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장애 한약치료에 대한 전향적 관찰연구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f Herbal Medicines on Depressive Disorder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31 no.2, 2020년, pp.63 - 76  

김주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김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이지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정진형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  양창섭 (한국한의학연구원 임상의학부) ,  이미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융합연구부) ,  정인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linical effects of herbal medicines on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Method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on pati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as conducted.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ines for eight weeks. The Korea...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전대학교 대전한방병원에서 시행한 우울장 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한약 치료에 대한 단일기관 전향적 관찰 연구이다. 목표 대상자 수는 총 40명이다.
  • 이에 우울장애에 사용되는 한약의 종류와 임상 관찰 정보를 파악하고 향후 한약 중재 임상시험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1개 대학 한방병원에서 주요우울장애, 지속성우울장애 치료를 위해 한약을 복용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 관찰연구를 수행한 바 이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한 상태란?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우울한 상태란 일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기분 저하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의 형태나 흐름, 사고의 내용,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다.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 thedition, DSM-5)에서는 슬프고 공허하거나 과민한 기분이 있고 개인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인지적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 우울장애로 정의하고 기간, 경과에 따라 파괴적 기분조절 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월경전불쾌감장애, 약물/물질에 의한 우울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우울장애, 달리 명시된 우울장애, 명시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구분한다1,2).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에서는 우울한 상태를 어떻게 구분하고있는가?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우울한 상태란 일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기분 저하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의 형태나 흐름, 사고의 내용,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다.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 thedition, DSM-5)에서는 슬프고 공허하거나 과민한 기분이 있고 개인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인지적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 우울장애로 정의하고 기간, 경과에 따라 파괴적 기분조절 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월경전불쾌감장애, 약물/물질에 의한 우울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우울장애, 달리 명시된 우울장애, 명시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구분한다1,2). 한의학에서는 우울장애를 주로 우울(憂鬱), 초려(焦慮), 비애(悲哀), 공 구(恐懼) 등의 정지내상(情志內傷)으로 인해 기기(氣機)가 울 체되어 생긴 울증(鬱證)의 범주로 보고있다3,4).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에 따르면 우울장애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정신의학에서 말하는 우울한 상태란 일상적으로 겪을 수 있는 기분 저하 상태를 뜻하는 것이 아니라 사고의 형태나 흐름, 사고의 내용, 동기, 의욕, 관심, 행동, 수면, 신체활동 등 전반적인 정신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다.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 thedition, DSM-5)에서는 슬프고 공허하거나 과민한 기분이 있고 개인의 기능 수행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 인지적 변화를 동반하는 경우 우울장애로 정의하고 기간, 경과에 따라 파괴적 기분조절 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월경전불쾌감장애, 약물/물질에 의한 우울장애, 다른 의학적 상태에 의한 우울장애, 달리 명시된 우울장애, 명시되지 않는 우울장애로 구분한다1,2). 한의학에서는 우울장애를 주로 우울(憂鬱), 초려(焦慮), 비애(悲哀), 공 구(恐懼) 등의 정지내상(情志內傷)으로 인해 기기(氣機)가 울 체되어 생긴 울증(鬱證)의 범주로 보고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n NeuroPsyschiatric Association. Textbook of Neuropsychiatry, 3rd ed. Seoul: iMiS Company. 2016:273-308.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 (DSM-5) (5th ed.).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3.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 of Neuropsychiatry of Oriental Schools in Nation. The Neuropsychiatry of Oriental Medicine. 3rd. ed. Seoul:Jipmoon-Dang. 2016:264-73. 

  4. Jang HH, Kang IS, Moon HC, Hwang YJ, Lyu YS, Kanag HW. A study on The Oriental-medical Understanding of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01;12(2):1-15.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ealthcare Bigdata hub. Available from:http://opendata.hira.or.kr/op/opc/olapMfrnIntrsIlnsInfo.do 

  6. Chow W, Doane MJ, Sheehan H, Alphs L, Le H. Economic Burden Among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n Analysis of Healthcare Resource Use, Work Productivity, and Direct and Indirect Costs by Depression Severity. Am H Manang Care. 2019;16:e188-96. 

  7. Jeon HJ, Epidemiologic studies on depression and suicide. J Korean Med Assoc. 2012;55(4):322-8. 

  8. Park SC, Sung SH, Han KM, Won ES, Lee HY, Paik JW, et al. Evidence-based Korean Pharmacological Treatment Guidance for Depression, Revised Edition (I): Initial Choice of Antidepressant Treatment.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3;52:252-62. 

