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장용기에 따른 김치 저장 중의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Storage container-dependent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3, 2020년, pp.304 - 309  

김선규 (한국교통대학교 생명공학전공) ,  한민희 (한국교통대학교 생명공학전공) ,  황종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문기성 (한국교통대학교 생명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는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건강식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김치를 가정에서 제조하여 김치냉장고에 저장한다. 저장기간 동안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가 일어나며 이는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저장용기(폴리프로필렌-PP, 스테인리스 스틸-STS, 세라믹)를 달리 하여 김치를 담은 후 0℃로 설정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의 경우 PP와 STS 용기에 저장된 김치 시료는 16일째 각각 4.59과 4.53에 도달한 반면 세라믹 용기에 저장된 김치시료는 4.92에 도달하였으며 그 차이의 경향은 32일까지 유지되었다. 산도의 경우 PP와 STS 용기에 저장된 김치 시료는 8일째 각각 0.24와 0.25%인 반면 세라믹 용기의 시료는 0.22%로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그 추세는 20일까지 유지되었다. 유산균 수는 큰 변화없이 유동적이었으며 32일째 PP, STS 및 세라믹 용기에 저장된 김치 시료 각각 4.87, 5.44 및 5.35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미생물 균총 분석에서는 용기 종류에 상관없이 Leuconostoc gelidum과 Lactobacillus algidus 종이 김치 저장기간에 따라 우점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세라믹 용기에 저장된 김치 시료에서만 20일째 호냉성 김치유산균인 Weissella koreensis 종이 다른 용기의 시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김치냉장고와 같이 저온에서 김치를 저장할 경우 저장용기로서 세라믹 재질의 용기를 사용할 경우 김치의 품질 유지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fferent types of storage containers, such as polypropylene (PP), stainless steel (STS), and ceramic were used for kimchi storage at 0℃ in a refrigerator,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for 32 days. The pH of kimchi samples in PP and STS containers reached 4.59 and 4.53, respectively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0, 12, 20, 32일차 김치 시료(상기의 방법으로 조제)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균총 분석을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대상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next-generation sequencing)을 수행하였다. NGS 분석은 국내 생명공학기업(Macrogen Co.
  • 1). 김치가 담긴 용기는 0℃ 에 보관하면서 4일에 한 번 각각의 시료 50 g을 취하여 잘게 다진 뒤, 멸균된 거즈를 이용해 즙을 내어 원액 혹은 희석액을 사 용하여 pH, 산도, 환원당, 유산균 및 진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주 요 시점에 대한 미생물 균총 분석을 수행하였다
  • 또한 저장용기는 밀폐성, 위 생성 및 공간 활용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보다 정교한 디자인이 요구된다(Hwang,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저장성에 초점을 맞추어 저장용기의 재질을 달리하여 김치 저장 중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저장기간 동안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가 일어나며 이는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 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저장용기(폴리프로필렌-PP, 스테인리스 스틸-STS, 세라믹)를 달리 하여 김치를 담은 후 0℃로 설정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pH의 경우 PP와 STS 용기에 저장된 김치 시료는 16일 째 각각 4.
  • 상기의 방법으로 확보된 김치 즙을 펩톤수(0.1%, w/v)로 10진 희석하여 유산균 및 진균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유산균의 수는 MRS (de Man, Rogosa, Sharpe) 고체 배지(BD, Sparks, MD, USA)를 활용하여 시료 도말 후 밀봉하여 37℃, 24시간 배양 후 나타난 콜로니를 계수하였고 진균(효모 및 곰팡이)수는 3M PetrifilmTM YM (Yeast and Mold) 배지를 활용하여 제조사 안내 에 따라 시료(1 mL) 점적 후 5일간 배양한 후 미색에서 청록색 까지 다양한 색의 작고, 뚜렷한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 1%, w/v)로 10진 희석하여 유산균 및 진균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유산균의 수는 MRS (de Man, Rogosa, Sharpe) 고체 배지(BD, Sparks, MD, USA)를 활용하여 시료 도말 후 밀봉하여 37℃, 24시간 배양 후 나타난 콜로니를 계수하였고 진균(효모 및 곰팡이)수는 3M PetrifilmTM YM (Yeast and Mold) 배지를 활용하여 제조사 안내 에 따라 시료(1 mL) 점적 후 5일간 배양한 후 미색에서 청록색 까지 다양한 색의 작고, 뚜렷한 콜로니를 계수하였다.
  • 저장 과정 중 4개 시점(0, 12, 20, 32일)에 대한 시료를 취해 미생물 균총 분석을 진행하였다(Fig. 2). 초기에는 원재료에서 유래된 세균 종의 구성비율에 따라 우점종이 결정되기 때문에 Pseudomonas cerasi 종이 가장 높은 구성 비율을 보였으며 12일 째는 초기 김치발효를 담당하는 류코노스톡 속 계열의 종(Leuconost℃ gelidum)이 우세하기 시작하면서 20일째는 우점종이 되었다.

