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Posttraumatic Growth :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Hop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6, 2020년, pp.131 - 141  

장민 (연세드림심리상담센터) ,  김예실 (심리상담연구소 모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성격 변인인 자기효능감이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르게 되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경험이 있는 전국의 만19세부터 만65세의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분석에 적합한 31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성장은 자기효능감, 인지 유연성의 대안과 통제, 그리고 희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의 증가는 희망의 증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증가된 희망은 증가된 대안과 자기효능감 수준과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대안과 희망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 및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ically explore the path leading to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self-efficacy, which is the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adults who have experienced trauma, through cognitive flexibility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hope. For this purpose, a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외상 경험자들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 이외에도 대인관계 요인의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보고하였다. 그렇다면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외상 후 성장을 일으키는지 연구를 통해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외상을 경험한 개인의 자기효능감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그 영향의 정도와 매개변인을 통한 경로에 대해 알아보 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자기효능감이 인지 유연성과 희망을 거쳐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지, 두 변인 간에 인지 유연성과 희망이 매개효과로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인지 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대안과 통제가 각각 다르게 매개효과를 드러내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가 자신의 외상 경험으로부터 성장할 수 있도록 적절한 상담 개입방법을 고안해내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외상을 경험한 성인의 자기효능감이 인지 유연성과 희망을 거쳐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는 지, 두 변인 간에 인지 유연성과 희망이 매개효과로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인지 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대안과 통제가 각각 다르게 매개효과를 드러내는지 살펴 보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외상을 경험한 내담자가 자신의 외상 경험으로부터 성장할 수 있도록 적절한 상담 개입방법을 고안해내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첫째,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과 관련된 변인 중 자기효능감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지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기효능감이라는 성격 변인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문제 상황에 대해 유연한 자세로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도출하는 인지의 확장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첫째, 자기효능감은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매개효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를 것이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인지 유연성을 거쳐 희망에 이를 때, 인지 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대안의 매개효과만 유의할 것이고 이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를 것이다.
  • 한정숙과 최윤 경[28]은 인지 유연성이 시간관을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했고, 김상근[23]은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감사와 인지 유연성을 순차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 다. 위의 연구 결과들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도 인지 유연성의 하위요인인 대안과 통제의 매개효과가 다를 것이고 그에 따른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경로가 더 구체 적으로 규명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 첫째, 자기효능감은 인지 유연성과 희망의 매개효과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를 것이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인지 유연성을 거쳐 희망에 이를 때, 인지 유연성의 하위요인 중 대안의 매개효과만 유의할 것이고 이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이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상 후 성장이란 무엇인가?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심리적 외상을 자연스럽게 회복 하기도 하고 그들 중 일부는 외상을 통해 오히려 긍정 적인 심리 변화를 경험하기도 한다[1]. 외상 후 성장 (Posttraumatic Growth; PTG)은 ‘외상 사건과 맞닥 뜨려 분투한 결과로서 개인이 경험하는 긍정적 변화’이 다[2]. 외상 후 성장은 세 가지로 구성되는데, 첫째 스스 로의 강점과 가능성을 발견하는 ‘자기 지각의 변화’, 둘째 친밀하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대인관계의 변화’, 셋째 철학적이고 영적인 관점을 갖게 되는 ‘삶을 바라보는 태도의 변화’이다[2].
외상 후 성장의 내적 과정을 살펴본 결과는 무엇인가? 외상 후 성장의 내적 과정을 살펴보면, 외상 경험을 반추하면서 자신에게 일어난 일에 대해 판단하고, 외상의 고통에 대해 대처 가능한지 평가하며, 외상이 가져 다주는 의미를 찾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다양한 대안을 탐색한 후 변화를 위해 긍정적인 기대와 동기를 갖게 된다. 이 모든 것이 외상 후 성장의 요소이며 과정으로 포함된다[3][4].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은 다양한 스트레스나 심리적 외상 상황에서 변화의 힘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성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9][10]. 따라서 자기효 능감은 외상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 어려움을 견디고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이 외상 후 성장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인지적 측면에서의 자기효능감’인 인지 유연 성과 외상 후 성장이라는 목표를 위해 에너지를 지속화 시키는 희망이 필요하다[6][23][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 L. G. Calhoun and R. G. Tedeschi, 외상 후 성장 상담 및 심리치료에의 적용{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강영신, 임정란, 장안나, 노안영 공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2013년 출판), 2015. 

  3. 이양자, 정남운,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3권, 제1호, pp.1-23, 2008. 

