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북한산 둘레길에서 참진드기의 계절적 발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 검출
Seasonal Prevalence of Ticks at Bukhansan Dullegil and Detection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2 no.2, 2020년, pp.143 - 149  

서장훈 (신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전보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이인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열대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 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참진드기를 채집해서 계절적 분포 조사와 매개체의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천젓기와 천끌기 방법으로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주된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소피참진드기 3종이 채집되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채집비율이 지축동 91%, 울대리 94%, 호원동 98%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의 성숙단계에 따른 계절별 채집비율을 보면 성충의 경우 세 지역 모두 9월에 최고치를 보였고 약충의 경우에는 4월에서 6월 사이에 주로 채집되었다. 유충의 경우에는 9월과 10월에 최고치를 보였다. 채집된 작은소피참진드기 1,158개체를 성숙단계별로 2× OneStep RT-PCR과 nested PCR로 SFTS 바이러스 검사를 한 결과 양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010년 개장 이후 이용객이 늘어나는 북한산 둘레길에서 기후 온난화로 증가가 예상되는 참진드기 매개 질환에 대한 위험분석과 효율적인 예방에 본 조사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the seasonal pattern of larvae, nymph, and adult life stages for Haemaphysalis longicornis and the rate of infection with severe fever from the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in ticks collected from 12 sections (Jichukdong), 14 sections (Uldaeri), and 18 sections (Howondong) in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Nested PCR은 1차 증폭산물 1 μL, SFTSV 2차 forwardprimer (10 pmol) 1 μL, SFTSV 2차 reverse primer (10pmol) 1 μL, HotStart PCR premix kit (Bioneer Co.,Daejeon, Korea) 5 μL, distilled water 17 μL를 혼합 94°C에서 5분 반응시킨 후, 증폭 과정은 94°C에서 20초, 59°C에서 20초, 72°C에서 20초로 26회 진행하였으며, 최종 신장과정을72°C에서 5분 동안 진행하였다[12].
  • SFTS 바이러스 검출을 위하여 추출한 RNA를 DiaStar 2×OneStep RT-PCR premix kit (SolGent, Daejeon, Korea)을 이용하여 1차 PCR을 진행하였다.
  • 그 후 증폭반응을 95°C에서 20초, 52°C에 40초,72°C에서 1분으로 35회 진행하였고, 최종 신장과정은 72°C에서 5분 동안 진행하였다[11].
  • 따라서 연중 발생 밀도와 진드기 서식 실태조사를 세분화하고자 본연구에서는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 37°41'04.8"N 126°58'05.7"E), 14구간(울대리 37°43'06.3"N 126°59'39.1"E),18구간(호원동 37°42'39.3"N 127°02'07.2"E)에서 참진드기를 월별로 채집하여 계절적 분포조사를 하고 매개체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SFTSV)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등산객이 주로 다니는 북한산 둘레길에서 참진드기 채집을 진행하여 채집된 진드기를 성숙단계별로 114회 pooling 하여 2× OneStep RT-PCR 방법으로 SFTS 바이러스 검사를 한 결과 양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 원심분리를 실시한 후 침전된 pellet을 100% 에탄올 및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세척하였고, 멸균증류수 30 μL를 첨가하고 50°C에 10분간 반응시켰다.
  • 작은머리(basis capituli)에 등 가장자리(dorsal-lateral margin)는 곧게 가로로 나 있다[10]. 종 분류가 완료된 진드기에서 발육단계별(성충, 약충, 유충)로 월별에 따른 채집 개체 비율을 비교조사하였다.
  •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진드기 서식지로 예측되는 산기슭, 숲길, 산책로, 잔디밭, 장목 숲 등을 채집지로 선택하였다. 지축동은 월 2회씩 총 14회 채집하였으며 울대리는 6월에3회를 포함한 월 2회씩 총 15회 채집하였고 호원동은 4월, 6월에 3회를 포함한 월 2회씩 총 16회 채집하였다. 채집된 진드기는 참진드기과에 속하는 작은소피참진드기(Haemalhysalislongiconis), 개피참진드기(Haemaphysalis flava)와 일본참진드기(Ixodes nipponensis) 등 3종이었다(Table 1).
  • 참진드기를 성장단계에 따라 약 2∼20 마리씩 pooling하였다.
  • 참진드기에서 추출한RNA 5 μL, DiaStar 2× OneStep RT-PCR premix 15 μL,SFTS MF3 primer (forward, 10 pmol) 1 μL, SFTS MR2primer (reverse, 10 pmol) 1 μL, distilled water 8 μL을 혼합한 후 역전사반응은 50°C에서 30분과 95°C에서 15분으로 진행되었다.
  • 2"E)에서 반경 100 m의 산기슭,숲길, 산책로, 잔디밭, 장목 숲 등에서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채집하였다. 채집방법은 면으로 된 가로, 세로 1 m 천을 이용하여 천끌기(dragging)와 천젓기(flagging) 방식으로 1회 1지역 1시간 채집하였다. 채집한 진드기는 습도를 유지하여 종을 분류한 다음 −70°C에 보관하였다.

