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여 규암리 출토 금동관음보살 입상의 형상과 제작기법
Gilt-bronze Standing Avalokiteshvara from Gyuam-ri, Buyeo: The Structure and Production Technique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23, 2020년, pp.1 - 16  

신용비 (국립부여박물관) ,  김지호 (국립부여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부여 규암리 출토 '금동관음보살입상(국보 제293호, M335번)' 1점을 현미경으로 확대 관찰하여 제작기법을 확인하였고, XRF 성분분석과 Hard X-선 조사로 구성 성분과 불상 표면 처리 방법, 주조법을 확인하였다. 이 불상은 연화대좌 위에 직립하는 보살상이다. 불상 양 측면으로 흘러내린 천의와 대좌에 표현된 연화문의 모양을 볼 때 7세기 이후에 만들어진 불상의 특징을 하고 있다. 대좌 안쪽에서 내형과 외형을 고정시키기 위한 틀잡이와 주물의 주입 흔적이 관찰되었다. 또한, 주조기법은 팔과 대좌 부분에 청동 주물시 형성된 기포가 확인되어 이를 종합해 볼 때 고대 중소형 금동불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밀납주조법으로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성분분석 결과, 불상 내부에서는 시기적으로 6~7세기에 많이 나타나는 구리(Cu)-주석(Sn)-납(Pb) 계열의 3원계 합금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금속을 합금하여 주조를 쉽게 하고 불상에 표현된 문양 및 장식을 선명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로 추정된다. 불상 표면에서는 수은(Hg)이 검출되어 금(Au)을 수은(Hg)에 용해시켜 도금하는 방식인 아말감도금기법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도금방법은 고대 한반도에서 제작된 소형 금동불에서 주로 확인되는 불상의 도금 방식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Gilt-bronze Standing Avaolkiteshvara (National Treasure No. 293, M355) excavated at Gyuam-ri in Buyeo was observed with a microscope to identify the production technique applied to it. It was also analyzed with XRF and hard X-ray to identify the composition and the surface treatment t...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는 7세기 백제에서 제작된 부여 규암리 출토 금동보살상 1점을 분석하여 형상 및 제작기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금동보살상은 작은 구슬을 오른쪽 손으로 집고, 왼손으로는 천의를 잡아 올리는 독특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 본고에서는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이하, 금동보살상)’을 현미경으로 확대 관찰하고 비파괴분석과 X선 조사를 통해 금동보살상의 형상 관찰과 주조 기법, 성분 구성, 불상 표면 처리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이번 연구를 통해 부여 규암리 출토 금동보살상의 형상과 구성 성분, 도금방법을 이해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향후 X선 조사, CT촬영 등 투과 촬영을 통해 내부구조를 조사하여 제작기법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기를 기대하고 나아가 백제 지역 금동불상의 형식별 제작방법과 조성성분에 대한 다각적 비교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말감도금기법이란 무엇인가? 성분분석 결과, 불상 내부에서는 시기적으로 6~7세기에 많이 나타나는 구리(Cu)-주석(Sn)-납(Pb) 계열의 3원계 합금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금속을 합금하여 주조를 쉽게 하고 불상에 표현된 문양 및 장식을 선명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로 추정된다. 불상 표면에서는 수은(Hg)이 검출되어 금(Au)을 수은(Hg)에 용해시켜 도금하는 방식인 아말감도금기법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러한 도금방법은 고대 한반도에서 제작된 소형 금동불에서 주로 확인되는 불상의 도금 방식이다.
금동관음보살입상이 관음보살상으로 제작되었을 것이라 추측하는 근거는 무엇인가? 6kg이다. 둥근 연화대좌 위에 직립하고 있는 보살상으로 머리에 쓴 보관에 화불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관음보살상으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좌는 안쪽 부분(도1-e)이 비어있고, 대좌와 불상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막혀 있어 불상은 주물로 꽉 채워진 상태이다.
백제 시대에 제작된 보살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백제 제작으로 생각되는 보살상의 특징을 보면 높은 보관, 중심부 아래가 뾰족한 장식을 목에 걸치고 있는 점, 부드러운 미소를 띠는 얼굴 표정(입꼬리를 다물고 있는 표현) 등을 들 수 있다[6~10]. 앞뒤, 좌우 등 불상 전체에 조각이 이루어져 있어 부여 군수리사지 출토 금동보살입상(도4)과 같이 정면만을 의식해서 만든 불상보다는 발전된 미의식이 확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정영호, 백제의 불상 , p179-184,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도서출판 주류성, 서울, (2004). 

  2. 公益財?法人東洋文庫 ?像デ?タベ?ス 梅原考古資料 [http://124.33.215.236/umehara2008/ume_query.html] 

  3. 국립중앙박물관편, 유리원판 목록집 II , p192,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1998). 

  4. 이구열, 광복 직후의 문화재 사건들, 문화사학 27, p1103-1114, (2007). 

  5. [단독]'백제의 걸작' 90년만에 빛...진품 공인되면 수백억 가치, 한겨레신문 2018년 6월 4일자 기사, (2018). 

  6. 문명대, 백제 불상조각의 대일교섭-백제 불상의 일본 전파 , p133-167, 백제 미술의 대외교섭, 도서출판 예경, (1998). 

  7. 김리나, 한국고대불교조각, p155-190, 문예출판사, 서울, (2003). 

  8. 곽동석, 한국의 금동불 I , p246-261, 다른세상, 서울, (2016). 

  9. 김지호, 불교미술품-백제의 영향을 받은 불교미술품 , p193-205, 일본 속의 百濟-긴키 지역- I,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홍성군, (2017). 

  10. 김지호, 불교미술품-백제 영향을 받은 혼슈지역의 불교미술품 , p236-245, 일본 속의 百濟-혼슈.시코쿠 지역-,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홍성군, (2019). 

  11. 김동하, 신라 소형금동불의 제작기법과 그 전개양상 -영주 숙수사지 출토 금동불상군을 중심으로 - , p228-255, 신라의 금동불,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2011). 

  12. 유혜선.박학수.신용비, 안압지 금동판불의 과학적 분석, 박물관 보존과학 8, p49-69. (2007). 

  13. 민병찬, 불상을 보는법- 고대 금동불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p284-286, 고대불교조각대전,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5). 

  14. 노태천, 한국고대 야금기술사 연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94. (1999). 

  15. 민병찬, 권강미, 한국과 일본 금동반가사유상의 특징-성분분석결과를 중심으로 -, p470-481, 한일금동반가사유상 -과학 적 조사 연구 보고-,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7). 

  16. 박학수, 금동반가사유상의 성분분석 결과 , 한일금동반가사유상 -과학적 조사 연구 보고-, p494-497,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7). 

  17. 신용비,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재질의 성분분석, 신라문물연구 6.7, p72-79, 국립경주박물관, (20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