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표대기 미세먼지 정화를 위한 식물체 음이온 발생량 분석 및 음이온의 미세먼지 기대정화지수 평가
Evaluation on the Expected Purification Efficiency of Air Ion and Analysis on the Generated Amount of Negative Air Ions by Plants for the Purification of Particulate Matter in Air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6, 2020년, pp.623 - 631  

오득균 (건국대학교 녹색환경시스템전공) ,  주진희 (건국대학교 녹색기술융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negative air ions on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evaluates the expected purification efficiency of open spaces for particulate matter by investigating the amount of negative air ions generated by plants. This study establishes a negative ai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이온의 효과에 대한 재평가와 우리나라의 대기환경 개선계획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첫째, 식물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량을 분석하고, 둘째, 음이온과 미세먼지의 관계를 규명하여, 셋째, 음이온과 식물의 미세먼지 정화 효율을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실험구는 미세먼지, 기온, 상대습도 등 외부 요인에 대한 적절한 통제와 미세먼지 등 주요 변수의 미세한 관측을 위하여 실내 실험실에서 수행되었다. 실험 수행은 실험실 내부에 소형 챔버(Vol.
  • 본 연구는 공기 이온이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식물체에서 발생하는 음이온 발생량을 분석하여 녹지가 가지는 미세먼지 기대정화효율 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음이온 발생기 처리구, 식물 배치구, 대조구 등 3가지 유형을 조성하여 각 실험구별 미세먼지 정화 효율을 측정하고 미세먼지 정화 모델을 구축하여 기대정화지수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9, Public perception survey on fine dust, Weekly Economic Review, 833, 19-10, Seoul, Korea. 

  2. Ji, C. K., 2003, Effect of anion: Living books. 

  3. Jin, S. U., 2005, Anion and Well-being, Seoul of Korea, Human of Earth. 

  4. Kim, H. S., 2018, Yonhapnews, https://www.yna.co.kr/view/AKR20180525110400502. 

  5. Kim, J. H., Lee, S. H., Yoon, Y. H., 2019, evaluation of air ion according to the type of ridge in urban park -focused on Tangeumdae park in Chung, J. Eco. Env., 33(5), 587-595. 

  6. Kim, J. H., Oh, D. K., Yoon, Y. H.,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negative air ion generation according to vegetation type of green space in summer : targeting to the Yangjae Citizen's Forest in Seochogu, Seoul, Urban Design, 16(6), 1598-0650. 

  7. Kim, K. J., Yoo, E. H., Seo, H. W., Ho, S. Y., Lee, J. A., Jung, H. H., 2012, Air anions emission in Cam and $C_3$ plant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5(4) 281-285. 

  8. Kim, W. G., Kim, S. S., You, S. H., Kil, I. H., Kwon, S. H., Lee, K. N., 2005, A Study of influences caused by far infrared and anion on human body, Kor. J. Ori. Prev. med. Soc., 9(2), 93-106. 

  9. Lee, J. H., 2003, The effect of improving indoor air quality used anion by in door plants, J. Kor. Inst. Interior Landscape Archi., 5(1). 89-98. 

  10. Lee, J. H., 2004, A Study of gereration by indoor plants, J. Kor. Inst. Interior Landscape Archi., 6(2), 53-66. 

  11. Lee, J. H., Yoon, P. S., 2003, A Study on effciency and mechanism of removing indoor pollutants used anion generated by indoor plants, J.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6(4), 81-92.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High level fine dust concentration manual for socially vulnerable class, Atmospheric environment policy office, Sejong, Korea.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Q&A of fine dust that people want to know, No. 9353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Incheon, Korea. 

  14.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019, Analysis of fine dust response project, Government report (31-9700487-001733-01),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Seoul, Korea. 

  15. Park, H. S., Shin, C. S., Yeoun, P. S., Kim, J. Y.,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ress recovery effect of forest therapy, J. Kor. Inst. Forest Recreation, 18(1), 13-24. 

  16. Park, S. H., Lee, Y. B., Bea, G. Y., Kondo, M., 1998, Anion evolution in plants and its involved factors, Horti. Environ. BioTech., 39(1), 115-118. BioTech. 39(1), 115-118. 

  17. R.D.A., 2008, Technology transfer workshop of air purification method using gardening plant,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Suwon. 

  18. Wu, C. C., Lee, G. W. M., Yang, S., Yu, K. P., Lou, C. L., 2006, Influence of air humidity and the distance from the source on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in indoor air, Sci. Total Envirion., 370(1), 245-253. 

  19. Zeng, S. C., Su, Z. Y., Chen, B. G., 2007, Air Negative Ion Concentration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in Greenbelts of Guangzhou, J. ecology., 26(7), 1049-1053. 

  20. Zhang, Z., Yu, Y., Zhang, M., Du, Q., Chen, J., Mao, F., 2008, Negative air ion concentra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for Mount Tianmu of Zhejiang Province. J. Zhejiang A&F Univ., 25(4), 481-48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