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valuation of Low-cost MEMS Acceleration Sensors to Detect Earthquake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5, 2020년, pp.73 - 79  

Lee, Jangsoo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Kwon, Young-Woo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에서 점차 증가하는 지진으로 지진을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상청에서 운영하는 기존 관측소는 설치와 운영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어 오늘날 저가의 센서를 사용하여 지진을 감지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저가의 MEMS 가속도 센서를 활용하여 지진 관측자료 생성 및 지진 감지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해 평가한다. 가속도 센서 분석을 위하여 국내의 여러 위치에 설치하여 가속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PSD 계산을 통하여 각 센서의 바닥 잡음 수준을 파악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MEMS 가속도 센서의 바닥 잡음 수준과 지진 감지를 위한 노이즈 모델과 비교하여 MEMS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지진의 규모를 파악한다. 다양한 종류의 건물에 부착된 280 여 개의 가속도 센서 중 200 개의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지난 수 개월 간 수집 하였으며 PSD 계산을 통하여 설치된 스마트폰의 MEMS 가속도 센서는 10Km 이내에서 발생하는 규모 3.5 이상의 지진을 관측 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지난 몇 개월간의 운영 기간 동안, 스마트폰 가속도 센서는 2019년, 12월 30일 밀양에서 발생한 규모 3.5의 지진을 기록하였으며 지진 감지 기법 중 하나인 STA/LTA 기법에 의해서 지진이 감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하는 MEMS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지진 감지 체계는 점차 증가하는 지진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number of earthquakes gradually increases on the Korean Peninsula, much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to detect earthquakes quickly and accurately. Because traditional seismic stations are expensive to install and operate, recent research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to detect earthqu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5Hz에서 20Hz 사이의 주파수 영역에서 발생하므로 나이퀴스트 주 파수(Nyquist Frequency)에 따라, 20Hz의 주파수 성분을 복원하기 위해선 40Hz 인 초당 40개의 샘플을 수집해야 한다. 또한, 국가에서 관리하는 지진 가속도계의 경우 초 당 100개의 샘플을 수집하므로 본 논문에서도 초당 100개 샘플의 수집을 목표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MEMS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 지진 관측 및 지진조기경보 체계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MEMS 가속도 센서의 성능을 분석하고 지진 관측에 활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이를 위하여 시범 설치된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 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센서들의 데이터 수집 주기와 가속 도 센서의 노이즈 수준을 측정한다.
  • 본 논문에서는 MEMS 센서 기반의 지진 관측자료 생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그림 1과 같은 시스템을 구성하였 다. 제시된 시스템은 휴대폰 MEMS 센서를 기반으로 한 지진 관측이 실용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초기 버전으 로서 데이터 수집을 주로 수행한다.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의 MEMS 가속도 센서에서 수집된 가속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저가의 MEMS 센서 기반의 지진 관측망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 석한 결과 전체 센서 중 95%의 센서가 주파수 1Hz 구간에서 잡음 수준은 –55dB 이하이며, 이는 10km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3.
  • 본 절에서는 지진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의 성능을 평 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 수집 주기와 데이터 품질에 대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센서 명세를 바탕으로 MEMS 가속도 센서의 지진 감지 기대 성능을 평 가 해 보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지진 감지를 위한 가속도 센서의 성능을 평 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의 데이터 수집 주기와 데이터 품질에 대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센서 명세를 바탕으로 MEMS 가속도 센서의 지진 감지 기대 성능을 평 가 해 보고자 한다. 현 시스템은 갤럭시 S7 스마트폰의 가 속도 센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STMicroElectronics에서 제조한 K6DS3TR를 사용하고 있으며, 센서의 성능은 표 1 과 같다.
  • 이를 위하여 시범 설치된 스마트폰의 가속도 센서 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센서들의 데이터 수집 주기와 가속 도 센서의 노이즈 수준을 측정한다. 이어서 해당 MEMS 가속 도 센서에서 실제 기록된 지진 파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지진조기경보체계에의 활용 방안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확한 지진 감지를 위해서 가속도 데이터는 어떻게 수집되어야 하는가? 정확한 지진 감지를 위해서는 가속도 데이터가 일정한 주기로 수집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0.
지진 가속도계가 설치된 위치에서의 지진 감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어떤 것이 필요한가? 지진 가속도계가 설치 된 위치에서의 지진 감지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그 위치에서 발생하는 상시적인 잡음의 수준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잡음이 발생하는 원인 도 중요하지만 각 주파수 대역에서 잡음의 세기를 알아야 하므로[11], Power Spectral Density(PSD)를 사용하여 센 서의 설치 위치에서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잡음을 분석한다.
MEMS 센서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및 잡음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어 어떤 한계가 발생하는가? 하지만 MEMS 센서의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 및 잡음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지진 관측 성능을 결정짓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규모 3.5 이하의 작은 지진의 신호를 복원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지만 지진으로 인한 움직임은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사 용하여 기존 관측망의 정확도와 신속성을 향상시키기 위 한 보조 관측망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Working Group on Instrumentation, Siting, Installation, and Site Metadata, "Instrument Guidelines for the Advanced National Seismic System", U. 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08-1262, p. 41, 2008. https://pubs.usgs.gov/of/2008/1262/ 

