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uro architecture items and detailed elements that can be considered for each detailed space in the future medical space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hecklist of neuro architecture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medical sp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uro architecture items and detailed elements that can be considered for each detailed space in the future medical space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hecklist of neuro architecture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medical space design. Methods:: This study first develops the neuro architecture element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prepares the basic plan for the checklist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employees of the design company in which the researcher works. Finally, a checklist was developed through a survey of nine experts, including designers, hospital staff, and professors.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neuro architecture component was developed in seven categories: light, color, sound, air, image, nature, ergonomic furniture and equipment. 2) Specifically, it consists of 49 elements including 7 light elements, 7 color elements, 5 sound elements, 4 air elements, 11 image elements, 6 elements in nature, 9 elements in ergonomic furniture and equipment. It was. 3) Although each of the detailed elements is more preferred according to the space, in general, all the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hospital space design. Implications: The checklist on the neuro architecture element will enable the development of the most faithful design as an efficient and useful tool for applying the neuro architecture philosophy that considers human beings in hospital design and pursues healing and happines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euro architecture items and detailed elements that can be considered for each detailed space in the future medical space design develo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hecklist of neuro architecture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medical space design. Methods:: This study first develops the neuro architecture element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prepares the basic plan for the checklist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employees of the design company in which the researcher works. Finally, a checklist was developed through a survey of nine experts, including designers, hospital staff, and professors.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neuro architecture component was developed in seven categories: light, color, sound, air, image, nature, ergonomic furniture and equipment. 2) Specifically, it consists of 49 elements including 7 light elements, 7 color elements, 5 sound elements, 4 air elements, 11 image elements, 6 elements in nature, 9 elements in ergonomic furniture and equipment. It was. 3) Although each of the detailed elements is more preferred according to the space, in general, all the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hospital space design. Implications: The checklist on the neuro architecture element will enable the development of the most faithful design as an efficient and useful tool for applying the neuro architecture philosophy that considers human beings in hospital design and pursues healing and happines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 공간 디자인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신경건축학 요소들의 체크리스트의 개발을 통해 향후 의료 공간 디자인 개발 시 세부 공간별로 고려될 수 있는 신경건축학적 항목과 세부 요소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요소의 개발과 병원 근무자 및 실내 디자인 전문가 총 18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있으며, 향후 체크리스트의 발전을 위해 관계자 및병원 방문자(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충분한 인원을 대상으로한 양적 조사를 통해 체크리스트를 보완 및 발전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 공간 디자인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신경건축학 요소들의 체크리스트의 개발을 통해 향후 의료 공간 디자인 개발 시 세부 공간별로 고려될 수 있는 신경건축학적 항목과 세부 요소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요소의 개발과 병원 근무자 및 실내 디자인 전문가 총 18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결론을 도출하고 있으며, 향후 체크리스트의 발전을 위해 관계자 및병원 방문자(환자 및 보호자)에 대한 충분한 인원을 대상으로한 양적 조사를 통해 체크리스트를 보완 및 발전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병원 공간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경건축학 요소의 체크리스트 개발을 목적으로 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근거에 의거하여 개발된 요소를 디자인 현장에서 사용하고, 관련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된 체크리스트로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으나 향후 더 많은 검토와 현장 적용을 통해 발전될 필요가 있다. 이에 다음 단계에서 체크리스트의 보완 및 발전을 위해 관계자 및 병원 방문자(환자 및 보호자) 에 대한 양적 조사를 시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3) 본 연구에서 선정된 요소들은 의료공간 디자인을 시행함에 있어 의료시설 각 공간에서 주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 이다. 물론 의료공간의 특성 상 세부공간별로 요소별 중요성의 차이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는 신경건축학적 요소를 의료공간에 적용함에 있어 기준이 될 체크리스트 개발을 목적으로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연구를 통해 신경건축학적 요소를 개발하고 이를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디자인 회사의 직원들과 협의를 통해 체크리스트를 위한 기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디자이너, 병원관계자, 교수 등 전문가 18인의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18인에 대한 설문은 2019년 10월 1일 ~ 5 일에 진행하였다[표 1].
