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설문 문항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estionnaire Improvement using Text Mining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6 no.2, 2020년, pp.121 - 128  

백연지 (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  정창현 (목포해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민의 해양안전문화 수준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2018년에 해양안전문화지수를 개발하였다. 안전문화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안전문화에 영향을 줄 만한 이슈를 포함해야 하고 현 실태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적·경제적 변화에 따라 지속적인 검증과 보완이 요구된다. 해양 전문가에 의해 설계된 설문 문항이 국민의 관심사와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915명의 해양안전 관련 제안 내용을 분석하였다. 비정형 데이터인 해양안전 제안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해양안전 제안을 분석한 결과 '교육', '홍보', '안전수칙', '의식', '전문 인력', '시스템'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해양안전 제안 사항이 2019년 설문 문항에 반영되도록 18개의 문항을 수정·보완하였고, 설문 문항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내적 일관성은 0.895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년 대비 향상되었다. 해양 관련 전문가뿐만 아니라 국민의 요구사항까지 반영한 개선된 설문 문항으로 해양안전문화지수를 도출함으로써 해양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정책 수립에 더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rine Safety Culture Index (MSCI) was developed in the year 2018 for objectively assessing the public safety culture levels and for incorporating it as data to spread knowledge regarding the marine safety culture.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safety culture index should include issues that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해양 전문가에 의해 설계된 해양안전문화지수 도출을 위한 설문 문항이 국민의 관심사와 요구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8년 실시된 설문조사의 해양안전 관련 제안 내용을 분석하였다. 해양안전 제안 내용은 자유 기술한 비정형 데이터이므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향후 해양안전문화지수 도출을 위한 설문 문항 개선에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양안전문화지수 도출을 위한 설문조사의 설문 문항이 국민의 해양안전 관련 경험과 인식을 측정하는데 적정한지 확인하기 위해 2018년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915명의 해양안전 제안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TF-IDF 가중치를 적용한 키워드의 동시 출현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토픽 모델링으로 주제를 분류하였다.
  • 이에 현재의 안전문화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안전문화 선진화를 위한 노력을 유도하고자 문화지수를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자체 교통문화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여 교통안전에 대한 자율적 경쟁을 도모하고 교통안전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교통문화지수를 개발하였으며, 현장 조사와 사고 통계를 기반으로 2008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MOLIT, 2019).
  • 본 연구에서는 해양 전문가에 의해 설계된 해양안전문화지수 도출을 위한 설문 문항이 국민의 관심사와 요구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2018년 실시된 설문조사의 해양안전 관련 제안 내용을 분석하였다. 해양안전 제안 내용은 자유 기술한 비정형 데이터이므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향후 해양안전문화지수 도출을 위한 설문 문항 개선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AA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2019), 2018 Traffic Safety Culture Index, http://www.aaafoundation.org/ (Accessed Nov. 2019). 

  2. Blei, D. M.(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55, pp. 77-84. 

  3. Blei, D. M., A. Y. Ng, and M. I. Jordan(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Vol. 3, pp. 993-1022. 

  4. Cronbach, L. J.(1951),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metrika, Vol. 16, No. 3, pp. 297-334. 

  5. Feldman, R. and I. Dagan(1995), Knowledge Discovery in Textual Databases(KDT), Knowledge Discovery, Vol. KDD-95, pp. 112-117. 

  6. Griffiths, T. L. and M. Steyvers(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1, pp. 5228-5235. 

  7. Grun, B. and K. Hornik(2011), Topic models: An R Package for Fitting Topic Model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Vol. 40, No. 13, pp. 1-30. 

  8. Hotho, A., A. Nurnberger, and G. Paass(2005), A Brief Survey of Text Mining, LDV Forum - GLDV Journal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Language Technology, Vol. 20, pp. 19-62. 

  9. IAM RoadSmart(2016), Measuring attitudes to driving safety & behaviour_The IAM RoadSmart Safety Culture Index, IAM Safety Culture Report, pp. 2-3. 

  10. Kang, S. Y., K. S. Kim, and B. S. Rho(2018), An Analysis of Causes of Marine Incidents at sea Using Big Data Th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4, No. 4, pp. 408-414. 

  11. Kim, S. H., Y. J. Lee, J. Y. Shin, and K. Y. Park(2010), Text ming for Economic Analysis, Bank of Korea, Vol. 2019-18, p. 10. 

  12. Kim, Y. M.(2013), Study on Improving Safety Cultures by Analysing Behavior Characteristics of Korean Seafar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9, No. 5, pp. 503-510. 

  13. KOSHA(2019),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cept of safety culture, http://www.kosha.or.kr/ (Accessed Dec. 2019). 

  14. Lee, J. S., B. K. Lee, and I. S. Cho(2019), Text Mining Anaysis Technique on ECDIS Accident Re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25, No. 4, pp. 405-412. 

  15. MOLIT(201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ransport Culture Index, http://www.molit.go.kr/ (Accessed Dec. 2019). 

  16. Paek, Y. J., C. H. Jung, and D. G. Yoon(2018), The Development of Marine Safety Culture Index, Journal of Korean Maritime Police Science, Vol. 8. No. 4, pp. 79-106. 

  17. Park, J. H. and M. Song(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 30, No. 1, pp. 7-32. 

  18. Salton, G. and M. J. McGill(1983), Introduction to Modern Information Retrieval, McGraw-Hill, New York. 

  19. Seo, S. H.(2016), Fintech Trend Analysis using Topic Modeling of BM Patents,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