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 상응 분석을 통한 아파트 건설현장 업무상 재해 유형 분석
Analysis of Occupational Accident Types in the Apartment Construction Sites using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20 no.3, 2020년, pp.269 - 278  

류한국 (Department of Architecture, Sahmyook University) ,  손승현 (Department of Architecture, Kyunghe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중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에 대해 분석하고 업무상 재해 유형에 따른 재해요인을 다중 상응 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세 번째로 재해빈도가 높은 아파트 건설현장에 대한 재해 관련 연구가 부족하고 설문 조사 기법을 활용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재해원인조사 데이터에서 탐색적 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다중 상응 분석을 통해 각 재해요인 간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두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아파트 시공이 초고층화 및 설계의 복잡화로 인해 고소작업이 많아짐에 따라 추락재해가 높은 빈도와 근로자의 사망률을 나타냈다. 또한, 사망은 경력이 매우 적은 작업자와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작업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안전교육 미실시, 경험 부족 그리고 근로자의 안전불감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 상응 분석 결과 대부분 발생하는 산업재해는 안전장비 착용, 올바른 작업절차 준수 및 관리·감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중점 재해요인은 아파트 건설현장의 안전교육과 감독·관리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afety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apartment construction site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ictims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ccidents through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There is a lack of disaster-related studies on apartment construction sites, the...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셋째, 추출된 변수들을 대상으로 탐색적자료 분석을 하였고 직관적인 이해를 도우려고 시각화하였다. 넷째, 각 변수의 재해요인 간 연관성을 도출하기 위해 다중 상응 분석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요인들과 그 요인들 간의 연관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중 아파트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분석하였다. 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수집한 산업재해원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재해 유형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재해요인과 각 재해의 발생형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상응분석은 서로 다른 정보를 나타내는 행과 열을 하나의 공통 공간상에 나타낼 수 있다는 특유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11-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업무상 재해 유형의 다양한 재해요인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상응 분석을 적용하였다.
  • 업무상 재해 유형의 발생 단계는 불안정한 환경과 노동자의 개인적인 결함인 불안전한 행동, 즉 부주의로 이어지고, 부주의가 사고를 일으켜 재해가 발생하며 이러한 재해를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분류된 항목들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재해 유형에 따른 재해요인들을 분석하고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재해의 발생형태 중 상위 네 개에 대해 다중 상응 분석을 시행하였다. 사망과 같은 중대 재해의 빈도가 매우 높은 추락과 낙하·비래 재해와 부상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충돌·협착, 전도 네 가지 재해로 데이터를 나누어 각 변수의 요인들에 대한 전체적인 상응 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건설현장 중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를 특징을 분석하고 업무상 재해 유형과 업무상 재해 정도인 사망과 부상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업무상 재해 유형에 따른 재해요인들 분석하기 위해 KOSHA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 첫째, 분석의 목적과 변수가 무엇인지 확인하고 둘째, 데이터에 문제가 없는지 탐색한 후 이상치 및 결측치 등을 확인한다. 셋째, 데이터의 개별 속성값을 관찰하여 속성값이 예측한 범위와 어떤 분포를 띄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넷째, 속성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개별 속성 관찰에서 찾아내지 못한 패턴을 발견하는 것이다 [9,10].
  • 또한, 아파트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중대 재해 중 추락, 전도, 낙하·비래, 충돌·접촉에 대한 다중 상응 분석을 통해 각 재해요인 간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아파트 건설현장의 재해특성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재해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중 아파트 건설현장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산업재해를 분석하였다. 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수집한 산업재해원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발생한 업무상 재해 유형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재해요인과 각 재해의 발생형태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유형은 추락(떨어짐), 전도(넘어짐), 붕괴·도괴(깔림·뒤집힘), 낙하·비래(물체에 맞음), 협착·충돌(끼임·부딪힘) 등으로 분류되는데, 각각의 정의는 무엇인가? 각 재해 유형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추락은 높이가 있는 곳에서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뜻하며, 전도는 사람이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과 물체의 쓰러짐이나 뒤집힘을 나타낸다. 충돌·협착은 물체에 부딪히거나 기계설비에 끼이거나 감김을 뜻하며 낙하·비래는 날아오거나 떨어진 물체에 맞음을 의미한다. 붕괴·도괴는 건축물이나 쌓인 물체가 무너짐을 뜻한다[1,8]. 업무상 재해 유형의 발생 단계는 불안정한 환경과 노동자의 개인적인 결함인 불안전한 행동, 즉 부주의로 이어지고, 부주의가 사고를 일으켜 재해가 발생하며 이러한 재해를 기록하고 관리하기 위해 분류된 항목들은 매우 중요하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르면 업무상 재해란 무엇인가? 산업재해는 건설공사 및 생산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서 인적 및 물적 피해를 뜻하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르면 업무상 재해는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질병·장해 또는 사망을 뜻한다[8].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에서 산업재해란,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각종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업무 등으로 인해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이라 규정하고 있다.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에서 산업재해란 무엇으로 규정하고 있는가? 산업재해는 건설공사 및 생산 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로서 인적 및 물적 피해를 뜻하며,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르면 업무상 재해는 근로자가 업무상의 사유에 따른 근로자의 부상·질병·장해 또는 사망을 뜻한다[8].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에서 산업재해란, 근로자의 작업과 관계되는 각종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업무 등으로 인해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이라 규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alysis of industrial accidents. Sejong (Korea):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7. 773 p. Korean.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omprehensive Construction Industry Statistics Survey.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105 p. Korean. 

  3. Song HK, Boo CY. The study on the prevention of accident in construction. Proceeding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Construction; 1995 Oct 21; Seoul, Korea. Seoul (Korea): 1995. p. 719-24. 

  4. Lee JB, Go SS, Jang SR. A study on the risk rate of work type according to the fatal accident cases and the work strength in construction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06 Jan;21(4):102-7. 

  5. Lee JB, Chang SR. A study on job stress and work ability of technical workers and simple labor workers in apartment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14;29(5):129-35. https://doi.org/10.14346/JKOSOS.2014.29.5.129 

  6. Shao B, Hu Z, Liu Q, Chen S, He W. Fatal accident patterns of building construction activities in China. Safety science. 2019 Jan;111:253-63. https://doi.org/10.1016/j.ssci.2018.07.019 

  7. Lee HC, Yeo AK, Go SS. A study on the improving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safety consciousness of construction lab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09 Jun;9(3):51-8. 

  8. Kim DC, Kim WJ. A plan of the accid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analysis of disaster information i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1;17(11):139-45. 

  9. Amant RS, Cohen PR. Intelligent support for exploratory data an alysis. Journal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 1998;7(4):545-58. https://doi.org/10.1080/10618600.1998.10474794 

  10. McKinney W. Python for data analysis: Data wrangling with Pandas, NumPy, and IPython, Sebastopol. CA: O'Reilly Media, Inc; 2012. 453 p. 

  11. Kim BH, Kim KJ, Park IS, Lee KJ, Kim JK, Hong JJ, Lee MW, Kim HY, Yoo IY, Lee HY.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Focused on Giorgi, Colaizzi, Van Kaam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9 Dec;29(6):1208-20. https://doi.org/10.4040/jkan.1999.29.6.1208 

  12. Abdi H, Valentin D.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Encyclopedia of measurement and statistics. 2007;2:1-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