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동체 활동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빌리지 기술개발 수요분석
Demand Analysi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Smart Village based on Community Activitie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2, 2020년, pp.117 - 126  

박소연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 ,  조혜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여가관광개발학과) ,  정남수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demands of smart technology development were analyzed for rural village communities. Questionnaire items were derived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49 villages in 8 regions were selected and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ㆍ농교류활동형에서 체험 분야는 체험을 제공하는 공급자를 대상으로 적용 가능한 기술 수요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방문객은 체험을 경험하고자 방문하는 수요자 입장, 홍보는 도농교류 활동을 외부에 홍보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파악하기 위해 세분화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빌리지 기술이 농촌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농촌공동체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고, ICT 기반 창조마을 현장조사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며, 공동체 리더를 대상으로 기술 수요 조사를 실시하여 부문별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의 스마트빌리지는‘스마트기술로 더 나은 공동체와 지속 가능한 농촌 마을’로 정의하였으며, ICT 기술의 단순 보급이 아닌 생활을 분석하고 농촌공동체 수요를 파악하여 농촌 주민들의 삶의 방식에 대응하는 스마트빌리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고 농촌생활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공급하여 농촌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농촌마을 공동체를 대상으로 기술 수요를 조사하고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농촌 마을 공동체 실태 파악을 위해 객관적 해석을 위한 설문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8개 지역을 대상으로 49개 마을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색깔 있는 마을 만들기 사업의 농촌 공동체 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빌리지 수요 조사를 위한 공동체 유형과 활동 요인을 도출하고 농촌 마을 공동체를 영역별로 재분류하였다. 농촌마을 공동체의 비즈니스 활동에 대한 요인을 고려하여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 농촌마을 공동체의 비즈니스 활동에 대한 요인을 고려하여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 조사는 전국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기존 마을 사업을 시행하여 자체적으로 유지ㆍ운영되고 있는 공동체를 선정하였으며, 농촌 마을 공동체 현황과 비즈니스 활동을 위한 스마트빌리지 기술 수요를 파악하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공동체 활동 기반의 스마트빌리지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도출하려 한다. 본 연구의 수행 과정을 요약하면 Table 1과 같다.
  • 연구의 결과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으나 아래 와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최근 시행 중인 스마트빌리지 보급ㆍ확산 사업은 주민이 직접 서비스 개선에 대한 수요 제기, 기획과 평가 등 사업 전반에 참여하는 리빙랩 기반 실증으로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하며, 삼척시 근덕면, 무안군 무안읍 총 2개 읍․면에 총 40억 원 규모로 지원되고 있다. 읍ㆍ면 단위에 지능정보기술을 접목하여 농어촌 지역 현안을 해결하고 생활 편의 개선을 위해 지자체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농어촌 지역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지능정보기술을 발굴하고 마을 주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읍ㆍ면별 서비스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 정보화 마을 사업은 전자정부법 제65조에 따라 전자정부 지원 사업 일환으로 2018년 5월 기준 327개 마을이 정보화 마을로 개발되었으며, 정보화에 소외되었던 농산어촌 지역에 정보 접근 기회 제공 및 정보화 교육으로 정보격차를 해소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정보화마을 시스템, 마을 정보 센터, 마을 홈페이지, 정보화 교육 실시 등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자립형 마을공동체(마을 운영위원회 조직) 중심으로 추진되었다(L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mad, 2016, Smart villages-the Malaysian approach, European Academies Science Advisory Council. 

  2. European Commission(EC), 2017, EU Action For Smart Villages. 

  3. Holmes, J., 2018,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Smart Villages Initiative 2014-2017, European Acadicies Science Advisory Council. 

  4. Ki, J., H, 2018, Smart Village Promotion Strategy as a Saemaul Undong Demonstration Village Project,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04-109. 

  5.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C), 2017, ICT-based Happy Rural Village Project Assessment. 

  6. Park, K. H et al,. 2019, Agricultural Outlook 2019 (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37-38. 

  7.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KREI), 2019, The necessity and related trends of rural space planning to make the rural feel like a rural area: 5-30. 

  8. Lim, S. B et al., 2018, Development of Big Data Base and Utilization System for Supplying Rural Living Services(I),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KRCC). 

  9. Lee, J. W., 2019,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elfsupporting smart residence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change factor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focused on eco-village plan. 

  10. Lim, S. B et al., 2019, Development of Big Data Base and Utilization System for Supplying Rural Living Services (II),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C). 

  11. Lee, S. H., 2019, Regional Population Trends and National Response Tasks, Low birth rate and aged society committee: 11-26. 

  12.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3, Handbook for the Making of a Colored Village Rural Field Forum: 6-138. 

  1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2017, NIA Hot Issue Report 2017-10: 2-77. 

  14.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2018a, European Regional Activation ICT Project - Smart Village, EU Action for SMART VILLAGE by EC, NAI Special Report 3. 

  1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2018b, Smart City by Smart Citizen: 14-46. 

  16. Park, S. W, 2019, A Study on Establishing Smart Fishing Community in an a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Maritime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