생체 신호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인체의 심박수, 심박 간격(R-R interval) 및 피부 전도도 신호를 검출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데이터 셋 값들을 찾고, 최신의 진보된 데이터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스트레스 예측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는 무엇인가?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또는 복잡해진 현대 사회생활에서 누구나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고 적당한 스트레스는 일상 생활에 활력을 주는 에너지원으로도 작용할 수 있지만 지나칠 경우에는 일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는 심리학적으로 인간이 심리적 또는 신체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느끼는 불안과 위협의 복합적인 감정이다.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과 신체 증상 장애 등과 같은 정신과적 질병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두통과 불면과 위장 장애 등 다양한 신체화 반응이 나타나고,심각할 경우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과 신체 증상 장애 등과 같은 정신과적 질병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두통과 불면과 위장 장애 등 다양한 신체화 반응이 나타나고,심각할 경우 암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운동 요법, 미술 치료, 상담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도록 한다. 그러나 개인이 자기 자신이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았는지 자각하지 못할 경우도 많이 있으며, 자각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이미 늦어 치유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스트레스를 받는 작업 현장에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이에 사용되는 생체 신호는 뇌전도 (EEG) 심전도(ECG, EKG), 근전도 (EMG), 산소포화도 (SPO2,), 피부 전도도 (GSR), 피부 온도 (SKT), 심박수 (heart rate),혈압, 호흡 (respiration), 혈류 속도, 혈류량, 산도 (pH) 등 다양하다. 이와 같은 여러가지 생체신호들 중에서는 측정을 위하여 신체의 심장 가까이 또는 근육 부위에 여러 개의 전극을 부착하고 이를 전선을 사용하여 연결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호를 받아야하는 것들이 있으며, 혈압, 호흡량, 혈류량 등은 측정을 위하여 복잡한 장치를 부착하고 이들 장치로부터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복잡한 계산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받는 작업 현장에서 이러한 생체 신호를 수집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A. Russell,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29, No. 6, pp. 1161-1178, 1980. 

  2. J. Bakker, M. Pechenizkiy and N. Sidorova, "What's Your Current Stress Level? Detection of Stress Patterns from GSR Sensor Data", 11th IEEE Int. Conf. on Data Mining Workshops, pp. 573-580, 2011. 

  3. AMIX, "Monitoring of Arduino-based PPG and GSR Signals through an Android Devic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Int. Student Conf. Design Competition, pp. 1-13, 2016. 

  4. J. A. Healey and R. W. Picard, "Detecting Stress During Real-World Driving Tasks using Physiological Sensors", IEEE Tra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6, No. 2, pp. 156-166, 2005. 

  5. S. Sriramprakash, V. D. Prasanna and O. V. R. Murthy, "Stress Detection in Working People", Procedia Computer Science, Vol. 115, pp. 359-366, 2017. 

  6. E. Garcia-Ceja, V. Osmani and O. Mayora, "Automatic Stress Detection in Working Environments From Smartphones' Accelerometer Data: A First Step", IEEE J. Biomed Health Inform, Vol. 20, No. 4, pp. 1053-1060, 2015. 

  7. V. J. Madhuri, M. R. Mohan and R. Kaavya, "Stress Manage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 Conf. on Advances in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pp. 54-57, 2013. 

  8. S. R. Lee, K. Y. Park and C. Y. Lee, "Intelligent Driver Assistance Systems using Biosignal", Journal of ICROS, Vol. 13, No. 12, pp. 1186-1191, 2007. 

  9. C. Kirschbaum, K. M. Pirke and D. H. Hellhammer, "The 'Trier Social Stress Test'-A Tool for Investigating Psychobiological Stress Responses in a Laboratory Setting", Neuropsychobiology, Vol. 28, No.1-2, pp. 76-81, 1993. 

  10. M. A, Birkett, "The Trier Social Stress Test Protocol for Inducing Psychological Stress", J. Vis. Exp., No. 56, e3238, 2011. 

  11. B. von Dawans, C. Kirschbaum and M. Heinrichs, "The Trier Social Stress Test for Groups (TSST-G): A New Research Tool for Controlled Simultaneous Social Stress Exposure in a Group Format", Psychoneuroendocrinology, Vol. 36, pp. 514-522, 2011. 

  12. S. W. Park, H. R. Ghim and H. J. Lee, "The Effect of Movies on Stress Relaxation", 36th Int. Conf. on Psychology and the Arts, Sigmund Freud University, Vienna, June 26-30, 2019. 

  13. M. Hauptmann, J. H. Lubin, P. Rosenberg, J. Wellmann and L. Kreienbrock, "The use of Sliding Time Windows for the Exploratory Analysis of Temporal Effects of Smoking Histories on Lung Cancer Risk", Statistics in Medicine, Vol. 19, pp. 2185-2194, 2000. 

  14. L. Breiman,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Vol. 45, pp. 5-32, 2001. 

  15. A. Liaw and M. Wiener,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Random Forest", R News, Vol. 2/3, pp. 18-22, 2002. 

  16. Y. U. Jo and D. C. Oh, "Study on the EMG-based Grasp Gesture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and Application to Active Prosthetics", J.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5, No. 3, pp. 229-234, 2019. 

  17. J. H. Choi, G. Y. Song and J. W. Lee, "Road Extraction Based on Random Forest and Color Correlogram", J.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17, No. 4, pp. 346-352, 2011. 

  18. S. M. Kim, T. H. Kim and D. H. Kim, "Autonomous Driving through Non-uniform Steering Angles Nodes Determination by Deep Learning", J.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5, No. 8, pp. 677-683, 2019. 

  19. A. Liaw and M. Wiener, Breiman and Cutler's Random Forests for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2018(https://cran.r-project.org/web/packages/randomForest/randomForest.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