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노인의 만성질환 진단경험 및 의료이용에 관련된 요인 : 도시와 농촌 간 비교를 중심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Experience of Diagnosis and Utilization of Chronic Diseases among Korean Elderly : Focus on Comparing between Urban and Rural Elderly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4 no.4, 2019년, pp.165 - 184  

이민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권동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김용욱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김재한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문성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박건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박일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박준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백나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손기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안소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여인욱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우상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유성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이기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임수범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장수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장인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전정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정수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정연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조성건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차정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황기석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  이태준 (건양대학교) ,  이무식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인구의 일반적 특성변수, 건강행태와 만성질병 진단 및 치료경험 등의 차이와 그 관련요인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의 2017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65세 이상 노인으로 총 67,835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카이제곱검정과 단변량 및 다변량로지스틱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시 농촌 간의 건강행태, 진단 경험과 치료 경험 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도시 노인에 비해 농촌 노인에서 당뇨 진단 경험이 1.136배 (1.092-1.183), 이상지질혈증 진단 경험 1.278배(1.278-1.386), 백내장 진단 경험 1.159배(1.116-1.203), 백내장 치료 경험 1.285(1.200-1.375)로 높았고, 관절염 진단 경험은 0.940배 (0.904-0.977) 낮았다. 백내장 치료 경험에서는 농촌 노인이 1.285배(1.200-1.375) 높았으며, 관절염 치료 경험은 0.785배(0.736-0.837) 낮았다. 만성질환 진단 및 치료 경험에는 각 질환별로 다양한 변수들이 기여변수로 도출되었는데 특히, 만성질환 진단 경험에서는 고혈압 진단 경험을 제외한 당뇨병 진단 경험, 관절염 진단 경험, 백내장 진단 경험 및 이상지질혈증 진단 경험에서 도시 농촌 지역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치료 경험에서는 관절염과 백내장 치료 경험에서 도시 농촌 지역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기타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치료 경험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도시 농촌 간의 노인 만성질환의 관련요인을 반영하여 진단과 치료 경험에 차이가 있는 질환에 대한 전략적인 보건관리 사업의 추진이 필요해 보인다. 추후 각 만성질환별로 도시와 농촌의 지역 차이와 이환 및 예방관리 등 차이와 그 관련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difference and related factors with general characteristic and health behaviors, a experience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s between rural and urban among elderly in Korea. Methods: We used the data of Community He...

Keyword

표/그림 (5)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격차란 무엇인가? 그러나 노인의 건강 문제를 단지 개인과 가족 수준이 아닌, 거주 지역 간의 격차에 좀 더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지역격차’란 사회적 기회, 자원, 권력이지역 간에 고루 분포하지 못해 발생하는 차이를 말한다. 이러한 지역 간의 격차가 문제 되는 것은 지역간의 불균등한 기회, 자원, 권력 등의 분포로 구성원이 ‘불필요하고 부당하게’ 삶의 기회를 박탈당하기 때문이다[8].
노인인구의 절대적 증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노인인구의 절대적 증가는 노인의 건강문제와 직결되고, 정부의 건강관리 및 보건의료 정책에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될 수밖에 없는 현실적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수명 연장으로 인한 노인의급·만성 질환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도시와 농촌 사이에서 지역격차로 인한 건강 불평등 문제는 어떠한가? 2010년 기준으로 수도권 및 대도시는 고령화 사회에, 농촌지역의 대부분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노인들의평균 연령은 도시가 농촌에 비해서 평균 4.53세 높고, 흡연을 하는 노인 비율은 농촌이 도시에 비해 약2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질병을 가지고 있는 노인의 비율도 도시가 52.29%, 농촌이 35.43%로 나타났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Kim SY, Nam HS, Kang C. Prevalence of arthritis and related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2:13(9):4073-4081(Korean) 

  2. Bae CY. Care of elderly patients. J Korea Acad Fam Med 1994:15(11):792-801 

  3. Park KS. The future of inequality in old age. Korean J Sociology 2001:35(6):141-168(Korean) 

  4. Shim MS. A study 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low income elderly. J Korea Gerontol Nurs 2015:7(1):63-70(Korean) 

  5. Woo HB. Differences in healthy life expectancy by gender and education for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Korean J Sociol 2009:43(1):165-187. (Korean) 

  6. Lee JY. The effect of social networks of single parents of low-income women on isolation: focusing on alienation and depress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8 

  7. Chun JD, Ryu SY, Han MA, Park J. Comparisons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among the elderly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 Agric Med Comunity Health 2013:38(3):182-194.(Korean) 

  8. Jeon JY, Kim SA, Park WS, OH MK. The Difference of health status between urban and rural elderly. J Korea Acad Fam Med 2002:23(11):1348-1358.(Korean) 

  9. Jung YH, Shin HK, Kim YH.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J Korea Acad Fam Med 2017:7(3):308-314. (Korean) 

  10. Kim HR. Comparison of prevalence for osteoarthritis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age 60-74 and 75 and over. J Korea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3:15(4):219-229.(Korean) 

  11. Yang, SJ. A study on nutrition and health evaluation of osteoarthritis elderly in community. J Korea Soc Res Nicotine Tob 2016:17(2):186-194. (Korean) 

