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붕장어(Conger myriaster)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in the Coastal Waters of Geoje Island,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2 no.2, 2020년, pp.103 - 109  

김경률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남기문 (부경해양생물연구소) ,  박경현 (한국수산자원공단 남해본부) ,  김병섭 (한국수산자원공단 남해본부) ,  한명일 (한국수산자원공단 남해본부) ,  곽주원 (한국수산자원공단 남해본부)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붕장어(Conger myriaster)는 2018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거제 구조라, 망치 인근해역에서 장구형통발을 이용하여 매달 1회 채집해 이용하였으며, 항문장(Preanus length)과 습중량을 각각 0.1 cm, 0.1 g까지 측정한 뒤 위를 적출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위내용물 분석결과는 각 먹이생물에 대한 출현빈도(%F), 개체수비(%N), 습중량비(%W)를 구하여 상대 중요도지수비(%IRI)로 수치화하여 주 먹이생물과 크기군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붕장어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중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우점한 먹이생물로 확인되었다. 그 외, 새우류(Macrura), 패충류(Ostracoda), 갯지렁이류(Polychaeta), 게류(Brachyura) 등 다양한 먹이생물을 섭식하였지만 그 양은 많지 않았다. 과거 광양만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는 붕장어의 주 먹이생물이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으로 나타나 이번 연구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성장에 따른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뚜렷한 먹이전환이 나타나지 않았다. 붕장어는 성장함에 따라 개체당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mN/ST)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평균 먹이생물의 중량(mW/ST)은 붕장어의 항문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et composition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was studied using 129 specimens collected in the coastal waters Geoje, Korea from June 2018 to May 2019. The size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11.5~22.9 cm in preanus length (AL). C. myriaster was a piscivore that consumes mainly pisce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광양만에서 이루어진 Huh and Kwak(1998)의 연구는 잘피밭에서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채집된 붕장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채집된 개체가 비교적 소형 개체들이 많이 출현했으며, 이번 연구와 조사해역에서도 차이가 나 지역과 크기에 따른 섭식양상의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거제 구조라와 망치 연안에 출현하는 붕장어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해 먹이생물 조성과 성장에 따른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파악하여 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생태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붕장어는 무엇인가? 붕장어(Conger myriaster)는 뱀장어목(Anguilliformes), 붕장어과(Congr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전 연안, 일본, 동중국해 등에 분포하고 주로 연안의 모래와 개펄 바닥에 서식하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등에서 상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종이다(Mu et al., 2018).
우리나라에서 붕장어의 주 조업해역은 어디인가? 우리나라에서 붕장어는 대부분 통발어업으로 많이 어획되며, 주 조업해역은 산란회유 경로인 남해 동남부해역과 제주 주변 해역이다(Park, 2001). 2019년 우리나라 연근해 연간 통발어업생산량을 살펴보면, 총 47,568톤 중 붕장어 통발어업의 생산량은 9,819톤으로 약 21%를 차지한다(FIPS, 2019).
국내에서 시행한 붕장어의 위내용물 조성에 관한 연구는 본 연구와 어떤 차이를 보이겠는가? 국내에서 이미 붕장어의 위내용물 조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만 조사방법, 조사장소 등에서 이번 연구와 차이가 나타났다. Choi et al. (2008)의 연구에서는 수심이 약 50~100m의 제주동부, 남해동부해역에서 채집된 붕장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붕장어는 산란 및 성장에 따라 서식지를 달리하는 특성을 나타내므로 수심이 약 5~10 m로 이루어진 이번 연구지역과 비교적 깊은 수심의 근해의 식성은 다를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광양만에서 이루어진 Huh and Kwak(1998)의 연구는 잘피밭에서 소형 trawl을 이용하여 채집된 붕장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채집된 개체가 비교적 소형 개체들이 많이 출현했으며, 이번 연구와 조사해역에서도 차이가 나 지역과 크기에 따른 섭식양상의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거제 구조라와 망치 연안에 출현하는 붕장어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해 먹이생물 조성과 성장에 따른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를 파악하여 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생태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 B.Y., B.Q. Hon, H.S. Jo, H.S. Sohn, Y.C. Park, W.S. Yang and O.I. Choi. 1997. Food habits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Korean J. Fish. Aquat. Sci., 30: 95-104. 

  2. Cho, S.K., H.Y. Kim, C.D. Park and B.J. Cha. 2013. Catches characteristics between fishing area and non-fishing area in the shrimp beam trawl of Geoje waters, Korea. Korean J. Soc. Fish. Technol., 49: 377-384. https://doi.org/10.3796/KSFT.2013.49.4.377. 

  3. Choi, J.H., S.H. Choi, J.B. Kim, J.H. Park and C.W. Oh. 2008. Feeding ecology of the white-spotted conger eel (Conger myriaster)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1: 282-288. https://doi.org/10.5657/kfas.2008.41.4.282. 

  4. Choo, H.S. 2002. The variations of oceanic conditions and the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Korean J. Fish. Aquat. Sci., 35: 77-85. https://doi.org/10.5657/kfas.2002.35.1.077. 

  5. Ferry, L.A. and G.M. Cailliet. 1996. Sample size and data analysis : are we characterizing and comparing diet properly, In: MacKinlay, D. and K. Sheare (eds.), Feeding ecology and nutrition in fish, Symp. Proc., American Fish. Soc., San Francisco, CA, U.S.A., pp. 71-80. 

