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온천천의 하계 우수기 수질 및 퇴적물 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in the Oncheon Stream, Busan during Summer Rainy Seas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6, 2020년, pp.659 - 672  

이영형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문창호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강현정 ((주)대성기술단) ,  최성률 ((주)대성기술단) ,  김석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Oncheon Stream and at the Wondong bridge of the Suyoung River, during the summer rainy season, 2019. Dissolved oxygen (DO) showed the lowest levels at 4.7 and 5.0 m/L, and biogeochemical oxygen demand (BOD) showed the highest at 5.3 mg/L downs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물고기의 폐사현상이 나타나는 하계 우수기에 온천천 유역에서의 수질 및 퇴적물의 환경 항목들을 조사하여 온천천의 시.공간적 환경 분포특성을 이해하고, 환경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물고기의 폐사현상이 나타나는 하계 우수기에 온천천 유역에서의 수질 및 퇴적물의 환경 항목들을 조사하여 온천천의 시.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제2조 관련 별표, 환경기준에서 규정한 하천의 생활환경 기준 항목들 중 측정된 물리•화학 항목들을 대상으로 온천천의 수질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수질지수를 적용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천천이란? 온천천은 전형적인 도심 하천으로, 부산의 금정산에서 발원하여 금정구, 동래구 및 연제구의 86만명 인구가 거주하는 도심을 관통하는 유로연장 14.13 km, 유역면적56.28 km2, 폭 30∼90 m의 하천으로 동남해의 수영만으로 흘러드는 수영강의 가장 큰 지류이다(BMC, 2020a). 온천천은 1994년에 연안교 부근의 BOD가 78.
추가적인 온천천 정비사업은? com, 2019; KJNP, 2019).부산시는 온천천 물고기 폐사와 관련하여, 온천천 수계에서의 분류식 하수관로공사를 2025년에서 2022년까지 3년 단축하여 조기에 완료하고, 온천천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조기준공과 물고기 폐사 다발지역의 조기정비를 통하여 물고기 이동 대피로를 확보하는 계획을 포함하는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BMC, 2019).
온천천 살리기운동을 하게된 배경은? 7 mg/L 로 극도로 오염되고 생물이 살지 못하는 죽은 하천의 환경상태를 보인 바 있다. 주민의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 여가문화의 발달, 환경의중요성에 대한 인식전환 등으로 1995년 온천천 살리기운동을 기점으로 하천 환경개선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온천천은 1998년부터 자연친화형 하천 환경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펼쳐 왔으며, 2002년 온천천 살리기 마스터 플랜을 수립하고, 2005년부터 낙동강 원수를온천천 유지용수로 방류하고, 2007년 온천천 정비사업등을 통하여 이제는 부산의 대표적인 도심생태하천공원으로 자리잡고 있다(BMC, 2020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rahao, R., Carvalho, M., da Silva Junior, W. R., Machado, T. T. V., Gadelha, C. L. M., Hernadez, M. I. M., 2007, Use of index analysis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of a stream receiving industrial effluents, Water SA, 33, 459-466. 

  2. Bascaron, M., 1979, Establishment of a methodology for the determination of water quality, Boletin Informativo del Medio Ambiente, 9, 30-51. 

  3. Baschak, L. A., Brown, R. D., 1995, An Ecological framework for the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urban river greenway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33, 211-225. 

  4. Busan Institute of Health & Envronment (BIHE), 2017, Report on water environment network operation result, 2016, http://heis.busan.go.kr/data/data007.aspx. 

  5. Busan Institute of Health & Envronment (BIHE), 2018, Report on water environment network operation result, 2017, http://heis.busan.go.kr/data/data007.aspx. 

  6. Busan Institute of Health & Envronment (BIHE), 2019, Report on water environment network operation result, 2018, http://heis.busan.go.kr/data/data007.aspx. 

  7. Busan Metropolitan City (BMC), 2018, http://www.busan.go.kr/nbtnews/1307137. 

  8. Busan Metropolitan City (BMC), 2019, http://www.busan.go.kr/nbtnewsBU/1390483. 

  9. Busan Metropolitan City (BMC), 2020a,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01&contents_idGC04213421. 

  10. Busan Metropolitan City (BMC), 2020b, https://www.busan.go.kr/environment/ahriver0303. 

  11. Busan.com, 2019,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092219201771894. 

  12. Chang, H., 2008,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trends in the Han River basin, South Korea, Water Research, 42, 3285-3304. 