  2. Q. Kong, R. M. Allen, L. Schreier and Y.-W. Kwon, "MyShake: A smartphone seismic network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and beyond.", Science Advances, 2.2, p. e. 1501055, Feb. 2016. DOI: 10.1126/sciadv.1501055 

  3. Y.-M.. Wu, W.-T. Liang, H. Mittal, W.-A.. Chao, C.-H.. Lin, B.-S. Huang, and C.-M. Lin, "Performance of a low­cost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P­alert) during the 2016 ML 6.4 Meinong (Taiwan) earthquake."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87.5, pp. 1050-1059, Oct. 2016. DOI: 10.1785/0220160058 

  4. Jon R. Peterson, "Observations and modeling of seismic background noise.", US Geological Survey, 1993. DOI: 10.3133/ofr93322 

  5. Daniel E. McNamara, and Raymond P. Buland, "Ambient noise levels in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4.4, pp. 1517-1527, Aug. 2004. DOI: 10.1785/012003001 

  6. Carlo Cauzzi, and John Clinton., "A high-and low-noise model for high-quality strong-motion accelerometer stations." Earthquake Spectra, 29.1, pp. 85-102, Feb. 2013 DOI: 10.1193/1.4000107 

  7. J. R. Evans, R. M. Allan, A. I. Chung, E. S. Cochran, R. Guy, M. Hellweg, and J. F. Lawrence, "Performance of Several Low­Cost Accelerometers.", Seismological Research Letters, 85.1, pp. 147-158, Jan./Feb. 2014. DOI: 10.1785/0220130091 

  8. T. Perol, M. Gharbi, and M. Denol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earthquake detection and location", Science Advances, 4.2 p. e1700578, Feb. 2018. DOI: 10.1126/sciadv.1700578 

  9. J. Lee, I. Khan, S. Choi, and Y.-W. Kwon, "A smart iot device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earthquakes," Electronics, 8.12, p. 1546, Dec. 2019, doi: 10.3390/electronics8121546. 

  10. I. Khan, S. Choi, and Y.-W. Kwon, "Earthquake Detection in a Static and Dynamic Environment Using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nd a Novel Feature Extraction Method," Sensors, 20.3, p. 800, Feb. 2020. doi: 10.3390/s20030800. 

  11. P. Bormann, and E. Wielandt, "Seismic Signals and Noise", in New Manual of Seismological Observatory Practice 2, pp. 1-62, 2013. DOI:10.2312/GFZ.NMSOP-2_ch4 

  12. D. E. McNamara, and Richard I. Boaz, "PQLX: A seismic data quality control system description, applications, and users manual.",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10-1292, pp. 41, 2010. https://pubs.usgs.gov/of/2010/1292 

  13. L. Krischer, T. Megies, R. Barsch, M. Beyreuther, T. Lecocq, C. Caudron, and J. Wassemann, "ObsPy: a bridge for seismology into the scientific Python ecosystem", Computational Science & Discovery, 8.1, p. 014003, May 2015. DOI: 10.1088/1749-46 99/8/1/014003 

  14. F. Mohd-Yasin, D. Nagel, and C. Korman., "Noise in MEMS.", Measurement Science and Technology, 21.1, p. 012001, Nov. 2009. DOI: 10.1088/0957-0233/21/1/012001 

  15. A. Quinchia, G. Falco, E. Falletti, F. Dovis, and C. Ferrer, "A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error modeling of MEMS applied to GPS/INS integrated systems.", Sensors, 13.8, pp. 9549-9588, Jul. 2013. DOI: 10.3390/s130809549 

  16. A. Trnkoczy, "Understanding and parameter setting of STA/LTA trigger algorithm," in New Manual of Seismological Observatory Practice 2, pp. 1-20, 2012. DOI: 10.2312/GFZ.NMSOP-2_S_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