  6. FIPS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9. Information of fishery statistics. Retrieved for http://www.fips.go.kr/ on October 29, 2019. 

  7. FIRA (Korea Fisheries Resources Agency). 2016. Artificial reefs facility statistics. Retrieved for https://www.fira.or.kr/fira/fira_030407.jsp. 

  8.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416pp. 

  9. Horinouchi, M. and M. Sano. 2000. Food habits of fishes in a Zostera marina bed at Aburatsubo, central Japan. Ichthyol. Res., 47: 163-173. https://doi.org/10.1007/BF02684237. 

  10. Huh, S.H. and S.N. Kwak. 1998.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n J. Fish. Aquat. Sci., 31: 665-672. 

  11. Huh, S.H., J.M. Park and G.W. Baeck. 2006.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9: 357-362. https://doi.org/10.5657/kfas.2006.39.4.357. 

  12. Huh, S.H., J.M. Park and G.W. Baeck. 2006. Feeding habit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9: 35-41. https://doi.org/10.5657/kfas.2006.39.1.035. 

  13. Huxely, J.S. 1932. Problem of relative growth. 2nd ed. Dover publishing, New York, U.S.A., 312pp. 

  14. Jeong, J.M., J.H. Choi, Y.J. Im and J.N. Kim. 2017. Feeding habits of dolphinfish Coryphaena hippurus i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0: 541-546. https://doi.org/10.5657/KFAS.2017.0541. 

  15. Jeong, S.B., J.H. Lee, H.S. Kim, T.Y. Oh and S.G. Choi. 2002. Analysis of stomach contents of sea-eel Conger myriaster caught from lost plastic pot. Korean J. Soc. Fish. Technol., 38: 149-155. https://doi.org/10.3796/KSFT.2002.38.2.149. 

  16. Ji, H.S. 2014. Phylogenetic study of Anguilliformes species based on leptocephali from the adjacent waters of Korea. Ph.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84pp. 

  17. Katayama, S., T. Ishida, K. Goto, K. Iizuka and K. Kartita. 2002. A new aging technique by UV light observation of burnt otoliths for the conger eel Conger myriaster(Brevoot). Ichthyol. Res. 49: 81-84. https://doi.org/10.1007/s102280200009. 

  18.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615pp. 

  19. Kim, Y.H., E.H. Lee, J.N. Kim, J.H. Choi, T.Y. Oh and D.W. Lee. 2011. Age and growth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4: 689-694. https://doi.org/10.5657/KFAS.2011.0689. 

  20. Kuniaki, T, T. Osame, M. Noritaka, Y. Juro and K. Shunpei. 1987. Otolith microstructure and ecology of the conger eel(Conger myriaster) larvae collected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Nippon Suisan Gakk., 53: 543-549. https://doi.org/10.2331/suisan.53.543. 

  21. Lee, D.H., B.G. Kim, T.J. Kim, S.J. Lee and W.S. Gwak. 2011. Species composition of juvenile and immature fishes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on the coasts of Gujora and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3: 135-144. 

  22. Mu, X., C. Zhang, Y. Xue, C. Zhang, B. Xu and Y. Ren. 2018. Fishery biology of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Brevoort, 1856) in the Yellow Sea and East China Sea. Acta. Oceanol. Sin., 38: 18-24. https://doi.org/10.1007/s13131-018-1271-8. 

  23.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 offshore waters in Korea (2nd ed). Hanguel graphics, Busan, Korea, 258pp. 

  24. Okamura, A., T. Utoh, H. Zhang, Y. Yamada, N. Horie, N. Mikawa, S. Tanaka, T. Motonobu and H.P. Oka. 2000. Seasonal change in maturity in the conger eel Conger myriaster at the pacific coast of Atsumi penisula, central Japan. Nippon Suisan Gakk., 66: 412-416. 

  25. Park, C.D. 2001. Conger-eel fisheries in Korea. Nippon Suisan Gakk., 67: 127-128. 

  26. Pinkas, L., M.S. Oliphang and I.L.K. Iverson.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7. Shigeaki, G. and N. Kazuya. 2010. Habitat preference and feeding habits of juvenile whitespotted conger Conger myriaster in the eastern Seto Inland Sea, Japan. Aqua. Sci., 58: 167-179. https://doi.org/10.11233/aquaculturesci.58.167. 

  28. Utoh, T. 2001. Maturation and spawning of Conger myriaster, Nippon Suisan Gakk., 67: 115-116. 

  29. Utoh, T., N. Horie, A. Okamura, Y. Yamada, A. Tanaka, N. Mikawa, A. Akazawa and H.O. Oka. 2003. Oogenesis in the common Japanese conger Conger myriaster. Fish. Sci., 69: 181-188. 

  30. Wainwright, P.C. and B.A. Richard. 1995. Scal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largemouth bass(Micropterus salmoides): Motor pattern. J. Exp. Biol., 198: 1161-1171. 

  31. Yoon, S.J., D.H. Kim, G.W. Baeck and J.W. Kim. 2008. Feeding habit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South Sea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1: 26-31. https://doi.org/10.5657/kfas.2008.41.1.0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