대상 데이터

  • 유충은 38개체가 채집되었다. 14구간 울대리에서는총 219개체가 채집되었고 그 중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성충 16개체, 약충 120개체, 유충 70개체가 채집되었다. 18구간 호원동에서는 총 790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그 중 작은소피참진드기는성충 24개체, 약충 474개체, 유충 278개체가 채집되었다.
  • 최근 들어 기후변화에 의한 온난화로 참진드기 개체수가 증가하여 진드기 매개 뇌염, 라임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과 같은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 증가하고 있다[13].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 14, 16구간 분포 조사를 통해1,202개체의 참진드기를 채집하였다.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세구간에서 모두 높은 발생밀도를 나타냈으며 개피참진드기와 일본참진드기는 채집된 개체수는 적으나 조사 지역 내 분포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진드기 서식지로 예측되는 산기슭, 숲길, 산책로, 잔디밭, 장목 숲 등을 채집지로 선택하였다. 지축동은 월 2회씩 총 14회 채집하였으며 울대리는 6월에3회를 포함한 월 2회씩 총 15회 채집하였고 호원동은 4월, 6월에 3회를 포함한 월 2회씩 총 16회 채집하였다.
  •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참진드기를 채집해서 계절적 분포 조사와 매개체의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천젓기와 천끌기 방법으로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주된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소피참진드기 3종이 채집되었다.
  • 겨울을 제외한 참진드기 활성 시기에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20]. 관악산등산로 및 서울대 교내 잔디밭에서는 273개체의 참진드기가 채집되었다. 종별, 성장단계별 SFTS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한 결과작은소피참진드기 약충은 1.
  •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 37°41'04.8"N 126°58'05.7"E),14구간(울대리 37°43'06.3"N 126°59'39.1"E), 18구간(호원동 37°42'39.3"N 127°02'07.2"E)에서 반경 100 m의 산기슭,숲길, 산책로, 잔디밭, 장목 숲 등에서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채집하였다.
  • 약충130개체. 유충은 38개체가 채집되었다. 14구간 울대리에서는총 219개체가 채집되었고 그 중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성충 16개체, 약충 120개체, 유충 70개체가 채집되었다.
  • 지축동은 전체 약충 채집 개체수의 68%, 울대리는 72%, 호원동은 63%가 이 시기에 채집되었다. 유충은 지축동과 울대리에서 7월, 9월, 10월에 채집되었다. 호원동은 6월에서 10월까지 꾸준히 채집되었다(Figure 1, Table 3).
  • 우리나라의 SFTS는 강원도 춘천시에 거주하던 63세 여성에서 처음으로 확진되었다. 이 환자는 2012년 8월에 발열,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이 발생하였으며 다 장기 부전으로 사망하였다. 환자의 혈액에서 SFTSV가 분리되어 2013년 5월에 보고되었다.
  • 조사기간 동안 북한산 둘레길 12구간 지축동에서는 총 193개체가 채집되었고 그 중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성충 8개체. 약충130개체.
  •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참진드기를 채집해서 계절적 분포 조사와 매개체의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천젓기와 천끌기 방법으로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주된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소피참진드기 3종이 채집되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채집비율이 지축동 91%, 울대리 94%, 호원동 98%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이론/모형

  • 종 분류 동정은 실체현미경(×10, ×40)을 이용하여 Yamaguti 등[9]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분류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ul H, Kim MD. Present state and future of tick-borne infectious disease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7;60:475-483. http://doi.org/10.5124/jkma.2017.60.6.475 

  2. Kim KH, Oh MD.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Korean J Med. 2014;3:271-276. https://doi.org/10.3904/kjm.2014.86.3.271 

  3. Ding F, Zhang W, Wang L, Hu W, Soares Magalhaes RJ, Sun H, et al. Epidemiologic features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in China, 2011-2012. Clin Infect Dis. 2013;56:1682-1683. https://doi.org/10.1093/cid/cit100 

  4. Takahashi T, Maeda K, Suzuki T, Ishido A, Shigeoka T, Tominaga T, et al. The first identification and retrospective study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in Japan. J Infect Dis. 2014;209:816-827. https://doi.org/10.1093/infdis/jit603 

