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신체이미지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 매개효과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87 - 96  

황연경 (한서대학교 다문화교육복지연구소) ,  이창식 (한서대학교 보건상담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D시, S시 및 D광역시의 노인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SPSS 25.0과 PROCESS macro 3.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 분석부트스트랩을 통한 이중 매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각 변인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신체이미지는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성장 마인드셋은 희망과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희망 또한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이중 매개효과 분석 결과 신체이미지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은 이중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신체이미지, 성장 마인드셋 및 희망을 활용한 새로운 모델과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hope between body image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422 elderly people in D and S city of Chungcheongnam-do, and D metropolitan city.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신체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새로운 모델과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매개효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체이미지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기존 선행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변인들이 각각 이루어졌던 선행연구 결과들에 대한 통합을 시도하였다는 점과 기존의 논의를 확장하고 모델 검증을 통한 새로운 함의를 도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서 ‘어떻게(how)’ 작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인데, 노인의 신체이미지는 성장 마인드셋과 희망의 이중 매개 경로를 거쳐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이미지란? 신체이미지는 자신의 신체적인 외모나 기능, 상태에 대해 갖는 느낌의 총체로[12], 바디이미지나 신체상 등의 용어와 혼용되고 있다. 또한 신체이미지는 신체에 대해 갖고 있는 정신적 상(mental image)이며, 신체적 자아로 자아개념의 근본적인 핵심요소이자 평가적 구성 요소로 작용한다[13].
우리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이미지 어떻게 비춰지는가? 우리 사회에서 노인에 대한 이미지는 대체로 부정적이다. 미디어에 나타난 노인은 지저분하고 초라하며, 과거 지향적이고, 폐쇄적, 권위적, 외롭고 우울하며, 인지 및 학습능력이 낮은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4]. 노인들 또한 자신들에 대해 건강, 정서, 경제적인 부분에서 이미 부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고[5], 비노인층은 노인의 건강, 정서, 지적능력 및 경제력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 있다[6].
성공적 노화의 개념과 의의? 성공적 노화는 노년학의 관심이 집중되는 개념으로, ‘잘 늙는 것’에 초점을 두고 인생의 후반기에 지속적으로 성장 및 성숙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16]. Rowe와 Kahn[17]은 ‘Human Aging’이라는 자신들의 논문을 통해 성공적 노화를 인지 기능과 신체 기능을 유지하고, 질병이나 장애가 없으며 자신의 삶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지속하는 것이라 정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J. K. Hirsch, P. R. Duberstein, B. Chapman, & J. M. Lyness. (2007). Positive affect and suicide ideation in older adult primary care patients. Psychology and Aging, 22(2), 380-385.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9). The Population and Prospects of the World and Korea Reflecting the 2019 Special Population Estimates 

  3. W. S. Kang, J. W. Moon, & J. S. Park. (2011). The Relationship among Abuse, Self-Esteem, ADL, Psychosocial Factor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Korea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Science, 29(1), 153-183. 

  4. M. H. Kim. (2003). Analysis on Image of the Elderly in 'Ohmynews' as Internet Newspaper.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1), 13-30. 

  5. H. B. Hong. (2009). Exploratory Study, "Elderly Image perceived by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4(1), 327-344. 

  6. Y. K. Lee. (2007). Images of the Elderly held by Non-Elderly.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0(2), 1-22. 

  7. C. Seefeldt, R. K. Jantz, A. Galper, & K. Serock. (1977). Using pictures to explor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Gerontologist, 17(6), 506-512. 

  8. Y. H. Won. (2003). Factors Influencing the Prejudice against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1), 187-206. 

  9. Y. S. Kim. (2002). Images of the Elderly by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 the City and in the Rural.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1(3), 75-89. 

  10. D. K. Kim. (1979). Modern marketing. Seoul: Parkyongsa. 

  11. Y. K. Hwang. (2015). The effects of personal image,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the organization's effectiveness of adult workers :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s. Doctoral dissertation. Hanseo University, Seosan. 

  12. T. F. Cash, & T. Pruzinsky. (2004). Body image: A handbook of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NY : The Guilford Press. 

  13. S. M. Cho, & A. R. Koh. (2001).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Body Images on Clothing Benefits Sought: the comparison of age difference in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nd Textiles, 25(7), 1227-1238. 

  14. T. F. Cash (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Unpublished test manual, Old Dominion University, Norfolk, VA. 

  15. K. W. Kim, & E. M. Shin. (2002).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al attitudes,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 by weight control attempt among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7(1), 23-31. 

  16. S. H. Lee. (2014). Elderly Women's Lives represented in TV Drama: From the Perspective of Successful Aging and Subjectivit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31, 213-248. 

