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모형 탐색: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 분석 활용
Mother's Perceived Infant Smartphone Over-immersion Prediction Model: Data 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5, 2020년, pp.97 - 105  

정지숙 (경북여성정책개발원) ,  오정아 (충청남도복지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주요 예측요인을 밝혀내고 교육 및 실천현장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만4세-7세 유아의 주양육자인 어머니로 총 410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보았을 때, 스마트폰 과의존을 가장 중요하게 예측하는 변인은 아버지의 여가활동 양육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아는 아버지의 여가활동참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가장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버지의 여가활동 참여가 높더라도, 어머니의 과보호와 허용적 태도가 높은 경우 스마트폰 과의존은 다시 증가하였다. 여아의 경우, 스마트폰 과의존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온정과 격려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in predictors of smartphone overdependece of infants perceived by moth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ducation and practice. For this, data-mining decision tre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gram, and the fianl 410 researches were used for analysis.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변인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유아교육, 아동정신건강, 부부상담 등 정책 및 실천현장에 근거기반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부갈등과 부모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스마트폰 과의존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러한 변인들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 또한, 아버지의 자녀와의 여가활동은 아동에게 자기표현, 자기해방, 자기만족의 경험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하고 자녀의 행복감에 영향을 준다는 기존연구[9,12,22]의 주장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이는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하기 위해 부모-자녀 상호작용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부갈등과 부모의 양육태도 등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유발하는 변인을 파악하고, 유아의 성별에 따른 주요변인을 도출함으로써 성별에 따른 정책 및 실천적 접근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 첫째,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요인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http://www.cmhc.com. 

  2. Griffiths. M. (1996). Behavioral addictions: and issue for everybody. The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8(3), 12-25. 

  3. H. R. Kim & K. S. Lee. (2019).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s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Elementary Schools Students.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Welfare, 6(20), 65-75. 

  4. H. W. Beak, Y. M. Shin & K. M. Shin. (2014).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Related to Smartphone Overus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53(5), 320-326. 

  5. I. S. Kim & D. Y. Kim. (2017). The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n Smartphone Overindulgence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mong Preschool Childre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Conflicts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8(2), 221-244. 

  6. K. S. Yim, S. H. Kim & H. K. Hong. (2014). A Study of Correlation among You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Self-respect, and Self-regulatio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1(4), 203-221. 

  7. J. Y. Kum, C. H. Chung & H. J. Jeong. (2019).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Smart-Phone Dependency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playfulnes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20(2), 75-97. 

  8. E. J. Hyu, E. M. Park, M. M. H. Cho & T. Y. Kim. (2013). Relationship among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levels, maternal depression and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3(5), 181-205. 

  9. Y. K. Oh, M. H. Lee & H. S. Choe. (2016). The Relation between Fathers" Parenting Involvement and Children's Excessive Immersion in Smartphone. Korea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15(4), 169-191. 

  10. J. E. Kim. (2016). Influences of Marital Conflict and Maternal Anger, Depression, Abuse and Neglect on Problem Behaviors of Preschoolers. Ewha Woman's University. 

  11. E. J. Jeon. (2015).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rital conflict, rearing stress and children's aggression and latent mean analysis of children's temperament. The Korea society for earty childhood education & care, 10(4), 97-119. 

  12. E. H. Jung. (2014). A study on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and paternal involvement of families with preschool children on mothers childrearing stress. Dongguk University. 

  13. Brock, R. L. & Kochanska, G. (2016). Interparental conflict, childern's swcurity with parents, and long-term risk of internalizing problems : A longitudinal study from ages 2to 10.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8(1), 45-54. 

  14. J. S. Jang. (2003).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their children's behavior problems. Yonsei University. 

  15. M. S. Yang & E. J. Jo. (2011). A study on internet addiction and parental marital conflict,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al monitoring and control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2), 339-351. 

  16. E. J. Yu.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ndency of addiction of smartphon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University National of Incheon. 

  17. K. S. Choi. (199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y of child and the child rearing behaviors and involvement of father. Korea University. 

  18. J. H. Park. (2001).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relation to maternal parenting goals, parenting behavi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Yonsei University. 

  19. J. A. Oh & H. S. Oh. (2018). The predictors of factors related to career decision making amongst adolescents who drop out of school, using decision-making tree analysi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e, 29(1), 145-177. 

  20. Argyle. M. (1999). Causes and correlates of happiness. New York:Russell Sage Foundation. 

  21. Alfermann. D. & Stoll. O. (2000). Effects of physical expercise on self-concept and well-b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Psychology. 31(1), 47-65. 

  22. I. S. Park & E. Y. Nahm. (2015). Relations among coparenting, father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toddler"s emotion reg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8(4), 135-153. 

  23. Torres. N., Verissimo. M., Monteiro. L., Ribeiro. O. & Santos. A. J. (2014) Domains of father involvement. soci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Family Studies, 20(3), 188-203. 

  24. H. S. Lee. (2010). The relationship among game indulgence, mental health in early childhood and maternal child rearing attitudes. Sungkyunkwan University. 

  25. J. H. Kim. (2010).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and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on Their Internet-Game Addictive Inclin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8), 77-86. 

  26. J. A. Han & J. H. Kim. (2012). Effect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Gender-Specific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4), 665-678. 

  27. S. Y. Park. (1998). Relation Among Marital Conflict, Child Coping, Child Adjust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8. Y. A. Jang & Y. J. Lee. (2011). Communication Among Parents and Children: Effects on Marital Conflict and on Children's Stress and Problematic Behaviors. Family and Family Therapy, 19(3), 183-205. 

  29. A. R. Cho & M. K. Choi. (2014).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Children's Depression: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Control.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5(4), 145-165. 

  30. Y. O. Kwon. (1998). Children's perception of marital conflict and behavior problems. Dong Kuk University. 

  31. Fincham. F. D., Grych. J. H. & Osboren. L. M. (1994). Does marital conflict cause child maladjustment?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longitudinal research.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8, 128-140. 

  32. Grych. J. H. & Fincham. F. (1990). Mati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 cognitive-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2, 437-453. 

  33. Davies. P. T. & Cummings. E. M.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3), 387-4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