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F 인증을 위한 경사로 설치기준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Ramp Installation Standard for BF Certification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6 no.2, 2020년, pp.31 - 38  

신동홍 (유니버설 건축과, 국립한국복지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ramp is an important facility for the barrier free access and vertical circulation of users of various buildings, including users of walker, wheelchair users, stroller users, and baggage carriers. The installation standards for ramps in Korea have various problems during construction an...

주제어

표/그림 (2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국제기준, 국외 및 국내기준의 검토와 비교를 통해 경사로 설치기준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BF 인증과정에서의 명확한 인증지표 적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사로 설치와 관련된 국내기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국제 및 국외기준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경사로 설치기준의 개선방안과 BF 인증심사 과정에서의 명확한 평가를 위한 평가지표의 설정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제기준 및 국내·외 관련 기준의 비교·분석을 통해 경사로의 법적 설치기준과 BF 인증과정에서의 평가기준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써,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장애인등편의법, BF 인증심사기준 등 관련 법률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장애인등편의법, BF 인증심사기준 등 관련 법률 은 설치기준에 대한 부분적인 개정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경사 로를 포함한 많은 부분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있으며 실질적 이 용에 대한 편의성과 안전성 확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건축물의 경사로에 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심사기준의 문제점 및 한계는? 그러나 제시하고 있는 설치기준의 일부 항목에서는 명확한 설치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거나 세부항목에 대한 상세기준 의 부재로 경사로가 잘못 설치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BF 인증과 정에서 일관성 있는 기준의 적용과 평가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경사로란? 경사로는 휠체어 사용자, 유모차 사용자, 보행보조도구 사용 자, 캐리어 사용자 등 계단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한 보행 경로상의 단차극복 및 건축물 내・외부에서의 수직이동을 위한 중요한 편의시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국토교통부; 보건복지부, 2018,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심사기준 및 수수료기준등". 

  2. 보건복지부, 2018,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별표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등에 관한 세부기준(제2조 제1항 관련)". 

  3. ISO 21542, 2011, "Building construction -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the built environ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4. ISO TR 9527, 1994, "Building construction - Needs of Disabled People in Buildings - Design Guidelines",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5. DIN 18040-1, 2010, "Barrierefreies Bauen - Planungsgrundlagen - Teil 1: Offentlich zugangliche Gebaude", Beuth Verlag GmbH. 

  6. ONORM B 1600, 2017, "Barrierefreies Bauen - Planungsgrundlagen", Austrian Standard. 

  7. SIA 500 / SN 521 500, 2009, "Hinderfreie Bauten", Sweizerischer Invalidenverband. 

  8. 2010 ADA Standards for Accessible Design, 2010, United States Department of Justice. 

  9. Berlin - Design for All / Offentlicher Freiraum, 2011, Senatsverwaltung fur Stadtentwicklung Berlin. 

  10. Barrierefreie Gebaudeeingange - Technisches Informationsblatt Nr.7/1. Auflage, 2015, Bundesministerium fur Wissenschaft, Forschung und Wirtschaft. 

  11. Barrierefreies Bauen fur Alle Menschen - Planungsgrundlage, 2010, Stadtbaudirektion Graz, Referat Barrierefreies Bauen, Allgemeine Unfallversicherungsanstalt. 

  12. Building Standards Guide - Promoting Construction of Safe, Healthy, Habitable Buildings / Barrier-Free Design, 2019, Building Standards and Licensing Branch, Saskatchew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