  12. Shin DR, Jang YG. Relationship with smoking and dyslipidemia in Korean adults. J Korea Soc Res Nicotine Tob 2017:8(2):73-79.(Korean) 

  13. Park JH.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the cataract with smoking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n adults. Korean J Vis Sci 2011:13(3):197-203.(Korean) 

  14. Moon JW, Lee JH. Risk factors for the progression of age-related incipient cataract. Korean J Opthalmal 2005:46(5):763-767.(Korean) 

  15. Jung DI, Park JH, Ko DS. Lifecaretainment bsed aproach to pevalence and associated risk factors of knee osteoarthritis in Koreans over 50 years old. J Korean Entertainment Ind Asso 2018:12(7):361-370.(Korean) 

  16. Kim JO. A study on management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11. 

  17. Holst, C, Becker, U, Jorgensen, ME et al. Alcohol drinking patterns and risk of diabetes: a cohort study of 70,551 men and women from the general Danish population. Diabetologia 2017:60(10):1941-1950 

  18. Park SH, Lee DS, Kim YJ. An aalysis on athritis of Korean aults by using Korea nional h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KDAS. 2010:12(4):1889-1901.(Korean) 

  19. Klein BE, Klein RE, Lee KE. Incident cataract after a five-year interval and lifestyle factors: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1999:6(4):247-255 

  20. Ji YJ, Kim KN. Drinking and chronic diseases. AJMAHS 2017:7(4):841-848.(Korean) 

  21. Yun JW, Lee WY, Kim JY, Park HD, Lim SH, Jung CH, Kim YC, Kim SW. Relationship between body fat distribution and atherosclerotic risk factors in Korean populations, Korean J Intern Med, 2002:63(2):77-186.(Korean) 

  22. Lee HK, Kim KS, Choi DP, Choi WJ, Kim HC, Chae HS, Kim K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in Korean farmers. JKDAS, 2017:19(3)"1557-1570.(Korean) 

  23. Hong JY, Park JA, Effect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of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10):198-209(Korean) 

  24. Kim HS, Nho YJ, Kim NC, Yoo YS, Young JS, Oh JA.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of adults. J Korean Acad Nurs 2000:30(6):1479-1487. (Korean) 

  25. Jung SM, Joo SE, Kim YJ, Lim MN. Logistic regression on the importance prevalence of Koreans. Reasearch for Basic Science 2008:19:141-148 

  26. Kim GY. Risk factors for hypertension in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and adults under age 65.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9:20(1):162-169.(Korean) 

  27. Seo SE, Lee JS. Influence of knowledg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osteoporosis in industrial workers. J Muscle jt Health 2012:19(3):340-349.(Korean) 

  28. Hong JY, Park JA. Effect of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the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of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L:14(10):198-209.(Korean) 

  29. Han DH. Chewing difficulty and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Korean elders: KNHANES IV.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2013:51(9):511-517.(Korean) 

  30. Min ES, Heo MH. Predictors of compliance in hypertensive pati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2:19(4):474-482.(Korean) 

  31. Lim MJ.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us of the Korean elderly: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eimyung University 2016 

  32. Kim JO, A study on management and health-related behaviors of the hypertensive patients. Inje University 2011 

  33. Jung CG. Quality of sleep and lif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Korea. Keimyung University 2012 

  34. Choi BS, Survey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4):475-481. (Korean) 

  35. FAGERSTROM R.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vision in aged patients before and after cataract operations. Psychological Reports, 1994:75:115-125 

  36. Kang HS, Lee SY.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J Korea Soc Wellness, 2017:12(4):413-421.(Korean) 

  37. Idler E, Benyami Y.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 Health Soc Behav. 1997:38(1):21-37 

  38. Kim CY. Health behaviors related to hypertension in rural population of Korea. J Prev Med and Public Health 2000:33(1):56-68 

  39. Kim JR, Moon JK, Kang KH, Lee MS, Hong DY. Community-based follow-up study of compliance and its determinants in hypertension. J Korea Public Health Assoc 1997:46(1):79-100(Korean) 

  40. Choi WH, Seo YM, Chun MY, Choi SY. Convergence study on the comparison of risk factors for dyslipidemia by age and gender :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3-2015yea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8:9(10):571-587.(Korean) 

  41. Ahn SK, Kim MS, Lee JH, Kim JC, Shin KH, Ahn BH, Hong NS, Nho SH, Song JK. Population based study of risk factors and environmetal factors contributing to cataractogenesis. Korean J Ophthalmol 1992:33(9):834-843.(Korean) 

  42. Kim HJ.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ataract by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17(4):449-455.(Korean) 

  43. Kim HR.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Seoul, Korea. Health & Social Welfare Review 2005:25(2):3-35.(Korean) 

  44. Park CS, Kim YR, Lee TY. The effects of individual patient behavior and medical care level on doctor's diagnosis of hypertension. J Korea Acad-Industr Coop Soc 2016:17(10):119-130. (Korean) 

  45. Park JH. Prevalence and odds ratio analysis of cataract related with Age, Sex, regions and social status, Korean J Vis Sci 2013:15(1):83-92.(Korean) 

  46. Choi BI, Joo SSN.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dyslipidemia in the elderly. Pre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7:224(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