2019),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는 물론 실제 의료공간에 서의 작업 시 고려되고 있는 요소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6개의 핵심요소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와 실내 디자인 교수 1 인, 디자이너 1인 등 전문가 2인과 함께 논의를 통해 세부적으로 빛 7개 요소, 컬러 7개 요소, 소리 5개 요소 공기 4개 요소, 이미지 11개 요소, 자연 6개 요소 인체공학적 가구 및 장비 9개 요소 등 총 49개의 요소를 구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는 신경건축학적 요소를 의료공간에 적용함에 있어 기준이 될 체크리스트 개발을 목적으로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연구를 통해 신경건축학적 요소를 개발하고 이를 본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디자인 회사의 직원들과 협의를 통해 체크리스트를 위한 기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디자이너, 병원관계자, 교수 등 전문가 18인의 설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18인에 대한 설문은 2019년 10월 1일 ~ 5 일에 진행하였다[표 1].
성능/효과
평가는 18명의 전문가들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1점 부여하여 가장 많이 중요한 요소는 18점, 가장 낮은 요소는 0점으로 기술되었다. 즉, 합계 점수가 높은 항목일수록 더 많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연구
예를 들면 방문 환자의 질환 종류 및 연령대, 입원환자의 질환종류 및 연령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날 수는 있다. 하지만 이 모든 요소들이 체크리스트의 항목으로 의료공간 디자인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라는 것은 분명하며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해당 의료공간의 특성에 맞는 요소들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근거에 의거하여 개발된 요소를 디자인 현장에서 사용하고, 관련 전문가들에 의해 검토된 체크리스트로그 효용성을 확인할 수 있으나 향후 더 많은 검토와 현장 적용을 통해 발전될 필요가 있다. 이에 다음 단계에서 체크리스트의 보완 및 발전을 위해 관계자 및 병원 방문자(환자 및 보호자) 에 대한 양적 조사를 시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건축학은 무엇인가?
신경건축학은 말 그대로 신경과학(neuroscience)과 건축학 (architecture)의 결합된 것으로 “물리적 환경이 인간에게 미치는 생리학적, 신경과학적 영향을 파악하고, 이렇게 얻어진 과학적 데이터를 공간 디자인에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 이다(Lee, 2014). 대부분의 신경 과학자들은 건축을 건축가가 조화, 대칭 및 디자이너가 만든 좋은 비율의 시각적 인식을 통해 관찰자를 만족시키는 미적인 아름다움과 관련된 직업으로 생각하고 있지만 건축은 미학 이상의 것을 필요로 하는 영역이 다.
병원 공간에서 많이 사용되는 신경건축학적 요소인 인체공학적인 가구 및 장비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상의 기본 요소에 더해 실제 병원 공간에서 많이 사용되는 신경건축학적 요소는 인체공학적인 가구 및 장비 요소이다. 병원 공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체공학적인 가구 및 장비로는 의료침대, TV 및 광고모니터, 상두대 / 캐비넷, 보호자용 의자, 소파베드, 스테이션 데스크, 이동식의자, 소파형 의자, 상담테이블 등이 있다(Noh, Tae Rin. 2019).
공간 계획의 핵심은 무엇인가?
공간 계획의 핵심은 ‘공간’이 아닌 그 안에 있는 ‘사람’이다. 그 동안의 헬스케어 공간 설계가 치료와 요양을 위한 기능적 공간과 운영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행해졌다면, 이제는 환자의 속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환경을 파악하여 설계에 반영하는 것에 좀 더 중점을 두어야 한다.
참고문헌 (9)
권혜진, 신경주, 2015, "경로당 시설에 대한 체크리스트 개발과 평가",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4(4), 23-32.
노태린, 2019, 신경건축학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 연구,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오지영, 박혜경, 2015, "고령자의 신체특성을 반영한 전시시설 환경디자인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 268-277.
유용흠, 김진욱, 2016, "국내 학교 범죄예방환경디자인 평가 체크리스트 비교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3, 249-257.
이종은, 2014, "프라이버시 최적화 공간을 위한 신경건축", 대한건축학회, 58(9), 33-37.
정재승, 조성행, 2017, 신경건축과 헬스케어공간의 가치, D-health Vol.1.
Esther M. Sternberg, 2009, Healing spaces: the science of place and well-being, Cambridge, MA: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Paul Dolan, Chloe Foy, Sophie Smith 2016, "The SALIENT Checklist: Gathering up the Ways in Which Built Environments Affect What We Do and How We Feel", Buildings, 6(1).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