  13. Chung, C. S., Kim, S. H., Kang, D. J., Park, Y. C., Yoon, C. H., Hong, G. H., 1999, A Study on the evolution of eutrophicatioin in Masan bay by analyses of pigment derivatives from a sediment column, The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4, 101-106. 

  14. Debels, P., Figueroa, R., Urrutia, R., Barra, R., Niell, X., 2005,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Chillan River (Central Chile) using physicochemical parameters and a modified Water Quality Index,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10, 301-322. 

  15. Gardiner, J. L., 1997, River Landscap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Framework for Project Appraisal and Catchment Management, Landscape Research, 22, 85-114. 

  16. Grimm, N. B., Faeth, S. H., Golubiewski, N. E., Redman, C. L., Wu, J. G., Bai, X. M., Briggs, J. M., 2008, Global change and the ecology of cities, Science, 319, 756-760. 

  17. Hobbie, S. E., Finlaya, J. C., Jankea, B. D., Nidzgorskia, D. A., Milletb, D. B., Baker, L. A., 2017, Contrasting nitrogen and phosphorus budgets in urban watersheds and implications for managing urban water pollutio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4, 4177-4182. 

  18. Horton, R. K., 1965, An index number system for rating water quality, Journal of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37, 300-306. 

  19. Joo, G. J., Kim, H. W., Ha, K., Kim, J. K., 1997, Long-term trend of the eutrophication of the lower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Supplement, 472-480. 

  20. Kim, M. H., Ji, H. S., Cho, J. G., Cho, S., 2018, Identification of red tide-causing organism and characteristics of red tide occurrence in the Oncheon down stream, Bu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 285-292. 

  21. Kocer, M. A. T., Sevgili, H., 2014, Parameters selection for water quality index in th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land-based trout farms, Ecological Indicators, 36, 672-681. 

  22. Kookje News Paper (KJNP), 2019,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90729.22009013939. 

  23. Korea JoongAng Daily (KJAD), 2017, https://news.joins.com/article/21840911. 

  24. Lee, H. W., Choi, J. H., 2009, Temporal analysis of trends in dissolved organic matter in Han River water,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14, 256-260. 

  25. Lee, Y. J., Kim, K. S., Park, J. O., Kim, Y. T., Cho, J. K., Yoo, P. J., Kim, K. G., 2014, Study on the red-tide formation at Oncheon stream, Busan,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Daegu, 23, 595-597. 

  26. Miller, L., Rowland, G., Williams, C. A., 2006, Handbook for stream enhancement & stewardship, The Izaak Walton League of America, 2nd ed., McDonald and Woodward Publishing Company, Newark, OH, 188. 

  27.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20, Water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publicMain/mainContent.do. 

  2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 2018, Marine environmental process test standard, MOF-Notification, 2018-143. 

  29. Nishijima, T., 1990,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gioselmis sp. (strain 87) causing freshwater red tide in the lower part of the Nakasuji River,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56, 353-359. 

  30. Novarino, G., Lucas, I. A. N., 1993, Some proposals for a new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Cryptophyceae,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11, 3-21. 

  31. Owen, D. M., Amy, G. L., Chowdhury, Z. K., 1993, Characterization of natural organic matter and its relationship to treatability, Foundation and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Denver, CO, 250. 

  32. Riemann, B., Simonsen, P., Stensgaard, L., 1989, The carbon and chlorophyll content of phytoplankton from various nutrient regimes,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11, 1037-1045. 

  33. Sanchez, E., Colmenarejo, M. F., Vicente, J., Rubio, A., Garcia, M. G., Travieso, L., Borja, R., 2007, Use of the water quality index and dissolved oxygen deficit as simple indicators of watersheds pollution, Ecological Indicators, 7, 315-328. 

  34. Sutadian, A. D., Muttil, N., Yilmaz, A. G., Perera, B. J. C., 2016, Development of river water quality indices-a review,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88, 58. 

  35. Swamee, P., Tyagi, A., 2007, Improved method for aggregation of water quality subindice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133, 220-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