  17. J. W. Rowe, & R. L. Kahn. (1987). Human aging: usual and successful. Science, 237(4811), 143-149. 

  18. P. B. Baltes, & M. M. Baltes. (Eds.). (1993).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Vol. 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M. H. Kim, & Y. H. Won. (1999). Analysis on Image of the Elderly in Newspaper Advertisements : the Establishments for New Image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9(2), 193-214. 

  20. C. S. Lee. (2007).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eing between Adolescents and Old Adult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2(3), 85-107. 

  21. A. Bowling, (1993). The concepts of successful and positive ageing. Family Practice, 10(4), 449-453. 

  22. J. F. D. D. Moraes.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ccessful aging of the socially-active elderly in the metropolitan region of Porto Alegre. Brazilian Journal of Psychiatry, 27(4), 302-308. 

  23. R. Stokes, & C. Frederick-Recascino. (2003). Women's perceived body image: relations with personal happiness. Journal of Women & Aging, 15(1), 17-29. 

  24. S. N. Jeon, & H. J. Shin. (2009). Effects of elder's image on successful aging. Korea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Science, 26(1), 165-187. 

  25. J. M. Im. (2011). The Concern of Women in Old Age for their Appearance and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Beauty Therapy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SeoKyeong University, Seoul. 

  26. Y. S. Choi, & Y. H. Kim. (2013). Effects of the Visual and Tactual Beauty Care Program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Women at the Welfare Center.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9(3), 279-287. 

  27. C. S. Dweck. (2006). Mindset: The new psychology of success. NY : Random House. 

  28. C. S. Dweck. (2012). Mindsets and human nature: Promoting change in the Middle East, the schoolyard, the racial divide, and willpower. American Pshychologist, 67(8), 614-622. 

  29. L. S. Blackwell, K. H. Trzesniewski, & C. S. Dweck. (2007).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predict achievement across an adolescent transition: A longitudinal study and an intervention. Child Development, 78(1), 246-263. 

  30. A. Hochanadel, & D. Finamore. (2015). Fixed and growth mindset in education and how grit helps students persist in the face of adversity. Journal of International Education Research (JIER), 11(1), 47-50. 

  31. M. Inzlicht, & C. Good. (2006). How environments can threaten academic performance, self-knowledge, and sense of belonging. In Stigma and group inequality (pp. 143-164). Psychology Press. 

  32. C. M. Youssef, & F. Luthans. (2007).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33(5), 774-800. 

  33. C. R. Snyder. (2000). Handbook of hope: Theory, measure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 

  34. M. E. Seligman.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2002), 3-12. 

  35. C. R. Snyder, S. C. Parenteau, H. S. Shorey, K. E. Kahle, & C. Berg. (2002). Hope as the underlying process in the psychotherapeutic change process. International Gestalt Journal. 

  36. C. R. Snyder. (1994). Hope and optimism. In V. S. Ramachandran (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vol. 2, (pp. 535-54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7. V. H. Adams, C. R. Snyder, K. L. Rand, E. A. King, D. R. Sigmon, & K. M. Pulvers. (2002). Hope in the workplace. Handbook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367-377. 

  38. F. Luthans, C. M. Youssef, & B. J. Avolio. (2007).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University Press, Inc., 

  39. A. D. Ong, L. M. Edwards, & C. S. Bergeman. (2006). Hope as a source of resilience in later adulthoo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1(7), 1263-1273. 

  40. Y. K. Hwang, & C. S. Lee. (2015). Structural Relationship of Self-Esteem, External image, Psychological Capital and Authentic leadership of Office Work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10(79), 135-140. 

  41. Y. K. Hwang, & C. S. Lee.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and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ersonal Imag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10(79), 147-152. 

  42. C. S. Lee, & Y. K. Hwang. (2018).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appiness i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118(24), 1-16. 

  43. H. J. Lee. (2008). Impact of Image Evaluation and Image Formation on Career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Seoul. 

  44. J. E. Paik, & H. K. Choi. (2005).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Korean Elderly: The Definition, Types, and Predicting Variab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3), 1-16. 

  45. C. S. Lee, S. U. Park, & Y. K. Hwang.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growth mindset and hope.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9(36), 1-6. 

  46. C. R. Snyder C ,Harris, J. R. Anderson, S. A. Holleran, L. M. Irving, S. T. Sigmon, & P. Harney. (1991).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4), 570-585. 

  47. Y. H. Choi, H. K. Lee, & D. G. Lee. (2008).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nyder's Dispositional Hope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2(2), 1-16. 

  48. A. F. Hayes.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49. Y. J. Jeong, N. Y. Yu, B. A. Kim, H. J. Shin, & Y. S. Chong. (2014). A meta-analysis on variables related with successful aging.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4(4), 781-7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