대상 데이터

  • Change of microbial composition during kimchi fermentation at 0℃ according to storage containers. Ceramic, PP (polypropylene) and STS (stainless steel) containers were used.
  • 3 kg이 되도록 각각의 용기에 담았다. 김치 저장용기는 세 가지 재질로 된 용기(폴 리프로필렌-PP, 스테인리스 스틸-STS, 세라믹)를 사용하였으며 크 기는 3.5 L 용량으로 일치시켰다(Fig. 1). 김치가 담긴 용기는 0℃ 에 보관하면서 4일에 한 번 각각의 시료 50 g을 취하여 잘게 다진 뒤, 멸균된 거즈를 이용해 즙을 내어 원액 혹은 희석액을 사 용하여 pH, 산도, 환원당, 유산균 및 진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주 요 시점에 대한 미생물 균총 분석을 수행하였다
  • 김치는 충북 증평지역 중소업체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갓 담은 김치를 구입하여 약 3-4 cm로 잘라서 2.3 kg이 되도록 각각의 용기에 담았다. 김치 저장용기는 세 가지 재질로 된 용기(폴 리프로필렌-PP, 스테인리스 스틸-STS, 세라믹)를 사용하였으며 크 기는 3.

데이터처리

  • 3반복 실험의 결과 값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유의성 검증은 SPSS ver. 25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 램을 이용하였다.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유의성을 검증하고 p<0.
  •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유의성을 검증하고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사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 0, 12, 20, 32일차 김치 시료(상기의 방법으로 조제)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균총 분석을 위해 16S rRNA 유전자를 대상으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next-generation sequencing)을 수행하였다. NGS 분석은 국내 생명공학기업(Macrogen Co., Seoul, Korea) 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 김치 시료속의 환원당은 DNS (dinitrosalicylic acid)법(Miller, 1959)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NS용액(300 mL 기준)은 2M NaOH 50 mL, R℃helle 염(potassium sodium tartrate tetrahydrate) 75 g 및 3,5-dinitrosalicylic acid 0.
  • 김치의 pH는 pH meter (Milwaukee, Brookfield, M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산도(acidity)는 시료 10 mL을 pH 8.3이 되도록 0.1 N NaOH로 적정하여 젖산(%) 환산법으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장용기를 달리하여 김치를 저장했을 때 나타나는 pH 차이는? 본 연구에서는 김치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저장용기(폴리프로필렌-PP, 스테인리스 스틸-STS, 세라믹)를 달리 하여 김치를 담은 후 0℃로 설정된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의 경우 PP와 STS 용기에 저장된 김치 시료는 16일째 각각 4.59과 4.53에 도달한 반면 세라믹 용기에 저장된 김치시료는 4.92에 도달하였으며 그 차이의 경향은 32일까지 유지되었다. 산도의 경우 PP와 STS 용기에 저장된 김치 시료는 8일째 각각 0.
발효식품이란? 따라서 김치의 발효 및 저장조건은 품질과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Moon 등, 2018). 발효식품은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의해 완성되는 식품이며 발효식품의 종류 와 조제 방법에 따라 저장 중 품질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Kim 등(2013)은 항균물질을 첨가하여 제조된 저염식 된장의 저 장성에 관한 시험연구를 하였는데 염의 농도를 줄이는(10%→ 6%) 대신 알코올(4%), 겨자(1%), 마늘(4%)을 단독 혹은 혼합으 로 첨가하여 20oC, 8주간 숙성 후 30oC에서 16주간 저장하면서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항균물질(알코올, 겨자) 첨가군에서 미 생물의 이상발효에 의한 가스 발생이 억제되었고 전체적인 기호 도는 알코올이나 마늘을 첨가한 저염식 된장이 양호하였다.
건강기능성 측면에서 본 김치 장점은? 특히, 김치는 다양한 종의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도 인식되고 있으며 김치에서 분리한 많은 유산균들을 활용하여 인체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Kwak 등, 2014; Park 등, 2014). Park과 Hong(2019)의 연구에서 김치의 건강기능성이 총체적으로 설명되었는데 요약하면 1) 프로바이오 틱스로 사용되는 다양한 유산균 함유 2) 장 건강 증진 3) 항암 활성 4) 대사증후군 억제 5) 면역력 증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산균 스타터(starter)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였을 때 관능적 만족도가 향상되었으며 항산화 및 항암활성도 증가하였다(Bong 등,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ong YJ, Jeong JK, Park KY.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kimchi by kimchi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17-1726 (2013) 

  2. Chang JY, Kim IC, Chang HC. Effect of solar salt on kimchi fermentation during long-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56-464 (2014) 

