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발전소 정지저출력 운전 기간의 물리적방호를 위한 핵심구역파악
Vital Area Identification for the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during Low Power and Shutdown Operation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5 no.1, 2020년, pp.107 - 115  

곽명웅 (세종대학교 원자력공학과) ,  정우식 (세종대학교 원자력공학과) ,  이정호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백민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troduces the first vital area identification (VAI) process for the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NPPs) during low power and shutdown (LPSD) operation. This LPSD VAI is based on the 3rd generation VAI method which very efficiently utilizes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지저출력 운전 기간 중에는 다수의 발전소 운전 상태별 다양한 초기사건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정지저출력 운전 기간 중 사건수목을 이용한 핵심구역 파악 절차를 통하여 핵심구역을 계산해 내고, 계산된 핵심구역만 원전의 사보타주로부터 방어하면, 모든 정지저출력 운전 상태에서 노심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이 이유로 (1) %TLOCCW 초기사건은 기본적으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2) 기기냉각수계통은 기 본적으로 실패한다고 가정한다. (3) 보조급수계통 (Auxiliary Feedwater System)의 기기냉각수계통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펌프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보조급수계통의 터바인구동펌프(Turbine Driven Pump)는 사용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 (2) 기기냉각수계통은 기 본적으로 실패한다고 가정한다. (3) 보조급수계통 (Auxiliary Feedwater System)의 기기냉각수계통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펌프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보조급수계통의 터바인구동펌프(Turbine Driven Pump)는 사용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4) 기기냉각계통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비상디젤발전기(Emergency Diesel Generator: EDG)는 실패한다고 가정한다.
  • (3) 보조급수계통 (Auxiliary Feedwater System)의 기기냉각수계통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펌프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보조급수계통의 터바인구동펌프(Turbine Driven Pump)는 사용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4) 기기냉각계통의 냉각을 필요로 하는 비상디젤발전기(Emergency Diesel Generator: EDG)는 실패한다고 가정한다.
  • (가정 2) 사보타주 발생하는 경우 소외전원은 상실을 가정하여 단기간에 전원복구가 불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 정지저출력 운전 기간 중 발생 가능한 초기사건은 발전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지저출력 운전 기간 동안 소외전원 상실사고(Loss of Off-site Power: LOOP), 기기냉각수 한 계열 상실사고(Partial Loss of Component Cooling Water: PLOCCW), 1E급 4.16 kV 교류모선 상실사고(Loss of class 1E 4.16 kV: LOKV), 정지냉각기능 상실사고(Loss of Shutdown Cooling System: LOSCS), 회수불능 냉각재 상실사고(Unrecoverable Loss of Coolant Accident: LOCA-U), 기기냉각수 완전상실사 고(Total Loss of Component Cooling Water: TLOCCW)가 발생 가능하다고 가정하였다.
  • 실제의 원자력발전소에서는 다양한 발전소 상태가 존재하고 그에 따라서 고장수목의 모델이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지저출력 운전의 발전소 상태 중 한 가지로 가정하여 사보타주 고장수목을 생성하였다.
  • 또한 기기냉각수계통과 이를 보 조하는 기기냉각해수 계통, 이의 보조를 받는 냉수계통 및 공조계통이 설치된 구역을 모두 핵심구역으로 선정하여 물리적방호를 수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이유로 (1) %TLOCCW 초기사건은 기본적으로 발생한다고 가정한다. (2) 기기냉각수계통은 기 본적으로 실패한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보타주 고장 수목의 크기가 방대할 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2세 대 핵심구역파악 방법은 전체 PSA 고장수목의 기본사건을 격실파손 기본사건으로 교체하여 사보타주 고장 수목을 생성한다. 사보타주 고장수목의 크기가 방대하여 이의 개발에 많은 자원이 소요되며, 정량화를 통하여 충분한 공격집합과 저지집합의 계산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PSA 사건수목을 기반으로 한 3세대 핵심구역파악 방법을 개발하였다13).
원전의 사보타주는 무엇인가? 원전의 사보타주는 중요 기기 또는 격실 파손을 유발하기 위한 인위적인 공격을 의미한다. 핵심구역파악 (Vital Area Identification: VAI) 방법으로 사보타주로부터 보호받아야할 격실들을 핵심구역으로 선정하고 보호한다.
핵심구역파악의 과정은? 2) 사보타주로 인해 고준위방사능사고(High Radiological Consequence)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기기, 계통, 그리고 핵물질을 가진 구역을 핵심구역으로 정의한다1). 핵심구역파악은 격실파괴를 기본사건으로하는 사보타주 고장수목을 작성하고, 사보타주 고장수목에서 공격집합들(Target Sets)을 계산하고, 공격집합들에서 저지집합들(Prevention Sets) 을 계산하고, 저지집합 가운데 가장 효율적으로 물리적 방호설계가 수행될 수 있는 하나의 저지집합의 격실들을 핵심구역으로 설정하고 보호하는 작업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의 핵심구역파악은 노심손상에 기인한 방사선 피폭에 의하여 대중을 위험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서 보호하여야 하는 원자력 시설의 격실을 식별하는 과정이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AEA, Nuclear Security Series No. 13 - Nuclear Security Recommendations on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Material and Nuclear Facilities, INFCIRC 225/Rev. 5, 2011. 