  9. Santarsieri D, Schwartz T. Antidepressant efficacy and side-effect burden: a quick guide for clinicians. Drugs Context. 2015;4(212290). 

  10. Read J, Williams J. Adverse effects of antidepressants reported by a large international cohort: Emotional blunting, suicidality, and withdrawal effects. Curr Drug Saf. 2018;13(3):176-86. 

  11. Arroll B, Elley CR, Fishman T, Goodyear-Smith FA, Kenealy T, Blashki G, et al. Antidepressants versus placebo for depression in primary care. Cochrane Database Sys. Rev. 2009;3. 

  12. Han DY, Kim SH, Chung DK. A review of the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Herbal Medicine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9;30(2):71-88. 

  13. Lee JE, Kwon YJ, Cho SH. A Review of Clinical Studies with Herbal Medicine for Depression -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1;22(4):31-9. 

  14. Woo JA, Nam YJ, Park YJ, Kwon YK. Review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Depression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Systematic Reviews.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5;29(6):458-66. 

  15. Lee BK, Park YB, Kim TH. Korean Diagnotics. Seoul: Sungbo-sa. 2004:161-276. 

  16. Yeo MK, Dong SW, Lee YS, Jang ES. Review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naire of Pattern Identification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Using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5;29(3):246-55. 

  17. Yeo MK, Park KH, Lee YS, Jang ES. A National Survey on Utiliza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among Korean Medicine Doctors.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2015;19(3):45-55. 

  18. Yeung WF, Chung KF, Ng KY, Yu YM, Zhang SP, Ng BHL, et al. Prescrip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 in pattern-base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reatment fo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Evid.-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2015;2015:160189. 

  19. Lee HS, Kang WC, Jung IC.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f the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pression.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5;26(4):407-16. 

  20.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line-Depression. Daejeon: 2016. 

  21. Lee JG, Park SW, Baek JH, Kim YH.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iology in the Pathologenesis of Depression. Korean J Psychopharmacol. 2012;23:147-54. 

  22. Jun JH, Choi TY, Lee JA, Yun KJ, Lee MS. Herbal medicine (Gan Mai Da Zao decoction) for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Maturitas. 2014;79(4):370-80. 

  23. Kwon SY, Heo RK, Seung KM, Je JT, Kim DW. A case report of post-stroke depression with dementia. J Int Korean Med. 2010:241-9. 

  24. Lee JE, Yei YC, Ey YL, Kim YS, Cho KH, Moon SK, Jung WS. A case study of a Post-stroke Depression Patient treat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 J Int Korean Med. 2014;247-51. 

  25. Heo RK, Won JH, Seung KM, Lee IY, Jang MJ, Kwon SY. A Case of Parkinson's Disease with Depression. J Int Korean Med. 2010:354-60 

  26. Yi JS, Bae SO, Ahn YM, Park DB, Noh KS, Shin HH, et al.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K-HDR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4):456-65. 

  2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Sejong: 2016. 

  28. Kim H, Lee HS, Lee EJ, Park JH, Kang WC, Jung IC, Correlation between Instrument on Pattern Identification for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Tests by Statistical Analysis.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6;27(3):131-46. 

  29. Jang SB, Baek SE, Choi KH, Yoo JE.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Trend of Efficacy of Gyejibokryeonghwan.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2):99-112. 

  30. Gepshtein Y, Gregory AP, Watanabe K. Kampo in women's health: Japan's traditional approach to premenstrual symptoms. J. Altern. Complement. Med.2008;14(4):427-35. 

  31. Park BK, Kim YR, Kim YH, Yang CS, Seo CS, Jung IC, et al.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Gyejibokryeong-hwan in a Mouse Model of Resperidone-Induced Depression. Biomed Res. Int. 2018. 

  32. Lee JH, Doo KH, Lee HJ, Lee YE, Cho SY, Jung WS, et al. A Study o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lood Stasis Syndrome Using Blood Stasis Pattern Questionnaire. J Int Korean Med.2014;326-38. 

  33. Gou RJ, Yu M, Wang JL, Han AQ, Lu M, Zhang YL, et al. Establishing a TCM pattern element identification scale for depression. JBUTCM.2015;38(8):56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