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로서 ICT 리빙랩 사례 분석과 시사점
ICT Living Lab as User-driven Innovation Model: Case Analysis and Implication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5 no.1, 2015년, pp.245 - 279  

성지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박인용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혁신시스템에 탈추격 창조형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면서 '지속가능성', '삶의 질', '사회문제 해결' 등의 의제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혁신모델이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혁신정책에서 ICT 활용의 강화와 함께 사용자 니즈, 개발 성과의 확산, 기술의 사회적 영향을 고려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리빙랩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ICT인프라를 활용하여 직접 개발활동 및 혁신주체 간 연계, 사용자 경험 활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과학기술 ICT 기반 서비스 개발을 수행하는 리빙랩으로 핀란드 Turku Archipelago 리빙랩, 범 유럽 차원에서 리빙랩 방법론 확산을 목표로 하는 EIT ICT Labs와 ELLIOT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리빙랩에서 실현되는 최종 사용자(지역 구성원)의 수요와 경험, 과학기술 ICT의 활용 양태를 분석한 결과 이들 리빙랩에서는 기술의 사용자 현장지향성이 강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혁신활동을 강조하였으며, 거버넌스 다학제 활동에 의한 협업을 중시하였다. 이를 통해 ICT 리빙랩을 국내에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지역사회의 역할 강화, 협업구조, R&D 프로세스 등의 설계에 있어 사용자 참여와 숙의가 강조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w innovation model that deals with agenda as sustainability, quality of life, societal challenges is emerging as NIS(National Innovation System) is needed to transit to post catch-up and creativity.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enhancing usage of ICT, end-user's need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기술의 의미 확장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과학기술은 그간 경제성장 및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발전’, ‘삶의 질 제고’, ‘사회문제 해결’, ‘국민편익 개선’ 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이는 기술에 대한 시각이 기술개발을 넘어 기술의 사회적 활용‧확산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기술 사용자(수용자)로서 시민 및 시민사회의 역할이 강화됨을 의미한다(성지은 외, 2010; 2012).
과학기술은 최근에 어떠한 수단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었나? 이러한 배경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이하 혁신정책)과 혁신모델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과학기술은 그간 경제성장 및 경쟁력 강화의 수단으로 인식되었으나, 최근에는 ‘지속가능한 발전’, ‘삶의 질 제고’, ‘사회문제 해결’, ‘국민편익 개선’ 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 이는 기술에 대한 시각이 기술개발을 넘어 기술의 사회적 활용‧확산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기술 사용자(수용자)로서 시민 및 시민사회의 역할이 강화됨을 의미한다(성지은 외, 2010; 2012).
리빙랩의 특징은? 이렇게 삶의 질과 지속가능한 발전 등의 가치가 기술혁신의 화두로 제시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User-led Innovation)” 모델인 리빙랩(Living Lab)이 부각되고 있다. 리빙랩은 특정한 공간(지역)에서 최종 사용자의 참여를 핵심요소로 규정하며, 사용자 행동‧경험과 암묵적 지식을 혁신에 활용한다. 최근 리빙랩에서는 ICT 인프라의 활용을 특히 강조하고 있으며, ICT는 사용자 참여의 구체화, 혁신주체 간 연계‧조정뿐만 아니라 협력적 커뮤니티 구성 및 서비스 개발의제 등으로 작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규남.김민식.진홍윤(2014), ICT 부문의 사용자 주도형 혁신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방통융합기반정책연구 14-07, 미래창조과학부. 

  2. 김병수.김종훈(2011), "구글맵기반 사용자 참여형 안드로이드폰 GIS 2.0 응용프로그램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4), pp.11-20. 

  3. 김석준(Daniel Kim).성지은(2015),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위한 리빙랩: SusLab NWE의 독일 보트롭 사례", STEPI Insight, 158. 

  4. 더스쿠프(2015.6.17), . 

  5. 미래창조과학부(2015), "사회문제해결을 위한시민연구사업본격추진", 2015. 2. 3,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 

  6. 성지은(2014), "과학기술과 사회의 협력적 혁신모델, 리빙랩", 제 4차 과학기술+사회혁신 포럼 발표자료, 2014.9.23. 

  7. 성지은.송위진(2007), "총체적 혁신정책의 이론과 적용: 핀란드와 한국의 사례". 기술혁신학회지, 10(3), pp.555-579. 

  8. 성지은.송위진(2010), "탈(脫)추격형 혁신과 통합적 혁신정책", 과학기술학연구. 10(2), pp.1-36. 

  9. 성지은.송위진.김종선.박인용(2015), ICT 분야의 한국형 리빙랩 구축 방안 연구, 방송통신정책연구 14-진흥-118, 미래창조과학부. 