  4.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15, No.1, pp.1-18, 2004. 

  5. 김영애, 최윤경,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1호, pp.199-228, 2017. 

  6. 여주혜, 자기효능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긍정적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7. A. Bandur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4, No.3, pp.359-373, 1986. 

  8. D. Eden and A. Aviram, "Self-efficacy training and speed of reemplloyment: Helping people to help themselves," Journal of Appliced Psychology, Vol.78, pp.352-360, 1993. 

  9. P. A. Linley and S. Joseph,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Vol.17, No.1, pp.11-21, 2004. 

  10. C. C. Benight and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of posttraumatic recovery: The role of perceived self-efficac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42, No.10, pp.1129-1148, 2004. 

  11. G. P. Latham and E. A. Locke, "Self-regulation through goal sett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ecesses, Vol.50, pp.212-247, 1991. 

  12. 김아영,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 교육방법연구, 제16권, 제1호, pp.1-38, 2004. 

  13. 김은경, 암환아 가족돌봄자의 자기효능감, 삶의 의미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4. 전지은, 김미영,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 자기효능감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제22권, 제2호, pp.142-151, 2016. 

  15. 최성희, 이영휘, "유방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1호, pp.499-509, 2016. 

  16. 김민정,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7. Y. Li, F. Cao, D. Cao, Q. Wang, and N. Cui,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parents of children undergoing inpatient corrective surgery for congenital disease," Journal of Pediatric Surgery, Vol.47, No.11, pp.2011-2021, 2012. 

  18. J. Shakespeare-Finch, A. Rees, and D. Armstrong, "Social support, self-efficacy, trauma and well-being in emergency medical dispatche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123, No.2, pp.549-565, 2015. 

  19. J. P. Dennis and J. S. Vander Wal,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34, No.3, pp.241-253, 2010. 

  20. 허심양,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역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1. 김학영, 반추양식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과 외상 경험 개방에 대한 정서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22. 이재규, 황순택, 신소영, "CU특질과 청소년 비행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을 중재변인으로," 사회과학연구, 제53권 제2호, pp.217-260, 2014. 

  23. 김상근,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감사와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교육학연구, 제32권, 제2호, pp.1-22, 2019. 

  24. 김완일, 자기평가와 자기분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25. 하유란, 미술심리상담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유연성과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26. 신선영,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7. A. M. Hijazi, J. A. Keith, and C. O'Brien,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in a multiwar sample of U.S. combat veterans," Peace and Conflict: Journal of Peace Psychology, Vol.21, No.3, pp.395-408, 2015. 

  28. 한정숙, 최윤경, "이혼경험자의 인지적유연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시간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제14권, 제2호, pp.217-237, 2014. 

  29. E. Stotland, The psychology of hope, Jossey-Bass, 1969. 

  30. C. R. Snyder, C. Harris, J. R. Anderson, S. A. Holleran, L. M. Irving, S. T. Sigmon, L. Yoshinobu, J. Gibb, C. Langelle, and Charyle, P. Harney, "The will and the w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s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0, pp.570-585, 1991. 

  31. 김옥숙, 청소년의 희망적 사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32. 배상정, 양난미,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6권, 제3호, pp.597-618, 2014. 

  33. 송승훈,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34. 김아영, 차정은,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1-64, 1996. 

  35. 김아영,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인 연구," 교육심리연구, 제11권, 제2호, pp.1-19, 1997. 

  36. 최유희, 이희경, 이동귀, "Snyder의 희망 척도 한국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2권, 제2호, pp.1-16, 2008. 

  37.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9, pp.455-471, 1996. 

  38.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4권, 제1호, pp.193-214, 2009. 

  39. L. Muthen and B. Muthen, Mplus (version 7.4), Muthen & Muthen, 1998-2015. 

  40.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2, pp.411-423, 1988. 

  41. P. J. Curran, S. G. West, and J. F. Finch,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1, No.1, pp.16-29, 1996. 

  42. D. A. Kenny, B. Kaniskan, and D. B. McCoach, "The Performance of RMSEA in Models with Small Degrees of Freedom," Sociological Methods and Research, Vol.44, No.3, pp.486-507, 2014. 

  43. J. Hair, W. C. Black, B. J. Babin, and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Prentice Hall, 2010. 

  44. L. T.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45. F. Lotfi-Kashani, S. Vaziri, M. E. Akbari, N. Kazemi-Zanjani, and L. Shamkoeyan, "Perceived posttraumatic growth based up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cancer patients," Iranisn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7, No.3, pp.115-123,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