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촌 지역주민들의 연령대에 따른 신체활동의 장애요인
Barriers related to Walk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Age Group of Rural residen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5 no.2, 2020년, pp.89 - 99  

김보경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이경예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서애림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김미지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  서성효 (경상대학교병원 농업안전보건센터) ,  박기수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연령대를 성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구분 후 신체활동과 인지된 운동장애요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두 군데 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걷기실천율의 정의는 주 5회 이상, 한번 할 때 10분 이상, 하루에 30분 이상 하는 것으로 하였고, 인지된 장애요인은 시간부족, 사회적 지지 부족, 기력 부족, 의지력 부족, 부상에 대한 공포 등 5개의 영역으로 조사하였다. 연령대를 세 개 군(~64세 이하, 65-74세, 75세 이상)으로 구분했을 때 의지력 부족이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하였고, 64세 이하의 경우는 시간부족이 관련이 있었으며, 65세 이상은 부상에 대한 공포가 관련 있었다. 결론적으로 의지력 부족과 시간부족에 대한 해결을 위해서 마을 내에서 일정한 시간대에 함께 걷기운동을 실시하여 이를 해결하도록 하고, 노인들에게는 낙상예방을 위하여 걷기운동과 같은 유산소운동을 권장할 때 근력운동을 병행해 실시하여 부상에 대한 공포를 줄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walking activity and perceived physical activity barriers after classifying the age group(≤64, 65-74, ≥75). Methods: The subjects were conducted on 1500 residents of two areas, and the walking activity was defined as five 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농촌지역 성인(19-64세), 전기 노인(65-74세), 후기 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각 걷기실천율과 이와 관련된 인지된 장애요인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이후, 맞춤식의 보건 사업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농촌지역주민들의 걷기 운동의 결정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를 위하여 수행한 단면 연구이다.
  • 이 연구는 연령대를 성인, 전기 노인, 후기 노인으로 구분 후 신체활동과 인지된 운동장애요인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연령대를 세 개 군으로 구분했을 때 의지력 부족이 모든 연령대에서 유의하였고, 64세 이하의 경우는 시간 부족 여부와 통계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며, 65세 이상의 경우 부상에 대한 공포와 관련 있었다.
  • 이들 연령대 집단에서는 일을 마치고 난 뒤의 시간을 주로 가족과의 시간, 사회적 약속 등으로 보내고 있어 신체활동을 위한 시간으로 할애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체활동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뿐만 아니라, 여가시간이 적은 개인이 신체활동을 하기 어렵게 하는 사회적 요인을 함께 개선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ing D, Lawson KD, Kolbe-Alexander TL, Finkelstein EA, Katzmarzyk PT, van Mechelen W, Pratt M. The economic burden of physical inactivity: a global analysis of major non-communicable diseases. Lancet 2016;388(10051):1311-1324 

  2. WHO.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dietphysicalactivity/publications/9789241599979/en/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8 National Health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s://www.cdc.go.kr/board/board.es?mida40303030000&bid0034&list_no364483&actview 

  4. Ibrahim S, Karim NA, Oon NL, Ngah WZ. Perceived physical activity barriers related to body weight status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mong Malaysian men in Klang Valley. BMC Public Health 2013;13:275 

  5. Ishii K, Inoue S, Ohya Y, Odagiri Y, Takamiya T, Suijo K, Owen N, Shimomitsu T. Sociodemographic variation in the perception of barriers to exercise among Japanese adults. J Epidemiol 2009;19(4):161-168 

  6. Reichert FF, Barros AJ, Domingues MR, Hallal PC. The role of perceived personal barriers to engagement in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m J Public Health 2007;97(3):515-519 

  7. Community Health Research Group. Foundations of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Gyechul Munhwasa 2016 seoul pp 71-210 

  8. Lee S, Kim H, Jung YI, Hong YC. Factors associated with frail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by age group: A multi-dimensional approach.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8;35(2):89-101 

  9. Jung S, Okubo Y, Osuka Y, Seino S, Park J, Nho H, Tanaka K. Older Korean adults have lower physical function despite longer exercise times compared to their Japanese counterparts: A Japan-Korea comparative study. Geriatr Gerontol Int 2018;18(4):576-583 

  10. Kim JR, Jeong BK, Park KS, Kang YS. The Associations of Empowerment and Social Capital with Self-Rated Health in Communities with Poor Health.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2;37(3):131-144 

  11. Hwang SH, Lee MS, Lee SK. Health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 of the Rural Young-Old and the Rural Old-Old in an Agricultural District.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2011;36(4):207-217 

  12. Thomas N, Alder E, Leese GP.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diabetes. Postgrad Med J 2004;80:287-91 

  13. Alghafri T, Alharthi SM, Al Farsi YM, Bannerman E, Craigie AM, Anderson AS. Perceived barriers to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i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ttending primary healthcare in Oman: a cross-sectional survey. BMJ Open 2017;7(11):e016946 

  14. Trost SG, Owen N, Bauman AE, Sallis JF, Brown W. Correlates of adult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review and update. Med Sci Sports Exerc 2002;34:1996-2001 

  15. van Stralen MM, De Vries H, Mudde AN, Bolman C, Lechner L. Determinants of initiation and maintenance of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adults: a literature review. Health Psychol Rev 2009;3:147-207 

  16. Donahue KE, Mielenz TJ, Sloane PD, et al. Identifying supports and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at risk for diabetes. Prev Chronic Dis 2006;3:A119-A19 

  17. Lawton J, Ahmad N, Hanna L, Douglas M, Hallowell N. 'I can't do any serious exercise':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amongst people of Pakistani and Indian origin with Type 2 diabetes. Health Educ Res 2006;21(1):43-54 

  18. Korkiakangas EE, Alahuhta MA, Laitinen JH. Barriers to regular exercise among adults at high risk or diagnosed with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Health Promot Int 2009;24:416-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