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안복합어선의 크기 변화에 따른 어로작업 효율 분석
Analysis of efficiency of fishing operation by the change in the size of coastal composite fishing boat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6 no.2, 2020년, pp.126 - 137  

김민선 (군산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전공) ,  황보규 (군산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전공) ,  장호영 (군산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shing process of existing fishing boat and newly built fishing boat by using the video observation methods to understand the improvement of fishing operation efficiency and safety according to the scale change of coastal composite fishing boat. The fishing 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안복합어선의 규모 변화에 따른 조업 효율 및 안전에 대한 개선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 어선과 신조 어선의 조업 데이터를 비디오 관찰법을 활용하여 수집·분석한 결과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로작업이란 무엇인가? 어로작업이란 어선원이 선박의 설비, 어로 장비 및 어구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어획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수산업법에 따른 허가어업제도에서는 연안어선의 규모를 10톤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어선의 선주들은 제한된 톤수 내에서 어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선박의 길이와 폭을 크게 키워 갑판면적을 넓히는 대신 깊이를 비정상적으로 줄여 어획 공간을 많이 늘리고 있는데(Jeong et al.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이 어선어업을 외면된 요인은 무엇인가? 어촌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더불어 오랜 세월 동안 개선되지 못하고 시대에 뒤떨어진 연안 어선의 작업공간과 생활공간, 노동집약적인 작업 시스템은 우리나라의 젊은이들이 어선어업을 외면하게 된 요인 중의 하나가 되었다. KMI (2018)의 우리나라 어가 동향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에 어가 인구의 급감 속에서 고령화율은 초고령화의 UN 기준인 20.
우리나라 수산업법이 갖는 문제점은? 어로작업이란 어선원이 선박의 설비, 어로 장비 및 어구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어획을 실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수산업법에 따른 허가어업제도에서는 연안어선의 규모를 10톤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어선의 선주들은 제한된 톤수 내에서 어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선박의 길이와 폭을 크게 키워 갑판면적을 넓히는 대신 깊이를 비정상적으로 줄여 어획 공간을 많이 늘리고 있는데(Jeong et al., 2015; Kimet al., 2017), 이러한 기형적인 선형은 어선의 내항 성능을 악화시킴으로써 운항 안정성을 저해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강화되고 있는 국제어선원의 복지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연안 어선의 위험하고 열악한 조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선의 조업능력을 제한하는 톤수에서 길이 기준으로의 변화를 모색하고 어선원의 안전 ․ 복지, 비용 절감 및 조업 특성을 고려한 표준 선형의 어선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 (KMI, 2019; MOF,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HK, Park BS, Kang DH and Kim SS. 2017. The main factor and counterplan for marine accidents in Korea. JFMSE, 29, 746-756.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3.746. 

  2. Hwang BK, Chang HY and Kim MS. 2018. Operating status of Korean coastal composite fishing boats by the questionnaire survey.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4, 324-332. https://doi.org/10.3796/KSFOT.2018.54.4.324. 

  3. Jeong UC, Kim HS, Kwon SY and Choi JH. 2015. Study of hull form development of 5-ton-class catamaran-type coastal fishing boat for welfare accommodation of fishing crew.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9, 405-410. https://doi.org/10.5574/KSOE.2015.29.6.405. 

  4. Jung CH,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afety by accidents analysis of fishing vessels. JFMSE 30, 176-186. https://doi.org/0.13000/JFMSE.2018.02.30.1.176. 

  5. KMTSA (Korea Maritime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2007. A basic study on the analysis of cause of casualty in fishing vessel. 1-83. 

  6. Kim KS, Han SH and Cho JW. 2017. A basic study on securing welfare space in crew accommodation for fishers working in coastal and inshore fisheries. JFMSE 29, 811-82. https://doi.org/10.13000/JFMSE.2017.29.3.811. 

  7. KMI (Korea Maritime Institute) 2018.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fishing community, we must respond to the extinction of the fishing village population. 100, 1-23. 

  8. KMI (Korea Maritime Institute). 201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new fishing vessel registration system. 1-168. 

  9. Lee YW. 2019. Risk assessment for fisher's safety in coastal composite fishing vessels.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5, 145-151. https://doi.org/0.3796/KSFOT.2019.55.2.145. 

  10. Lee YW, Kim WS, Lee JH, Kim SJ and Kim HS. 2013. A basic study on control factor for the marine casualties of fishing vessel in Kor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49, 40-50. https://doi.org/10.3796/KSFT.2013.49.1.040. 

  11.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fishing registration system considering the safety of fishing vess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fish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fishing gear. 1-105. 

  12. Park BS, Kang IK, Ham SJ, Park CW, Kim SH and Choi HK, 2016. The main factor and counterplan for marine casualties of fishing vessel according to the type of fishing gear in Korea.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52, 232-240. https://doi.org/10.3796/KSFT.2016.52.3.232. 

  13. Ryu KJ and Kim HS, 2019. A study on improving safety education of fishermen's for decreasing of marine accidents in Korea. JFMSE 31, 893-902. https://doi.org/10.13000/JFMSE.2019.6.31.3.8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