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중장년의 치면세마 필요와 구강 및 전신건강행동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needs for scaling and oral and general health behaviors in middle-aged peopl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51 - 59  

한수진 (가천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에 참여한 우리나라 중장년층 대표표본에서 치석제거를 필요로 하는 치주건강상태와 구강 및 전신 건강행동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0-64세 중장년 5,1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 및 전신건강상태에 대해 보정하였다. 현재 흡연(OR=1.593), 치과방문안함(OR=1.578), 현재 음주(OR: 1.420), 구강검진 비수검(OR: 1.304), 구강관리용품 비사용(OR: 1.2942)의 치면세마 필요에 대한 OR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성별 하위그룹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요인이 달랐다. 연구결과 중장년층 치주건강의 유지, 증진에 효과적인 구강 및 전신 건강행동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needs for scaling are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middle-aged Korean people. We examined 5120 individuals aged 40 to 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ultivariate l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후 보다 다양한 임상 정보를 포함하여 치주건강을 파악하고, 시간적 관계를 포함하여 관련요인을 평가할 수 있는 종단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주질 환이 아닌 이전 단계의 치주건강상태와 구강 및 전신 건강행동과의 관련성을 국가단위의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전문가들은 치주조직검사(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에서 치석은 형성되어 있으나 치주낭이 형성 되지 않은 상태를 치석형성조직(CPI code=2)으로 판단 하며[15], 지역사회 치주요양 필요자 분류기준(Community periodontal index of treatment need, CPITN)에서는 여섯개의 삼분악별로 치주조직을 검사하여 2 이상으로 기록된 삼분악이 있는 자를 치석제거를 포함한 치주 치료를 필요로 하는 치면세마필요자(CPITN2)로 분류한다[16]. 본 연구에서는 치면세마필요의 경우 치석침착이 라는 치주질환 이전의 단계를 포함하므로 치주건강의 증진을 위한 전문가 개입이 유효한 단계라고 판단하였다. 치석제거를 필요로 하는 치면세마필요자에게 치주건강의 증진, 유지에 도움되는 구강건강행동을 추천하는 것은 전문가의 기본이라 할 수 있다.
  • Oswal[19]도 구강건강과 함께 전신건강 증진을 위한 공통접근법이 필요할 수 있다고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 장년에서 치석제거를 필요로 하는 치주건강상태와 구강 및 전신건강행동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건강한 구강 상태 유지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주질환이 심각한 경우에 어떤 것이 초래되는가? 치주질환은 치아를 지지하는 주위조직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1]을 말하며, 대부분의 치주질환은 만성 치주염의 형태로 진행속도는 느리지만 개인의 건강 또는 관리 상태에 따라 진행과 정지가 반복되어 나타난다. 치주질환이 심각한 경우 결합조직의 부착소실과 치조골의 상실을 초래하게 되며[2], 이는 주요한 구강건강 문제이 다. 최근 심각한 치아상실은 감소되고 있는 추세[3]이지 만,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자연치아를 보유 한 노인인구가 증가하면서 치주질환의 부담은 더 커지고 있다[4, 5].
치주질환이란 무엇인가? 치주질환은 치아를 지지하는 주위조직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1]을 말하며, 대부분의 치주질환은 만성 치주염의 형태로 진행속도는 느리지만 개인의 건강 또는 관리 상태에 따라 진행과 정지가 반복되어 나타난다. 치주질환이 심각한 경우 결합조직의 부착소실과 치조골의 상실을 초래하게 되며[2], 이는 주요한 구강건강 문제이 다.
치면세마 필요자에게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 및 전신건강상태 항목의 결과는? 치면세마 필요에 따른 단변량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구강 및 전신건강상태 항목은 총콜레스테롤 측정 치를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치면세마 필요자에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가 많 았고, 구강과 전신건강상태가 좋지 않았다. 칫솔에 의한 치면세균막 관리는 기본적인 구강관리방법으로, 1일 2회 의 칫솔질은 여러 국가에서 사회적 규범으로 인식되어 있으며[21], 한국 청년의 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 S. Socransky & A. D. Haffajee. (1992). The bacterial etiology of destructive periodontal disease: current concepts. Journal of periodontology, 63 Suppl 4S, 322-331. DOI : 10.1902/jop.1992.63.4s.322 

  2. G. C Armitage. (1999).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periodontal diseases and conditions. Annals of periodontology, 4(1), 1-6. DOI : 10.1902/annals.1999.4.1.1 

  3. N. J. Kassebaum, E. Bernabe, M. Dahiya, B. Bhandari, C. J. Murray & W Marcenes. (2014). Global burden of severe tooth los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dental research, 93(7 Suppl), 20S-28S. DOI : 10.1177/0022034514537828. 

  4. N. J. Kassebaum, E. Bernabe, M. Dahiya, B. Bhandari, C. J. Murray & W. Marcenes. (2014). Global burden of severe periodontitis in 1990-201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Journal of dental research, 93(11), 1045-1053. DOI : 10.1177/0022034514552491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Outpatient disease statistics. In. Daejeon (South Korea): Statistics Korea. 

  6. A. Bascones-Martinez, J. Gonzalez-Febles & J. Sanz- Esporrin. (2014).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Review of the literature. American journal of dentistry, 27(2), 63-67. 