  5. Zhang YZ, He YW, Dai YA, Xiong Y, Zang H, Zhou DJ, et al. Hemorrhagic fever caused by a novel Bunyavirus in China: pathogenesis and correlates of fatal outcome. Clin Infect Dis. 2012;54:527-533. https://doi.org/10.1093/cid/cir804 

  6. Shin J, Kwon D, Youn SK, Park JH. Characteristic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among patients hospitalized for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outh Korea, 2013. Emerg Infect Dis. 2015;21:1704-1710. https://doi.org/10.3201/eid2110.141928 

  7. Noh BE, Lee WG, Lee HI, Cho SH.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icks in the Republic of Korea in 2018.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8;11:1417-1421. 

  8. Cho WH, Yun HJ, Im SB. A study on visitor satisfaction for Bukhansan Dulegil.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011;39:60-73. https://doi.org/10.9715/KILA.2011.39.4.060 

  9. Yamaguti N, Tipton VJ, Keegan HL, Toshioka S. Ticks of Japan, Korea and the Ryukyu Islands. Brigham Young Univ Sci Bull. 1971;15:1-226. 

  10. Egizi AM, Robbins RG, Beati L, Nava S, Evans CR, Occi JL, et al. A pictorial key to differentiate the recently detected exotic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Acari, Ixodidae) from native congeners in North America. Zookeys. 2019;818: 117-128. https://zookeys.pensoft.net/article/30448 

  11. Yun SM, Lee WG, Ryou J, Yang SC, Park SW, Roh JY, et al.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in ticks collected from humans, South Korea, 2013. Emerg Infect Dis. 2014;20:1358-1361. https://doi.org/10.3201/eid2008.131857 

  12. Jung M, Kho JW, Lee WG, Roh JY, Lee DH. Seasonal occurrence of Haemaphysalis longicornis (Acari: Ixodidae) and Haemaphysalis flava, vectors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FTS) in South Korea. J Med Entomol. 2019;56:1139-1144. https://doi.org/10.1093/jme/tjz033 

  13. Noh YT, Kim SY, Lee SH, Song BG. Molecular detection for tick-borne pathogens in hard ticks collected in Gangwon and Jeju-do, 2014.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4;7:1071-1076 

  14. Song BJ, Lim HC, Ha TM, Jeon DY, Yang SI, Song HJ. Distribution of ticks carrying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SFTSV) around Jiri walking trails of Jeollanam-do, Korea. Korean J Vet Serv. 2016;39:75-80. https://doi.org/10.7853/kjvs.2016.39.2.75 

  15. Shin YC, Lee IY, Seo JH. Seasonal patterns of ticks in Pocheon and Chelwon, Republic of Korea. Korean J Clin Lab Sci. 2015;47:147-152. https://doi.org/10.15324/kjcls.2015.47.3.147 

  16. Kim JH, Seo CW, Kim EY, Lee DH. Infection control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in hospital settings and comprehensive reviews of nosocomial infectious in South Korea.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8;11:286-289. 

  17. Kim DY, Kim DM, The most common mite and tick-borne infectious disease in Korea: Scrub typhus and severe fever thrombocytopenia syndrome. Korean J Med. 2018;93:416-423. https://doi.org/10.3904/kjm.2018.93.5.416 

  18. Liu S, Chai C, Wang C, Amer S, Lv H, He H, et al. Systematic review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ology, epidemiology, and clnical characteristics. Rev Med Virol. 2014; 24:90-102. https://doi.org/10.1002/rmv.1776 

  19. Kim KH, Yi J, Kim G, Choi SJ, Jun KI, Kim NH, et al.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South Korea, 2012. Emerg Infect Dis. 2012;19:1892-1894. http://doi.org/10.3201/eid1911.130792 

  20. Seo CW, Kim JH, Kim EY, Lee SE, Park HK.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in Republic Korea in 2017.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8;11:698-706. 

  21. Chae JB, Kim TH, Jung JH, Park YJ, Park JH, Choi KS, et al, Prevalence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among ticks surveyed at Mt. Gwanak, Korea. Korean J Vet Res. 2017;57:169-174. https://doi.org/10.14405/kjvr.2017.57.3.169 

  22. Kim SY, Roh JY, Lee HS, Lim HW, Cho SH. Density and SFTS virus infection rates of ixodid in Gochang-gun, Jeollabuk-do, South Korea, 2016. Osong Public Health Res Perspect. 2017;10:1266-1270. 

  23. Silvas JA, Aguilar PV. The emergence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Am J Trop Med Hyg. 2017;94: 992-996. http://doi.org/10.4269/ajtmh.16-09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