  3. Choi HJ, Kim YW, Hwang IY, Kim JB, Yoon S. Evaluation of Leuconostoc citreum HO12 and Weissella koreensis HO20 isolated from kimchi as a starter culture for whole wheat sourdough. Food Chem. 134: 2208-2216 (2012) 

  4. Choi SY, Lee MK, Choi KS, Koo YJ, Park WS. Change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on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44-649 (1998) 

  5. Choi AR, Patra JK, Kim WJ, Kang SS. Antagonistic activities and probiotic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derived from a plant-based fermented food. Front. Microbiol. 9: 1963 (2018) 

  6. Hwang H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imchi fermented by storage containers in the kimchi refrigerator.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015) 

  7. Jeong SH, Lee SH, Jung JY, Choi EJ, Jeon CO. Microbial succession and metabolite changes during long-term storage of kimchi. J. Food Sci. 78: M763-M769 (2013) 

  8. Jo SG, Noh EJ, Lee JY, Kim G, Choi JH, Lee ME, Song JH, Chang JY, Park JH. Lactobacillus curvatus WiKim38 isolated from kimchi induces IL-10 production in dendritic cells and alleviates DSS-induced colitis in mice. J. Microbiol. 54: 503-509 (2016) 

  9. Jung JH, Cho SH. Preservatory effect of sweet persimmons, mandarin oranges and apples stored in the far-infrared radiated chamber. Korean J. Food Preserv. 10: 435-440 (2003) 

  10. Kang SE, Kim MJ, Kim TW. Diversity and role of yeast on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Cult. 34: 201-207 (2019) 

  11. Kato Y, Sakala RM, Hayashidani H, Kiuchi A, Kaneuchi C, Ogawa M. Lactobacillus algidus sp. nov., a psychrophilic lactic acid bacterium isolated from vacuum-packaged refrigerated beef. Int. J. Syst. Evol. Microbiol. 50: 1143-1149 (2000) 

  12. Kim JR, Kim YK, Kim DH. Effects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s of low salted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64-1871 (2013) 

  13. Kwak SH, Cho YM, Noh GM, Om AS. Cancer preventive potential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Weissella cibaria, Lactobacillus plantarum). J. Cancer Prev. 19: 253-258 (2014) 

  14. Kwon KB, Kim IH, Hong JW, Moon TH, Choi SY, Seok HB. Effects of far infrared radiological materials on immune response and changes of fecal microorganism in pigs. Korea J. Vet. Res. (2001) 

  15. Kwon MS, Lim SK, Jang JY, Lee J, Park HK, Kim N, Yun M, Shin MY, Jo HE, Oh YJ, Roh SW, Choi HJ. Lactobacillus sakei WIKIM30 ameliorates atopic dermatitis-like lesions by inducing regulatory T cells and altering gut microbiota structure in mice. Front. Immunol. 9: 1905 (2018) 

  16. Lee KH, Cho HY, Pyun YR. Kinetic modeling for the prediction of shelf life of kimchi based on total acidity as a quality index.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06-310 (1991) 

  17. Lim S, Kim BO, Kim SH, Mok C, Park YS.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of Kochujang treated with heat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1-616 (2001) 

  18. Lim JW, Moon JS, Kim HD, Na DJ, Son JY. Change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storage containers. Korean J. Food Nutr. 17: 80-85 (2004) 

  19.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20. Moon SH, Kim EJ, Kim EJ, Chang HC. Development of fermentationstorage mode for kimchi refrigerator to maintain the best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50: 44-54 (2018) 

  21. Moon SW, Park SH, Kang BS, Lee MK.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tarters on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Korean J. Food Nutr. 27: 785-795 (2014) 

  22. Park SJ, Chang JH, Cha SK, Moon GS. Microbiological analysis of dongchimi, Korean watery radish kimchi, at the early and mid-phase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17: 892-894 (2008) 

  23. Park JA, Heo GY, Lee JS, Oh YJ, Kim BY, Mheen TI, Kim CK, Ahn JS.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Korean J. Microbiol. 39: 45-50 (2003) 

  24. Park KY, Hong GH. Kimchi and its functionality. J. Korean Soc. Food Cult. 34: 142-158 (2019) 

  25. Park KY, Jeong JK, Lee YE, Daily JW 3rd. Health benefi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s) as a probiotic food. J. Med. Food. 17: 6-20 (2014) 

  26. Park HR, Oh JE, Cho MS.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initial auto-aging condition during storage. Jour. of KoCon.a 19: 160-167 (2019) 

  27. Park JA, Tirupathi Pichiah PB, Yu JJ, Oh SH, Daily JW 3rd, Cha YS. Anti-obesity effect of kimchi fermented with Weissella koreensis OK1-6 as starter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J. Appl. Microbiol. 113: 1507-1516 (2012) 

  28. Yook C, Chang K, Park KH, Ahn SY. Pre-heating treatment for prevention of tissue softening of radish root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447-453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