  7. J. M. Liljestrand et al. (2018). Immunologic burden links periodontitis to acute coronary syndrome. Atherosclerosis, 268, 177-184. DOI : 10.1016/j.atherosclerosis.2017.12.007 

  8. E. J. Kim, B. H. Jin & K. H. Bae. (2011). Periodontitis and obesity: a study of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periodontology, 82(4), 533-542. DOI : 10.1902/jop.2010.100274 

  9. H. Loe, E. Theilade & S. B. Jensen. (1965). Experime ental gingivitis in man. Journal of periodontology, 36, 177-187. DOI : 10.1902/jop.1965.36.3.177 

  10. I. L. Chapple et al. (2015). Primary prevention of periodontitis: managing gingiviti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42 Suppl 16, S71-76. DOI : 10.1111/jcpe.12366 

  11. M. Schatzle, H. Loe, W. Burgin, A. Anerud, H. Boysen & N. P. Lang. (2003). Clinical course of chronic periodontitis. I. Role of gingiviti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30(10), 887-901. 

  12. E. Ahn & H. Shin. (2017). Effectiveness of oral examin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effects on subsequent utilization and cos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1(2), 73-79. DOI : 10.11149/jkaoh.2017.41.2.73 

  13. S. Y. Ahn, Y. S. Hwang & S. J. Han. (2013). Effect of oral healthcare program of exemplary kindergartens for prevent the dental caries in Incheon city, Korea.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3(4), 501-509. 

  14. S. J. Han. (2018). EFfects of health behaviors on the periodontal health status of korea young man: the 6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8(6), 957-967. DOI : 10.13065/jksdh.20180082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7). Oral Health Surveys: Basic Methods, 4 edn. Geneva : World Health Organization. 

  16. J. B. Kim et al. (2009). Public Oral Health. Seoul : KMS. 

  17. F. R. M. Leite, G. G. Nascimento, S. Baake, L. D. Pedersen, F. Scheutz & R. Lopez. (2018). Impact of smoking cessation on periodont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longitudinal observational and interventional studies. Nicotine & Tobacco Research, 21(12), 1600-1608 DOI : 10.1093/ntr/nty147 

  18. M. S. Al-Zahrani, E. A. Borawski & N. F. Bissada. (2005). Increased physical activity reduces prevalence of periodontitis. Journal of dentistry, 33(9), 703-710. DOI : 10.1016/j.jdent.2005.01.004 

  19. K. C. Oswal. (2010). A common risk approach for oral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Indian journal of dental research, 21(2), 157. DOI : 10.4103/0970-9290.66623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Guidelines of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 Cheongju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1. S. Kumar, J. Tadakamadla & N. W. Johnson. (2016). Effect of toothbrushing frequency on incidence and increment of dental ca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dental research, 95(11), 1230-1236. DOI : 10.1177/0022034516655315 

  22. T. Poklepovic et al. (2013). Interdental brushing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in adul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Cd009857. DOI : 10.1002/14651858.CD009857.pub2 

  23. D. Sambunjak et al. (2011). Flossing for the management of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in adult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Cd008829. DOI : 10.1002/14651858.CD008829.pub2 

  24. D. Bourgeois, I. Saliasi, J. C. Llodra, M. Bravo, S. Viennot & F. Carrouel. (2016). Efficacy of interdental calibrated brushes on bleeding reduction in adults: a 3-month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European Journal of Oral Sciences, 124(6), 566-571. DOI : 10.1111/eos.12302. Epub 2016 Sep 29 

  25. B. Ashwath, R. Vijayalakshmi, D. Arun & V. Kumar. (2014). Site-based plaque removal efficacy of four branded toothbrushes and the effect of dental floss in interproximal plaque removal: a randomized examiner- blind controlled study. Quintessence international, 45(7), 577-584. DOI : 10.3290/j.qi.a31960. 

  26. S. Salzer, D. E. Slot, F. A. Van der Weijden & C. E. Dorfer. (2015). Efficacy of inter-dental mechanical plaque control in managing gingivitis- a meta-review.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42 Suppl 16, S92-105. DOI : 10.1111/jcpe.12363 

  27. N. C. Claydon. (2008). Current concepts in toothbrushing and interdental cleaning. Periodontology 2000, 48, 10-22. DOI : 10.1111/j.1600-0757.2008.00273.x 

  28. B. I. Kim et al. (2016). Textbook of oral care products. Seoul : CharmYun. 

  29. S. Yun & C. J. Suh. (2016). The effects of the scaling health insurance coverage expansion policy on the use of dental services among patients with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22(2), 143-162. 

  30. M. Y. Kim & J. H. Kim. (2018). Related factors and whether oral examination for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0), 175-182. DOI : 10.5392/JKCA.2018.18.10.175 

  31. Cda. S. Amaral, M. V. Vettore & A. Leao. (2009). The relationship of alcohol dependence and alcohol consumption with periodontiti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dentistry, 37(9), 643-651. DOI : 10.1016/j.jdent.2009.04.011 

  32. B. A. Dye.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itis and alcohol use is not clear. Journal Of Evidence-Based Dental Practice, 10(4), 225-227. DOI : 10.1016/j.jebdp.2010.09.008 

  3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9).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Cheongju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3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Guide. Smoking cessation support [Internet].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ited 2020 Fev 28]. Available from: https://minwon.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MENU_WBMAI]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