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동해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of the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 the East Sea,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3 no.3, 2020년, pp.456 - 463  

고아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이수정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양재형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et of the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was studied by examining the stomach contents of 864 individuals. Using gill nets,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in Jugwang, Sokcho, Yangyang, Uljin, Ganggu, and Gampo, Korea. The specimens ranged in total length (TL...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어류의 섭식활동은 생존, 성장, 산란 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생활사 동안 일어나는 모든 현상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Wotton, 1990). 따라서 동해에 서식하는 명태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1) 위내용물 조성을 파악하고, 2) 섭식경향을 분석하며, 3) 크기와 4)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 (2006), Kim (2012)의 도감을 참고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먹이생물은 크기(전장)를 측정하고 개체수를 계수하였으며 이후 전자저울(Analytical Balance ME204TE/00, Mettler Toledo, Greifensee,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습중량을 0.0001 g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위내용물의 분석결과는 각먹이생물에 대한 출현빈도(%F), 먹이생물의 개체수비(%N)와 습중량비(%W)로 나타냈다.
  • , 1996). 이 방법은 출현빈도(%F)에 대하여 특정먹이생물우점도(prey-specific abundance)를 도식화함으로써 나타내며, 특정먹이생물우점도(prey-specific abundance)를 구하였다.
  • 1g)을 측정하였으며 위를 적출하여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이후 해부현미경(LEICA L2, LEICA, Wetzlar,Germany) 아래에서 위내용물을 분석하였으며 먹이생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였고 Kaname (1988), Kim et al. (2005), Hong et al. (2006), Kim (2012)의 도감을 참고하여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먹이생물은 크기(전장)를 측정하고 개체수를 계수하였으며 이후 전자저울(Analytical Balance ME204TE/00, Mettler Toledo, Greifensee, Switzerland)을 이용하여 습중량을 0.
  • 크기와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명태시료를 10.0 cm 간격, 5개 전장군으로 나누어 각 전장군별 먹이생물을 분석하였고(<20.0 cm, n=32; 20.0-30.0 cm, n=280; 30.0-40.0 cm, n=234; 40.0-50.0 cm, n=90; 50.0 cm<, n=34), 계절은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12-2월)로 구분하여 먹이생물의 조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 1).구입한 시료는 동해수산연구소에서 전장(0.1 cm)과 체중(0.1g)을 측정하였으며 위를 적출하여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실험실로 운반하였다. 이후 해부현미경(LEICA L2, LEICA, Wetzlar,Germany) 아래에서 위내용물을 분석하였으며 먹이생물을 종류별로 구분하였고 Kaname (1988), Kim et al.
  • 이번 연구에 사용된 명태는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죽왕,속초, 감포, 강구, 양양, 울진에서 어업인들이 자망으로 어획한 것을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에서 구입하였다(Fig. 1).구입한 시료는 동해수산연구소에서 전장(0.

데이터처리

  • 6 이상의 값을 유의하게 중복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Wallace, 1981). 크기에 따른 먹이 섭식 특성 파악을 위해 전장군별 먹이의 평균 개체수(mean number of preys perstomach, mN/ST)와 체장군별 먹이의 평균 중량(mean weight of preys per stomach, mW/ST)을 구하였으며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Microsoft excel 2010, Microsoft, Redmond, WA, USA)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은 전체 먹이 개체수(습중량)이다. 먹이생물의 상대중요성지수(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는 Pinkas et al. (1971)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으며 상대중요성지수는 백분율로 환산하여 상대중요도지수비(%IRI)로 나타내었다.
  • 명태의 먹이중요도(dominant or rare), 섭식전략[섭식 특화종 또는 섭식일반종(specialist or generalist)], 섭식폭(niche width)은 도해적방법(graphical method)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Amundsen et al., 1996). 이 방법은 출현빈도(%F)에 대하여 특정먹이생물우점도(prey-specific abundance)를 도식화함으로써 나타내며, 특정먹이생물우점도(prey-specific abundance)를 구하였다.
  • 0 cm<, n=34), 계절은 봄(3-5월), 여름(6-8월), 가을(9-11월), 겨울(12-2월)로 구분하여 먹이생물의 조성을 확인하였다. 전장군간 먹이생물의 중복도(Schoener, 1970)는 dietary overap index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명태는 무엇인가? 명태(Gadus chalcogrammus)는 대구목(Gadiformes) 대구과(Gadidae)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동해 중부 이북을 비롯하여 일본 북부, 오호츠크해, 베링해 등의 북태평양 해역에 분포하는 냉수성 어종이며 산란기는 12-3월경이고 수심 2,000 m 수역의 표층과 중층에서 서식한다(Kim et al., 2005).
먹이를 섭식한 명태 670개체의 위내용물을 분석 결과 난바다곤쟁이류 개체 중 우점종은? 5%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한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로 나타났다. 난바다곤쟁이류 중에서는 Euphausia pacifica가 11.9%의 출현빈도, 24.
명태의 다양한 명칭과 국내 시장에서 쓰임새는? , 2005). 명태는 동태, 북어, 황태, 코다리, 노가리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국내 시장에서는 명란젓, 건조품, 냉동명태 등의 식료품으로 유통되고 있는 중요한 상업성 어종이다. 또한 명태는 중형플랑크톤과 소형 어류 등을 섭식하고 중, 대형 어류와 해양 포유류 등의 먹이원이 되어 해양 먹이사슬에서 저차와 고차를 연결하는 중간 단계의 중요한 위치에 있다(Springer, 1992; Tamur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dams CF, Pinchuk AI and Coyle KO. 2007. Seasonal changes in the diet composition and prey selection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northern Gulf of Alaska. Fish Res 84, 378-389. https://doi.org/10.1016/j.fishres.2006.11.032. 

