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여가활동 질적 평가도구 고찰에 대한 융합연구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of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Convergence stud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6, 2020년, pp.433 - 440  

박다솔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신가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이혜식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 여가활동의 질적 측면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정리하였다. 국내·외 3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232편의 논문이 검색되었고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9편을 선정하였다. 9편 중 5편(55.5%)이 최근 5년 이내에 작성되었고 6개 국가에서 시행되었다. 평가도구의 문항 수는 20~40문항이 6편(66.6%)으로 가장 많았고 답변방식은 9편 중 7편이 3~7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여가활동 관련 변수는 총 37개였고 정신관련 변수가 가장 많았다. 기존에 개발된 평가도구들은 특정 변수의 측정에 치우쳐있거나 국내 실정에 맞지 않았다. 노인여가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본 연구는 추후 국내 노인들의 여가활동 특성을 반영한 질적 평가도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summarized the research on the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of elderly leisure activities. 232 papers were searched in three databases, domestic and foreign, and nine were selected to meet the selection criteria. Five out of nine studies (55.5%) have been wri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국외에서 노인 여가활동의 질적 측면을 평가하고 있는 연구들을 확인하고 연구에서 사용되는 평가도구의 특징들을 정리하여 추후 노인 여가활동 질적 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 여가활동의 질적 측면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를 통합적으로 고찰하고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국외의 여러 국가에서 관련연구를 시행하고 있었고 2020년 최근까지도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국외에서 노인 여가활동의 질적 측면을 평가하고 있는 연구들을 확인하고 평가도구들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통합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선정된 논문 9편 중 5편(5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2020). Cause of death(103 items)/by, gender, age, death rate. www.kostat.go.kr 

  2. S. G. Nam & O. S. Shim.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3(3), 239-259. 

  3. H. H. Shin, M. A. Han, J. Park, S. Y. Ryu & S. W. Choi. (2017). Th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rela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1(2), 47-54. 

  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6). 2015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annual report. Wonju,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5.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3rd Edi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Suppl.1), S1-S48. DOI:10.5014/ajot.2014. 682006 

  6. P. G. Park. (2014). A study on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36(1), 45-69. 

  7. K. H. Kim. (2019).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6(2), 127-154. 

  8. E. H. Jung. (2018). A Systematic Study on the Leisure Assessment Tool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6(3), 39-55. DOI:10.14519/jksot.2018.26.3.04 

  9. Kelly, J. R. & Freysinger, V. J. (2000). 21st century leisure: Current issues. Boston,USA: Allyn & Bacon. 

  10. Auger, D. (2016). The diverse meanings of leisure / les diverses significations du loisir. Loisir Et Socieetee / Society and Leisure, 39(2), 173-176. DOI:10.1080/07053436.2016.1198599 

  11. J. S. Kim. (2018). The Development of Global Leisure Meaning Scale for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Leisure Studies, 16(1), 1-28. 

  12. Stevens, A. B. et al. (2004). Measurement of leisure time satisfaction in family caregivers. Aging &mental health, 8(5), 450-459. DOI: 10.1080/13607860410001709737 

  13. D. S. Park, G. I. Shin, Y. S. Woo & H. Y. Park. (2018).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by Virtual Reality Program: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2(3), 209-224. 

  14. Martinez-Rodriguez, S., Iraurgi, I., Gomez-Marroquin, I., Carrasco, M., Ortiz-Marques, N. & Stevens, A. B. (2016).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leisure time satisfaction scale in family caregivers. Psicothema, 28(2), 207-213. DOI:10.7334/psicothema2015.278 

  15. Schulz, R., Burgio, L., Burns, R., Eisdorfer, C., Gallagher-Thompson, D., Gitlin, L. N. & Mahoney, D. F. (2003). Resources for Enhancing Alzheimer's Caregiver Health (REACH): Overview, Site-Specific Outcomes, and Future Directions. Gerontologist, 43(4), 514-520. DOI:7334/psicothema2015.27 

  16. Honke, T., Yamada, T., Ishii, Y. & Kobayashi, N. (2016).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Japanese Elderly version of Leisure Activity Enjoyment Scale. The Journal of Japan Academy of Health Sciences, 19(3), 129-139. 

  17. Badia, M., Orgaz-Baz, M. B., Verdugo, M. A., Martinez-Aguirre, M. M., Longo-Araujo-de-Melo, E. & Ullan-De-La-Fuente, A. M. (2012).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Spanish version of the leisure assessment inventory.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50(3), 233-242. 

  18. Hawkins, B. A., Ardovino, P., Rogers, N. B., Foose, A. & Olsen, N. (2002). Leisure assessment inventory. Ravensdale, WA: Idyll Arbor. 

  19. M. H. Lee, Y. L. Park, G. Y. Lee & K. W. Um. (2014). An Exploratory Study on Design of an Assessment Tool for Leisure Tendency of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65, 159-184. 

  20. H. Cho, D. Y. Pyun & C. K. J. Wang. (2019). Leisure nostalgia: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50(4), 330-349. DOI: 10.1080/00222216.2019.1602014 

  21. Kara, F. M., Gurbuz, B. & Oncu, E. (2014). Leisure boredom scale: the factor structure and the demographic differences. The Turkish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16(2), 28-35. DOI: 10.15314/TJSE.20142810 

  22. Molanorouzi, K., Khoo, S. & Morris, T. (2014). Validating the physical activity and leisure motivation scale (PALMS). BMC public health, 14(1), 909. 

  23. Kueh, Y. C., Abdullah, N., Kuan, G., Morris, T. & Naing, N. N. (2018). Testing measurement and factor structure invariance of the physical activity and leisure motivation scale for youth across gender. Frontiers in psychology, 9, 1096. DOI:10.3389/fpsyg.2018.01096 

  24. J. S. Kim. (2018). Meaning Scale for Korean Immigrants. Journal of Leisure Studies, 16(1), 1-28. 

  25. Yildirim Simsek, K. & Cevik, H. (2020). Development of the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Scale (LAPS). Loisir et Societe/Society and Leisure, 1-18. DOI:10.1080/07053436.2020.1727661 

  26. Y. S. Kim & W. Y. Ha. (2015). A Study of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oductive Leisure Activities on the Suicide Ideation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Elderly Living Alone. Helth and Welfare Review, 35(4), 344-374. DOI:10.15709/hswr.2015.35.4.344 

  27. K. Y. Ko. (2014). Koreans' leisure, quantity and quality are insufficient. LGERI report, LG business Insigh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