  2. IAEA, Nuclear Security Series No. 16 - Identification of Vital Areas at Nuclear Facilities, 2012. 

  3. G.B. Varnado and D.W. Whitehead, Vital Area identification for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uclear Power Reactor Licensees and New Reactor Applicants, SAND-5644. Sandia National Laboratories, 2008. 

  4. EPRI, Probabilistic Consequences Analysis of Security Threats - A Prototype Vulnerability Assessment Process for Nuclear Power Plants, 1007975, Final Report, 2004. 

  5. G. B. Varnado and N. R. Ortiz, Fault Tree Analysis for Vital Area Identification, NUREG/CR-0809, SAND79-0946, USA: Sandia Laboratory; 1979. 

  6. D. W. Stack and K. A. Francis, Vital area Analysis using SETS, NUREG/CR-1487, SAND80-1095, USA: Sandia Laboratory; 1980. 

  7. C. K. Park, W. S. Jung, J. E. Yang and H. G. Kang, "A PSA-based Vital Area Identification Methodology",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2(2), 133-140, 2003. 

  8. J. Ha, W. S. Jung and C. K. Park, "The application of PSA Techniques to the Vital Area Identific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37, Issue 3, pp. 259-264, 2005. 

  9. W. S. Jung, Y. H. Lee and J. E. Yang, "Development of a New Quantification Method for a Fire PSA",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Vol. 94, Issue 10, pp. 1650-1657, 2009. 

  10. Y. H. Lee, W. S. Jung, M. J. Hwang and J. E. Yang, "Vital Area Identification of Nuclear Facilities by using PSA", J. Korean Soc. Saf., Vol. 24, No. 5, pp. 63-68, 2009. 

  11. Y. H. Lee, W. S. Jung and J. H. Lee, "Vital Area Identification Analysis of A Hypothetical Nuclear Facility Using VIPEX", J. Korean Soc. Saf., Vol. 26, No. 4, pp. 87-95, 2011. 

  12. W. S. Jung, "ZBDD Algorithm Features for an Efficient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239, pp. 2085-2092, 2009. 

  13. W. S. Jung, M. J. Hwang and M. H. Kang, "Vital Area Identification Rule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for the Physical Prote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J. Korean Soc. Saf., Vol. 32, No. 3, pp. 160-171, 2017. 

  14. W. S. Jung, "An Efficient Vital Area Identification Method", Korean Nuclear Society, 2017. 

  15. NRC, Evaluation of Potential Severe Accidents during Low Power and Shutdown Operations at Surry - Unit 1,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