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Functions, Activities of Daily Living,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4, 2020년, pp.45 - 54  

최유임 (원광대학교 건강증진연구소,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지역사회 거주 노인 144명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 및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어판 간이정신상태검사, 일상생활활동은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 참여는 한국형 활동분류카드, 삶의 질은 노인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인지기능은 참여의 사회활동과 삶의 질 3개 영역(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관계 및 경제수준)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일상생활활동은 참여(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여가활동)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참여의 하위영역들 중 수단적 일상생활활동과 여가활동은 삶의 질의 모든 하위영역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사회활동은 신체적 건강을 제외한 삶의 질의 모든 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여러 변인들 중 삶의 질과 가장 상관이 큰 변인은 참여의 여가활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참여, 일상생활활동, 인지기능의 순서로 삶의 질과 상관이 있었고, 참여의 하위영역 중 여가활동이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성공적인 노년기 삶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 Cognitive function, AD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in the 144 elderly p...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성공적 노화의 주요 요인인 참여에 대한 연구는 더욱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성공적인 노화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201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를 고려하여 거주형태 중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활동, 참여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7).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3r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48. doi:10.5014/ajot.2014.682006 

  2. Bae, S. Y., Ko, D. S., Noh, J. S., Lee, B. H., Park, H. S., & Park, J. (2010).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0), 255-266. doi:10.5392/JKCA.10.10.255 

  3. Choi, J. K. (2005). A study on the effects of elderly people's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and social support upon uneasiness about dea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Jeongju. 

  4. Choi, S. I. (2016). The impact of the social capital on quality of life to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job supporting program: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continuance will (Doctor's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Seongnam. 

  5.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doi: 10.1016/0022-3956(75)90026-6 

  6. Iwasaki, Y., Zuzanek, J., & Mannell, R. C. (2001). The effects of physically active leisure on stress-health relationship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92(3), 214-218. 

  7. Ju, K. H. (2011). Elder's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by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39, 231-264. 

  8. Katz, S., Ford, A. B., Moskowitz, R. W., Jackson, B. A., & Jaffe, M. W. (1963). Studies of illness in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1(185), 914-919. doi:10.1001/jama.1963.03060120024016 

  9. Kim, J. S., Song, R. Y., Kim, K. W., & Kim, J. R. (2016).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1), 25-32. 

  10. Kim, N. H., & Jung, M. S. (2017). The influence of elderly social activity and depression on elderly well being.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3), 496-506. doi:10.5392/JKCA.2017.17.03.496 

  11. Kim, Y. H. (2009). A study on the related of daily life activity and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at home and at institution.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1(3), 1273-1287. 

  12. Kwon, Y. C., & Park, J. H. (1989). Standardization of Korea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for u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5. 

  13. Lee, H. S., Kim, D. K., Ko, H. J., Ku, H. M., Kwon, E. J., & Kim, J. H. (2003).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859-881. 

  14. Lee, S. H. (2010).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Activity Card Sort (Docto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5. Lee, T. Y., & Kim, J. K. (2009).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related with the level of activity and the grade of activity in the elderly residing among city, farming and fishing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2), 402-411. doi:10.5392/JKCA.2010.10.2402 

  16. Lemon, B. W., Bengtson, V. L., & Peterson J. A. (1972). An exploration of the activity theory of aging: Activity typ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in-movers to a retirement community. Journal of Gerontology, 27(4), 511-523. doi:10.1093/geronj/27.4.511 

  17. Nam, K. M., & Jung, E. K. (2011). The influence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elderly women living alone on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death-anxiet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52, 325-348. doi:10.21194/kjgsw..52.201106.325 

  18. Park, G. A., & Oh, M. H. (2016).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elf efficac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1), 189-210. doi:10.16884/JRR.2016.20.1.189 

  19. Park, M. J. (2011). The cognition, bal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2), 185-192. 

  20. Park, M. S. (2002). The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5). 133-146. 

  21. Park, S. K. (2006).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785-796. 

  22. Park, S. S., & Park, B. S. (2017). Testing reliability and measurement invariance of K-AD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4), 98-124. doi:10.15709/hswr.2017.37.4.98 

  23. Park, S. Y. (2009). A study on depression, ADL, IADL, and QOL among community-dwelling, low incom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3(1), 78-90. 

  24. Rogers, R. G. (1995).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ong-lived and healthy individual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1(1), 35-58. 

  25. Shin, S. L., & Kim., Y. H. (2013). A meta-analysis on related variables of elders'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6), 3673-3690. doi:10.15703/kjc.14.6.201312.3673 

  26. Statistical Office. (2014). Percentage of elderly population.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 2014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Field trial WHOQOL-100 February 1995. Retrieved from http://www.who.int/mental_health/who_qol_field_trial_1995.pdf. 

  28. Yi, Y. J., & Park, K. H. (2012). Comparison of effects of cogni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elderly depending on group size. The Journal of the Korean Contents Association, 12(8), 310-317. doi:10.5392/JKCA.2012.12.08.310 

  29. Yun, S. D. (2004). Productiv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Docto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