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규칙기반 악성 URL 탐지 라이브러리 개발
Development of Rule-Based Malicious URL Detection Library Considering User Experiences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30 no.3, 2020년, pp.481 - 491  

김보민 (서울여자대학교) ,  한예원 (서울여자대학교) ,  김가영 (서울여자대학교) ,  김예분 (서울여자대학교) ,  김형종 (서울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악성 URL의 전송을 통한 악성코드 전파 및 불법적 정보 수집은 정보보안 분야의 가장 큰 위협 중의 하나이다. 특히,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인하여 사용자들이 악성 URL에 노출될 확률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또한, 악성 URL을 노출 시키는 방법 역시 다양해 지고 있어서 이를 탐지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본 논문은 악성 URL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에 대한 설문을 진행한 후, 이를 고려하여 악성 URL을 규칙기반으로 탐지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개발 연구를 다루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독자적인 규칙을 기반으로 악성 URL을 탐지 하기 위해 Rule-set을 정의하고, Rule-chain을 생성하여 악성 URL 탐지의 확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라이브러리 형태로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licious URLs which can be used for sending malicious codes and illegally acquiring private information is one of the biggest threat of information security field. Particularly, recent prevalence of smart-phone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the user's exposing to malicious URLs. Since the way of...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 결과를 통해 ‘탐지규칙 추가의 용이성’ 및 ‘Rule-chain 생성 통한 효과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2’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연구과정 및 결과를 제시한다. 라이브러리 개발을 통해자바 기반의 다양한 메신저 플랫폼에 쉽게 이식할 수있도록 확장성 및 호환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 WebKit API를 활용한 연구는 모바일 전용 악성 링크에 대해서 아직판별할 수 없으며[14], 기존의 모바일에서 탐지용으로 쓰이는 모바일 악성 사이트 차단 앱은 사용자가앱을 설치하지 않으면 탐지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통해, 소스코드를 최대한 간결하게 구현하며, 모바일뿐만 아니라 어느 소프트웨어에서든 적용이 가능한 악성 URL 탐지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악성 URL의 특징을 추출하여 이론적으로 정리해놓은선제 연구는 URL 주소 자체 및 HTML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특징을 나누어 정리하고 있다[5][6].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기존의 악성 URL의 특징에 대한 신뢰성 있는 이론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는 가정하에 기술을 개발하였다. 개발 결과를 통해 ‘탐지규칙 추가의 용이성’ 및 ‘Rule-chain 생성 통한 효과성’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턴 매칭은 무엇인가? 악성 URL을 통한 악성코드 감염 및 개인정보 침해를 방지하기 위한 많은 기존 연구들이 존재한다.한국인터넷 진흥원에서는 2005년부터 악성코드 은닉웹사이트를 탐지하기 위한 ‘MCFinder’을 사용하고있으며, 이는 악성 사이트의 은닉 기법 및 경유지,유포지 정보 등을 패턴으로 등록하여, 패턴과의 일치여부를 비교하고 탐지하는 ‘패턴 매칭’ 방식으로 구현되어있다[13]. WebKit API를 활용한 연구도 존재한다.
Rule-chain의 내부 규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체인은 ‘and’ 혹은 ‘or’ 조건으로 연결 될 수있으며, ‘and’ 와 ‘or’ 조건이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규칙의 연결을 통해 악성 URL 여부에대한 정확도를 제시하고, 탐지의 정확성을 높이게 된다.
기존 모바일 악성 사이트 차단 앱의 한계점은? ‘MCFinder’는 최신 악성 사이트마다 특징을 모두 추출하여 ‘패턴화’해야 하므로, 소스코드를 처음부터 끝까지 구현해야 한다[13]. WebKit API를 활용한 연구는 모바일 전용 악성 링크에 대해서 아직판별할 수 없으며[14], 기존의 모바일에서 탐지용으로 쓰이는 모바일 악성 사이트 차단 앱은 사용자가앱을 설치하지 않으면 탐지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를 통해, 소스코드를 최대한 간결하게 구현하며, 모바일뿐만 아니라 어느 소프트웨어에서든 적용이 가능한 악성 URL 탐지 라이브러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ongwon Seo, Arindam Khan, and Heejo Lee, "A study on detecting malcodes distribution sites," Korean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15(2), pp. 1-4, Nov. 2008 

  2. Jiho Cho, "A study on smishing detection technique using taintdroid,"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15(1), pp. 3-9, Feb. 2015 

  3. Ho-Kyoung Shin, Ji-Myoung Shin, and Ho Lee, "A study on the factors infulencing information sharing in the social network servic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2(1), pp. 137-156, Jan, 2011 

  4. Java Jsoup Library, "Jsoup Library", https://www.jsoup.org/, Mar. 7. 2020 

  5. Core, "Phishing websites features", https://core.ac.uk/download/pdf/30732240.pdf, Mar, 2020 

  6. Wan Nurulsafawati Wan Manan, Abdul Ghani Ali Ahmed, and Mohd Nizam Mohmad Kahar, Intelligent Computing& Optimization, pp. 210-218,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Jan, 2019 

  7. Ram B.Basnet, Andrew H. Sung, and Quingzhong Liu, "Learning to detect phishing ur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3, no. 6, pp. 11-24, June, 2014 

  8. Yong-bum Cha, "Proactive response against smishing using shorten url," Journal of Digital Forensics, 9(1), pp. 19-31, June, 2015 

  9. Ji-sun Park, "Based on url pattern analysis preventive measures against harmful site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Nov. 2018 

  10. KISA, Malware Hidden Site Detection Trend Report[The first half of 2019], Jul, 2019 

  11. KISA, Malware Hidden Site Detection Trend Report[The second half of 2019], Jan, 2020 

  12. CJLOGITICS, "CJ Parcel Service", https://www.cjlogistics.com/ko/newsroom/notice/NR_00000010, Mar. 7, 2020 

  13. Jeong-Wu Ha, Hyu-Kang Kim, Jong-in Lim, "Research on malicious code hidden website detection method through whitelist-based malicious code behavio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JKIISC), 21(4), pp. 61-75, Aug. 2011 

  14. Jae-Kyung Park, "A study of realtime malware url detection & prevention in mobil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0(6), pp. 37-42, June. 2015 

  15. Anhlab, "V3 mobile security," https://www.ahnlab.com/kr/site/product/productView.do?prodSeq19, Mar 25, 2020 

  16. Pill App, "EST Security",https://www.estsecurity.com/, Mar. 26,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