  2. Adin K and Mueter F. 2007. The Bering Sea-A dynamic food web perspective. Deep-Sea Res Pt II 54, 2501-2525. https://doi.org/10.1016/j.dsr2.2007.08.022. 

  3. Amundsen PA, Gable HM and Staldvik FJ. 1996. A new approach to graphical analysis of feeding strategy from stomach contents data modification of Costello (1990) method. J Fish Biol 48, 607-614. https://doi.org/10.1111/j.1095-8649.1996.tb01455.x. 

  4. Baeck GW, Park JM, Ye SJ, Jeong JM and An YS. 2012. Feeding habits of Hoplobrotula armata in the Coastal Waters of Geomun-do,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5, 372-378. https://doi.org/10.5657/KFAS.2012.0372. 

  5. Boyle MD, Ebert DA and Cailliet GM. 2012. Stable-isotope analysis of a deep-sea benthic-fish assemblage: evidence of an enriched benthic food web. J Fish Biol 80, 1485-1507. https://doi.org/10.1111/j.1095-8649.2012.03243.x. 

  6. Brodeur RD. 1998. Prey selection by age-0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nearshore waters of the Gulf of Alaska. Environ Biol Fish 51, 175-186. https://doi.org/10.1023/A:1007455619363. 

  7. Buckley TW, Ortiz I, Kotwicki S and Aydin K. 2016. Summer diet composition of walleye pollock and predator-prey relationships with copepods and euphausiids in the eastern Bering Sea, 1987-2011. Deep-Sea Res Pt II 134, 302-311. https:// doi.org/10.1016/j.dsr2.2015.10.009. 

  8. Choo HG. 2007. Species composition and feeding ecology of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Kori, Korea. Ph.D. Dissertation, National University of Pukyung, Busan, Korea. 

  9. Clausen DM. 1983. Food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an embayment of southeastern Alaska. Fish Bull 81, 637-642. 

  10. Dwyer DA, Bailey KM and Livingston PA. 1987. Feeding Habits and Daily Ration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Eastern Bering Sea, with Special Reference to Cannibalism. Can J Fish Aquat Sci 44, 1972-1984. https://doi.org/10.1139/f87-242. 

  11. Endo Y. 1984. Daytime surface swarming of Euphauaia pacifica (Crustacea:Euphasiacea) in the Sanriku coastal waters of northeastern Japan. Mar Biol 79, 269-276. https://doi.org/10.1007/BF00393258. 

  12.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diego, CA, U.S.A., 416. 

  13. Greene CH. Wiebe PH, Burczynski J and Youngbluth MJ. 1988. Acoustical detection of high-density krill demersal layers in the submarine canyons off Georges Bank. Science 241, 359-361. https://doi.org/10.1126/science.241.4863.359. 

  14. Hong SY, Park KY, Park CW, Han CH, Suh HL, Yun SG, Song CB, Jo SG, Lim HS, Kang YS, Kim DJ, Ma CW, Son MH, Cha HK, Kim KB, Choi SD, Park KY, Oh CW, Kim DN, Shon HS, Kim JN, Choi JH, Kim MH and Choi IY. 2006. Marine invertebrates in Korean coasts. Academybook, Seoul, Korea, 479. 

  15. Huh SH, Baeck GW, Choo HG and Park JM. 2013. Feeding habits of spearnose grenadier,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Korean J Ichthyol 25, 157-162. 

  16. Huh SH and Kwak SN. 1997. Feeding habits of Pholis nebulosa. Korean J Ichthyol 9, 22-29. 

  17. Huh SH and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Lateolabrax japonic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 34, 191-199. 

  18. Huh SH, Nam KM, Choo HG and Baeck GW. 2008. Feeding habits of Sebastes thompsoni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1, 32-38. https://doi.org/10.5657/kfas.2008.41.1.032. 

  19. Jeong JM, Park JM, Huh SH, Kim HJ and Baeck GW. 2015. Diet Composition of Spot Nape Ponyfish, Leiognathus nuchalis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n J Ichthyol 27, 33-38. 

  20. Kaname O. 1988. New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fauna of Japan. Hokuryu-Kan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803. 