  10. 성지은.송위진.박인용(2014),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기술혁신학회지, 17(2), pp.309-333. 

  11. 성지은.송위진.김왕동.김종선.정병걸.박미영.박인용.정연진(2013), 저성장시대의 효과적인 기술혁신지원제도, 정책연구 13-02,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2. 성지은.송위진.정병걸.김민수.박미영.정연진(2012),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방안, 정책연구 12-06,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3. 성지은.송위진.정병걸.장영배(2010), 미래지향형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설계 및 개선방안, 정책연구 10-10,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송위진(2012),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Issue & Policy, 59,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5. 송위진.성지은(2013),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정책, 파주: 도서출판 한울. 

  16. 송지원(2008), "디자인 문제 분석을 위한 사용자 조사 방법으로서의 사용자 참여적 방법의 활용에 대한 연구: 지능형 홈 사용자 조사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1(3), pp.181-190. 

  17. 안미리.조영찬.황윤자.차현진.김희진(2009), "사용자중심의 참여 미디어 교육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전략",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926-932. 

  18. 위정현(2009), "사용자 혁신의 확장: 다수 유저 참여형 콘텐츠 개발과정 분석: 온라인게임 '리니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0(5), pp.101-120. 

  19. 위정현.김진서(2011), "IT 산업에서 사용자 혁신을 이용한 콘텐츠 개발사례 분석", e-비즈니스연구, 12(3), pp.419-440. 

  20. 전자신문(2015.5.27), . 

  21. Alcotra(2011), Best practices Database for Living Labs, Alcotra Innovation project, Deliverable 2.3. 

  22. C@R Consortium(2007a), Cyclic Develoption Report, Archipelago Rural Living Lab, M13-M15, Deliverable WP3.2-D.3.2.3-d.1.0. 

  23. C@R Consortium(2007b), Report on Existing and Lacking Infrastructure - Turku RLL, Deliverable WP3.2-D.3.2.2. 

  24. C@R Consortium(2007c), Requirements for Application and Platform Development - Turku RLL, Deliverable WP3.2-D.3.2.1.d. 

  25. C@R Consortium(2008), Cyclic development report on platform deployment, pilot applications, user roll-out, training, and PPP/business models development, Deliverable WP3.2-D.3.2.3-d.2.0. 

  26. EIT ICT Labs(2012), Annual Report 2012. 

  27. EIT ICT Labs(2013), Annual Report 2013. 

  28. ELLIOT(2012a), ELLIOT-Experiential Living Labs for the Internet Of Things, Standard Presentation, 2012. 7. 5. 

  29. ELLIOT(2012b), User/Citizens are becoming key contributors to co-create innovative IoT based services The ELLIOT Project, Press Release. 

  30. Folstad, A.(2008), Living labs for innovatio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eJOV Executive, 10, 100-131. 

  31. Frank, N. and Shah, S.(2003), How communities support innovative activities: an exploration of assistance and sharing among end-users, Research Policy, 32, pp.157-178. 

  32. Gumbo, S., Thinyane, H., Thinyane, M., Terzoli, A and Hansen, S(2012), Living Lab methodology as an approach to innovation in ICT4D: the Siyakhula Living Lab experience, Proceedings of IST-Africa conference 2012. 

  33. Hongisto, P. and Fern, T.(2010), Archipelago - Building a Rural Living Lab for Governance and Rural Development, Chapter 9, Living Labs for Rural Development - Results from the C@R Integrated Project, TRAGSA and FAO. 

  34. MEE(Ministry of Employment and the Economy, Finland)(2010), Demand and User-driven Innovation Policy. 

  35. Mulder, I., Velthausz, D. and Kriens, M.(2008), The Living Labs harmonization cube: Communicating living labs' essentials, 

  36. Sauer, S.(2013), User innovativeness in Living Laboratories, Ph.D. thesis in University of Twente, Enscede, Netherlands. 

  37. Schuurman, D., De Moor, K., De Marez, L. and Evens, T(2011), A Living Lab research approach for mobile TV, Telematics and Informatics, 28(4), 271-282. 

  38. Verloop, C.M., Wolfert, S. and Beulens, A.(2009), Living lab "Information management in Agri-Food supply chain networks", Proceedings of eChallenges e-2009 Conference, 2009.10.22, Istanbul. 

  39. von Hippel, E.(2001), Open Source Shows The Way: Innovation by and for Users-No Manufacture Required!, Working Paper 133, MIT Center for Digital Business. 

  40. Wolfert, J., Verdouw, C.N., Verloop, C.M. and Beulens, A.J.M.(2010), Organizing information integration in agri-food-.A method based on a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and living lab approach,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70(2), 389-405. 

  41. EIT ICT Labs http://www.eitictlabs.eu/ 

  42. ELLIOT Project http://www.elliot-project.e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