  21. Kim HJ, Jeong JM, Park JH and Baeck GW. 2017. Feeding Habits of Larval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Eastern Jinhae Ba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50, 92-97. https://doi.org/10.5657/KFAS.2017.0092. 

  22.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615. 

  23. Kim JN. 2012. Invertebrates fauna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Korea., 173. 

  24. Kim PK, Han IW, Oh WS, Choi YM, Yoon SH, Lee HB and Lee KH. 2018. Biomass Estimate of Euphausiids Euphausia sp. Using the Two-frequency Difference Method. Korean J Fish Aquat Sci 51, 305-312. https://doi.org/10.5657/KFAS.2018.0305. 

  25.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Report of the change of major fish catch by climate (water temperature) change. KOSIS Report 30, 5-6. 

  26. Langton RW. 1982. Diet overlap between Atlantic cod, Gadus morhua, silver hake Merluccius bilinearis and fifteen other northwest Atlantic finfish. Fish Bull 80, 745-759. 

  27. Le Loc’h F, Hily C and Grall J. 2008. Benthic community and food web structure on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Bay of Biscay (North Eastern Atlantic) revealed by stable isotopes analysis. J Mar Syst 72, 17-34. https://doi.org/10.1016/j.jmarsys.2007.05.011. 

  28. Mauchline J. 1980. The biology of mysids and euphausiids (Adv Mar Biol 18). Academic Press, London, U.K., 680. 

  29. Mueter FJ, Ladd C, Palmer MC and Norcross BL. 2006. Bottomup and top-down controls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on the Eastern Bering Sea shelf. Prog Oceanogr 68, 152-183. https://doi.org/10.1016/j.pocean.2006.02.012. 

  30. Napp JM, Kendall AW and Schumacher JD. 2000. A synthesis of biological and physical processes affecting the feeding environmental of larval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eastern Bering Sea. Fish Oceanogr 9, 147-162. https://doi.org/ 10.1046/j.1365-2419.2000.00129.x. 

  31. Park HJ, Park TH, Lee CI and Kang CK. 2018. Ontogenetic shifts in diet and trophic position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western East Sea (Japan Sea) revealed by stable isotope and stomach content analyses. Fish Res 204, 297-304. https://doi.org/10.1016/j.fishres.2018.03.006. 

  32. Persson L and Diehl S. 1990. Mechanistic individual-based approaches in the population/community ecology of fish. Ann Zool Fenn 27, 165-182. 

  33. Pianka ER. 1988. Evolutionary Ecology 4th ed. Harper Collins, New York, NY, U.S.A., 468. 

  34. Pinkas L, Oliphant MS and Iverson I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35. Santic M, Podvinski M, Pallaoro A, Jardas I and Kirincic M. 2009. Feeding habits of megrim, Lepidorhombus whiffiagonis (Walbaum, 1792), from the central Adriatic Sea. J Appl Ichthyol 25, 417-422. https://doi.org/10.1111/j.1439-0426.2009.01257.x. 

  36. Schoener TW. 1970. Non-synchronous spatial overlap of lizards in patchy habitats. Ecol 51, 408-418. https://doi.org/10.2307/1935376. 

  37. Shuntov VP, Dulepova EP, Gorbatenko KM, Slabinskii AM and Efimkin AY. 2000. Feeding of the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Anadyr-Navarin region of the Bering Sea. J Ichthyol 40, 362-369. 

  38. Springer AM. 1992. A review: Walleye pollock in the North Pacific- how much difference do they really make? Fish Oceaongr 1, 80-96. https://doi.org/10.1111/j.1365-2419.1992.tb00026.x. 

  39. Tamura T, Fujise Y and Shimazaki K. 1998. Diet of minke whales Balaenoptera acutorostrata in the northwestern part of North Pacific in summer 1994 and 1995. Fish Sci 64, 71-76. https://doi.org/10.2331/fishsci.64.71. 

  40. Urban D. 2012. Food habits of Pacific cod and walleye pollock in the northern Gulf of Alaska. Mar Ecol Prog Ser 469, 215-222. https://doi.org/10.3354/meps10135. 

  41. Wainwright PC and Richard BA. 1995. Scal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Motor pattern. J Exp Biol 198, 1161-1171. 

  42. Wallace RK. 1981. An assesment of diet-overlap indexes. Trans Am Fish Soc 110, 72-76. https://doi.org/10.1577/1548-8659(1981)110 2.0.CO;2. 

  43. Wilson MT, Buchheister A. and Jump C. 2011. Regional variation in the annual feeding cycle of juvenile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western Gulf of Alaska. Fish Bull 109, 316-326. 

  44. Wotton RJ. 1990. Ecology of teleost fishes. Champman Hall, New York, NY, U.S.A., 404. 

  45. Yamamura O, Honda S, Shida O and Hamatsu T. 2002. Diets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in the Doto area, northern Japan: ontogenetic and seasonal variations. Mar Ecol Prog Ser 238, 187-198. https://doi.org/:10.3354/meps238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